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판 출간에 부쳐프롤로그제0장. 『재일조선미술가화집』에 관하여1. 외관 - 사이즈와 표제2. 목차와 수록 작품 목록3. 본문 -화집에 수록된 텍스트의 분석4. 수록 작품의 특징테마 | 모티프 | 사실성제1장. 시동의 에너지1. 고유한 경험의 축적 -1940년대 후반부터 1953년까지‘재일조선미술가협회’의 결성 | 일본 공모전 참여 |미술학교에서 만난 두 화가, 표세종과 성리식 |미술교사로 활약한 박사림 | 만화가 전철의 탄생 비화2. 고유한 경험의 합류 -‘재일조선미술회’의 결성‘재일조선미술회’의 결성 | 활동의 구심이자 동력이었던 화가 김창덕제2장. 무엇을, 어떻게 창조할 것인가1. ‘민족미술’의 추구토론의 시작 -김창락의 원체험 | 백령과 초현실주의 |성리식과 모더니즘2. 《순회전》 개최의 기쁨과 이후의 전개전시의 성사 과정 | 개최 후의 혼란제3장. 공통 테마와 ‘사실’ - 토론에서 제작으로, 그리고 발표로1. 토론과 제작토론 | 제작 | 테마1 ‘재일조선인의 생활’ | 테마2 ‘귀국’ |테마3 ‘남조선의 구국투쟁2. 전시와 반응《9·9전》 | 《제12회 일본앙데팡당전》 |《8·15 조국해방 기념미술전》제4장. 《연립전》, 이국땅에서 분단을 넘어서다1. 개최까지의 과정한반도 분단과 재일조선인 | 《연립전》 전사前史2. 예술가의 ‘통일’을 목표로 한 활동의 궤적《제1회 연립전》의 개최 경위와 기간, 참가 단체 |《제2회 연립전》의 개최 경위와 기간, 참가 단체 |출품 작가와 작품3. 따뜻했던 교류와 급속한 냉각상호교류의 활성화 | 성공에 따른 여파4. 정리제5장. 일본인 미술가와의 접점1. 개인전 개최와 일본 공모전 참여이과회 | 행동미술협회 | 일본청년미술가연합 |일본판화운동협회 | 일본노동만화클럽 | 기타2. 《일본앙데팡당전》 출품일본미술회의 창립 | 《일본앙데팡당전》 개최 |조선인미술가의 출품 기록 | 출품 보고와 비평3. 미술을 통한 문화교류를 실현한 《조일우호미술전》 개최 취지와 제1회전의 양상 | 전람회 보고와 그 후제6장. 재일조선인미술사를 풀어가는 이야기1. 연구의 실마리인터뷰어이자 필자인 ‘나’에 대하여 | 인터뷰 이외의 자료 | 제6장의 구성2. 도쿄의 미술가들모여드는 미술가들 | 조선학교 교과서 삽화 제작과 관련된 일화 |오야마와 시모기타자와에서의 일화3. 오사카, 교토, 효고의 미술가들미술가로서의 도정과 조직의 설립 -김희려 | 제주 4·3 사건에서 목격한 생과 사,그리고 예술에의 모색 -리경조 | 하상철의 회상 -미술교사 아오야마 선생과 전화황 선생4. 구술사로서의 재일조선인미술사 연구에필로그부록 1. 재일조선미술회 기관지 『조선미술』 해제 2. 인명 해설 3. 참고문헌 4. 출처일본어판 후기옮긴이의 글추천의 글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