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자의 말 ㆍ iii감사의 말 ㆍ ix들어가는 글 ㆍ 1제1장 환자로 산다는 것 ㆍ 13환자와 질병의 구별 16환자가 되기로 결심하기 18환자의 삶을 그린 삽화 24첫인상 30정보 전달 31내 편 33인간적 유대 I 34배려 I 37온전히 함께하기 I 38어려운 대화 I 40배려 II 41어려운 대화 II 42온전히 함께하기 II 45전체성 회복 45인간적 유대 II 47해결책 48지혜 이야기 49제2장 임상 공간이 치유에 미치는 영향 ㆍ 55신체적 친밀감 형성하기 57치유를 위한 임상의사의 특성들 64차분함 66주의 깊은 관심과 폭넓은 인식 67정직과 신뢰 69접근성과 옹호 73보살핌, 공감, 측은지심 77요약 88제3장 잘못된 출발과 자주 겪는 실패 ㆍ 91잘못된 출발 96자주 겪는 실패 99환자를 대상이나 숫자로 취급하기 99서두르는 의사 103무관심한 의사 106감정 회피 112부적절한 말 116부정적인 신체 언어 121제4장 세 가지 여정 ㆍ 127“소염제 이부프로펜과 사랑” 131“주파수 맞추기” 150“우리 모두는 같은 것을 원한다” 167제5장 환자가 된다는 것: 슬기로운 환자생활 ㆍ 193환자가 된다는 것의 현상학 196행위주체성: 임상의사 그리고 환자 196환자의 세계 200취약성 및 반응성: 환자에 대한 윤리적 고찰 200그녀를 떠밀고 가기 203이중 행위주체성의 윤리적 영역 206취약한 존재로서의 신체 207호소하는 존재로서의 신체 208타인에 대한 반응 209타인에 대한 인정 209환자의 삶에서 이중 행위주체성의 리듬 210시간 지키기, 신체 붙잡기 212제6장 의료윤리에 대한 재고: 공감진료를 향하여 ㆍ 223생명윤리학 원칙의 허점 225의학윤리 강령의 나르시시즘 239앞으로 나아가기: 선서와 교육 기회 243의료인 선서의 개정: 새로운 출발 246치유자인 의료인 교육 247붙이는 글 ㆍ 2531. 연구 설계 및 계획 2532. 자료수집: 반구조화 인터뷰 254표본추출과 대상자 모집 254인터뷰 가이드 256인터뷰 진행 2583. 자료분석 258코드북 개발 2584. 글쓰기 260참고의 글 ㆍ 262찾아보기 ㆍ 2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