북한의 핵패권사회주의 핵개발 경로와 핵전술 고도화차례저자의 말1부 사회주의 핵기술 개발경로1장 냉전과 사회주의 핵개발 경로의 탄생1-1 냉전과 기술개발 경로 의존성1-2 미국의 원자탄 개발과 기폭장치 특성1-3 냉전과 미소 수소탄 개발 경쟁1-4 미국의 수소탄 개발 경로1-5 소련의 수소탄 개발 경로 1-6 냉전시기 미소 수소탄 개발 경쟁과 사회주의 개발경로1-7 소련, 러시아의 우라늄 농축기술 개발경로1-8 미국의 우라늄 농축 경로1-9 미국과 소련의 우라늄 농축기술 경로 특성1-10 소형 전술핵 개발과 미·소 경로차이 누적 효과1-11 중성자탄 개발과 미국, 소련의 경로 차이1-12 원자력 주기와 핵무기 개발경로의 차이2장 경로 확산_중국의 핵무기 개발2-1 중국의 핵개발 동기2-2 중국의 핵개발 프로젝트 출범 2-3 연합핵연구소(드부나연구소) 참여와 핵무기 개발 활용 2-4 소련의 지원과 기반 구축2-5 자주적인 핵무기 개발로 전환2-6 중앙전문위원회의 설립과 종합 조정 2-7 국가계획 수립과 개발경로 선택 2-8 최초 핵폭발 실험 성공2-9 실전배치를 위한 항공폭탄과 미사일 탄두 개발2-10 수소탄 개발경로 선택과 폭발실험 성공2-11 핵잠수함 개발2-12 3선 건설과 문화대혁명2-13 중성자탄 개발과 폭발 실험 2-14 전문인력 양성2-15 중국의 핵무기 개발경로와 특성 3장 경로 전환 사례_중국의 핵공업 개편과 민수 전환 3-1 중국 국내외 정세 변화와 개혁개방 추진3-2 군수산업의 구조조정과 칭하이(靑海) 핵무기 개발기지 폐쇄3-3 원자력산업의 제2창업 선언과 추진3-4 행정기관과 부처간 업무 분담 3-5 주요 연구기관 개편3-6 중국핵공업집단유한공사 산하 연구소3-7 중국공정물리연구원(제9연구설계원)3-8 인민해방군 시베이(西北)핵기술연구소(제21연구소) 3-9 중국과학원 산하의 핵 관련 연구소3-10 고급 전문가 양성3-11 옛 핵공업부 산하 대학 구조조정3-12 기술인력 양성 3-13 기능공학교3-14 해방군 산하 대학과 로켓군(火箭?, 구 제2포병) 편제3-15 중국의 핵공업 개편과 민수 전환의 특성2부 핵실험과 핵폭발 피해4장 경로 확인_핵실험과 실험장4-1 핵실험의 목적4-2 핵실험 유형과 핵실험금지조약4-3 고고도 핵폭발 실험4-4 지하 핵실험의 장단점4-5 지하핵실험장 선정과 실험 절차4-6 기폭실 깊이와 핵폭발 봉쇄 효과4-7 지하 핵폭발로 인한 굴뚝(chimney)의 형성 4-8 갱도의 굴진 및 봉쇄4-9 측정관 설치한 갱도의 봉쇄4-10 수직갱도의 굴착 및 충진 4-11 연속식(Homogeneous Stemming)과 다단식(Layered Stemming) 충진법4-12 수직갱도의 폭발 생성물 봉쇄와 자체 차단4-13 핵폭발 따른 지진파와 국제 감시망의 구축4-14 지진파를 통한 핵폭발 위력의 산출 4-15 핵실험 감시 회피기술의 발달 4-16 지하핵폭발 때 방사성 물질 생성과 분포 4-17 지하핵실험 누출사고 대기 중 방사능 오염과 피해4-18 지하수의 방사능 오염과 감소 위한 조치4-19 세미파라친스크 핵실험장 폐쇄4-20 핵실험과 북한에 대한 시사점 5장 핵폭발 피해 유형과 특성5-1 핵폭발 피해 유형과 정도 5-2 중성자탄의 피해 유형과 정도 5-3 고고도 핵폭발과 피해 유형 5-4 EMP 효과와 피해 유형 5-5 핵폭발 피해 유형과 방호에 대한 시사점3부 북한의 핵기술 개발6장 북한의 핵무기 개발 시동과 인력 양성 6-1 일제의 유산6-2 초기 기반 구축6-3 소련 및 사회주의국가들과의 협력6-4 원자력주기 완성과 핵무기 개발 본격화6-5 주요 핵무기 인력 양성기관과 학과 구성6-6 김책공업종합대학 핵재료공학과의 교과과정6-7 리과대학 현대물리학과의 교과과정6-8 물리대학 핵 관련학과들의 교과과정6-9 남북한 원자력 관련학과 교과과정 비교6-10 북한의 핵 관련 인력 규모 추정6-11 북한 핵 관련 인력의 특성7장 북한의 핵무기 개발경로와 원자력 주기 완성7-1 1980년대 사회주의 붕괴와 핵무기 개발 본격화 7-2 국가과학기술계획을 통한 산업기반 구축과 경제난 심화 7-3 국가과학기술계획과 핵무기 기초연구7-4 국제과학기술협력에서의 관련 동향7-5 국가과학원의 기여7-6 원심분리기의 우라늄 농축기술 개발 7-7 원심분리기와 HEU 생산 능력7-8 핵융합 물질 생산과 기술개발7-9 원자력 주기 완성과 수준4부 북한의 핵 능력8장 북한의 핵실험과 핵 능력8-1 핵무기 위력 8-2 출발점_북한 핵무기 개발 시점과 최초 핵실험8-3 북한의 핵무기 개발 방향, 제2차 핵실험 통한 내폭형 Pu 원자탄 개발8-4 핵물질 전환과 제3차 핵실험8-5 원자탄 표준화와 미사일 탑재_제5차 핵실험8-6 수소탄 개발과 실험_제4차와 6차 실험8-7 풍계리 핵실험장 폐쇄와 복구8-8 풍계리 핵실험장 갱도 붕괴와 방사능 유출 문제8-9 원자력발전소 사고와 지하 핵실험의 방사능 오염 차이8-10 북한 핵무기의 기술적 능력 9장 북한의 핵무기 투발 수단과 핵전술 고도화 9-1 핵탄두 소형화와 미사일 탑재 능력 9-2 투발 수단 현대화와 고도화: ICBM과 우주발사체 개발 9-3 고체추진제 개발과 투발 수단 확장9-4 고체추진제 ICBM 개발9-5 방열 소재 개발과 시험 9-6 핵전술 고도화_고공폭발과 탄두 기동 9-7 북한 핵무기의 전술적 성능5부 핵 패권과 우리의 미래10장 북한 핵의 위협과 대응 방안10-1 북한의 핵무기 개발 특성10-2 “화산-31”과 주요 투발수단10-3 향후 전망 10-4 제7차 핵실험 전망10-5 우리에게 위협과 대응 방향 10-6 경로 파악과 사회주의 핵정책 연구 강화10-7 경로 차단 및 고도화 방지 10-8 탄도미사일 방어와 조기 경보체제 개선 10-9 핵 폭발시 방호10-10 EMP 방호10-11 복구와 치료 및 종합계획 수립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