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정책건의 3
01. 서론 14
1. 연구 배경 및 목적 15
1) 연구의 배경 15
2) 연구의 목적 16
2. 연구 내용 및 방법 17
02. 이론적 검토 19
1. 행복과 삶의 질 개념 및 측정 20
1) 행복과 삶의 질의 관계 20
2) 행복과 삶의 질의 개념 21
3) 행복의 측정 23
4) 삶의 질의 측정 24
2. 국내외 행복지표 사례 검토 25
1) 국내 행복지표 사례 25
2) 해외 행복지표 사례 39
3. 지표 개발 원칙 53
1) 지표(Indicator) 개념과 역할 53
2) 지표 개발 원칙 54
3) 지표 체계와 지수 57
4. 지표 개발 방법 및 측정 과정 60
03. 경기도 행복지표 개발 72
1. 경기도 행복지표 개발 과정 73
1) 지표개발 과정 73
2) 델파이 조사 결과 75
2. 경기도 행복지표 구성 95
1) 행복지표 총괄 95
2) 행복지표 세부 내용 98
04. 경기도 행복수준 분석 111
1. 경기도 행복지표 특성 112
1) 경기도민 행복수준 실태조사 개요 112
2) 경기도민 행복수준 실태조사 결과 114
2. 행복 및 만족도 분석 185
3. 행복 영향요인 분석 192
05. 결론 및 정책 제언 201
1. 연구 요약 202
1) 행복지표 개발 과정 202
2) 경기도민 행복수준 204
3) 경기도민 행복 영향 요인 210
2. 정책 제언 212
1) 행복수준 증진을 위한 제언 212
2) 행복지표 개선을 위한 제언(제도 및 관리 부문) 214
3) 한계 및 보완점 217
참고문헌 219
Abstract 223
[부록] 225
판권기 2
[표 2-1] 삶의 질의 네 가지 유형(Four qualities of life) 21
[표 2-2] 행정자치부의 지역공동체 행복지표 구성체계(공통지표) 26
[표 2-3] 서울시 행복지수(2006년) 구성체계 27
[표 2-4] 서울시 행복지표(2014년) 구성체계 28
[표 2-5] 서울시 행복지표(2016년) 구성체계 28
[표 2-6] 충청북도 행복지수 구성체계 29
[표 2-7] 충청남도 행복지표 구성체계 30
[표 2-8] 경남형 주민행복지표 구성체계 32
[표 2-9] 전북형 행복지표 구성체계 34
[표 2-10] 대전형 행복지수 구성체계 36
[표 2-11] 세종특별자치시 행복지표 구성체계 37
[표 2-12] 제주특별자치도 행복지수 구성체계 38
[표 2-13] UN의 세계행복지수 측정 지표 40
[표 2-14] 영국의 National Well-being 측정지표 42
[표 2-15] 캐나다의 CIW 측정지표 43
[표 2-16] 국내 광역자치단체 행복지표 45
[표 2-17] 지표 작성 과정 55
[표 2-18] 공식 통계의 지표 선정 기준 55
[표 2-19] SMART 원칙 기준 57
[표 2-20] 지수 작성 과정 59
[표 2-21] 인과관계적 방법론과 주제접근 방법론의 장단점 62
[표 2-22] 프로젝트 프레임워크 63
[표 2-23] 직접 지표와 간접 지표 비교 65
[표 2-24] 객관 지표와 주관 지표 비교 65
[표 2-25] 양적 지표와 질적 지표 비교 66
[표 2-26] 서울시 각 행복지표 변화 추이(2018-2022) 69
[표 3-1] 델파이 1차 조사 결과 - 주관적 웰빙 영역 75
[표 3-2] 델파이 1차 조사 결과 - 경제 영역 76
[표 3-3] 델파이 1차 조사 결과 - 건강 영역 77
[표 3-4] 델파이 1차 조사 결과 - 교육 영역 78
[표 3-5] 델파이 1차 조사 결과 - 주거 및 교통 영역 79
[표 3-6] 델파이 1차 조사 결과 - 고용 영역 80
[표 3-7] 델파이 1차 조사 결과 - 가족 및 공동체 영역 80
[표 3-8] 델파이 1차 조사 결과 - 시민참여 영역 81
[표 3-9] 델파이 1차 조사 결과 - 문화 및 여가 영역 82
[표 3-10] 델파이 1차 조사 결과 - 환경 및 안전 영역 83
[표 3-11] 델파이 2차 조사 결과 - 주관적 웰빙 영역 84
[표 3-12] 델파이 2차 조사 결과 - 경제 영역 85
[표 3-13] 델파이 2차 조사 결과 - 건강 영역 86
[표 3-14] 델파이 2차 조사 결과 - 교육 영역 87
[표 3-15] 델파이 2차 조사 결과 - 주거 및 교통 영역 88
[표 3-16] 델파이 2차 조사 결과 - 고용 영역 90
[표 3-17] 델파이 2차 조사 결과 - 가족 및 공동체 영역 91
[표 3-18] 델파이 2차 조사 결과 - 시민참여 영역 92
[표 3-19] 델파이 2차 조사 결과 - 문화 및 여가 영역 92
[표 3-20] 델파이 2차 조사 결과 - 환경 및 안전 영역 94
[표 3-21] 경기도 행복지표 구성안 및 판단결과 95
[표 3-22] 경기도 행복지표 - 주관적 웰빙 영역 98
[표 3-23] 경기도 행복지표 - 경제 영역 99
[표 3-24] 경기도 행복지표 - 건강 영역 100
[표 3-25] 경기도 행복지표 - 교육 영역 101
[표 3-26] 경기도 행복지표 - 주거 및 교통 영역 102
[표 3-27] 경기도 행복지표 - 고용 영역 103
[표 3-28] 경기도 행복지표 - 가족/공동체 및 사회참여 영역 104
[표 3-29] 경기도 행복지표 - 문화 및 여가 영역 106
[표 3-30] 경기도 행복지표 - 환경 및 안전 영역 107
[표 3-31] 경기도 행복지표 구성 및 지표 출처 108
[표 4-1] 표본 할당표 112
[표 4-2] 응답자 일반 특성 113
[표 4-3]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영역별 만족도 190
[표 4-4] 행복 관련 주요 요인들의 상관관계 192
[표 4-5] 삶의 만족도 및 행복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회귀분석 Ⅰ 193
[표 4-6] 삶의 만족도 및 행복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회귀분석 Ⅱ 194
[표 4-7] 연령별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회귀분석 195
[표 4-8] 연령별 행복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회귀분석 196
[표 4-9] 권역별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회귀분석 197
[표 4-10] 권역별 행복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회귀분석 198
[표 4-11] 연령별 삶의 만족도 및 행복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순위 199
[표 4-12] 권역별 삶의 만족도 및 행복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순위 200
[표 5-1] 경기도 행복지표 개발 과정 203
[표 5-2] 경기도 행복지표값 208
[표 5-3] 부탄과 아랍에미리트의 행복영향평가 심사 기준 217
[그림 1-1] 연구흐름도 18
[그림 2-1] OECD의 주관적 웰빙 모델 23
[그림 2-2] 통계청의 국민 삶의 질 지표 기본틀 25
[그림 2-3] 부탄 국민총행복지수(GNH)의 9개 영역 41
[그림 2-4] 통계 정보의 구조 54
[그림 2-5] 지표개발 과정과 활용 60
[그림 2-6] 프레임워크 구축 과정 61
[그림 2-7] 국민 삶의 질 지표 프레임워크 64
[그림 2-8] 2019년 대한민국 및 경기도 행복지도(행복지수) 70
[그림 2-9] 연구 결과물을 보여주는 방식의 예 71
[그림 3-1] 주관적 웰빙 영역 지표의 중요도 점수 98
[그림 3-2] 경제 영역 지표의 중요도 점수 99
[그림 3-3] 건강 영역 지표의 중요도 점수 100
[그림 3-4] 교육 영역 지표의 중요도 점수 101
[그림 3-5] 주거 및 교통 영역 지표의 중요도 점수 102
[그림 3-6] 고용 영역 지표의 중요도 점수 103
[그림 3-7] 가족/공동체 및 사회참여 영역 지표의 중요도 점수 105
[그림 3-8] 문화와 여가 영역 지표의 중요도 점수 106
[그림 3-9] 환경 및 안전 영역 지표의 중요도 점수 107
[그림 4-1] 전반적 삶의 만족도 114
[그림 4-2] 긍정적 정서 115
[그림 4-3] 부정적 정서 116
[그림 4-4] 가구소득 117
[그림 4-5] 가계부채 있음 비율 118
[그림 4-6] 생활비 부족 경험 119
[그림 4-7] 소득 만족도 120
[그림 4-8] 소비생활 만족도 121
[그림 4-9] 계층이동 가능성 122
[그림 4-10] 자살률 123
[그림 4-11] 기대수명 124
[그림 4-12] 미충족의료율 125
[그림 4-13] 주관적 건강상태 126
[그림 4-14] 의료서비스 만족도 127
[그림 4-15] 스트레스 인지율 128
[그림 4-16] 자살 생각 129
[그림 4-17] 평생교육 참여율 130
[그림 4-18] 사교육비 지출률 131
[그림 4-19] 교원1인당 학생수 132
[그림 4-20] 대학졸업자 취업률 133
[그림 4-21] 보육 만족도 134
[그림 4-22] 공교육 만족도 135
[그림 4-23] 사교육 만족도 136
[그림 4-24] 평생교육 만족도 137
[그림 4-25] 통근/통학 시간 138
[그림 4-26] 1인당 주거면적 139
[그림 4-27] 최저 주거기준 미달 가구 140
[그림 4-28] 주거비 부담 수준 141
[그림 4-29] 주거환경 만족도 142
[그림 4-30] 주택 만족도 143
[그림 4-31] 대중교통 이용 만족도 144
[그림 4-32] 보행환경 만족도 145
[그림 4-33] 통근/통학 스트레스 146
[그림 4-34] 고용률 147
[그림 4-35] 실업률 148
[그림 4-36] 월평균 근로시간 149
[그림 4-37] 일자리 안정성 만족도 150
[그림 4-38] 임금수준 만족도 151
[그림 4-39] 근무환경 만족도 152
[그림 4-40] 근로내용 만족도 153
[그림 4-41] 근로문화 만족도 154
[그림 4-42] 일생활균형 만족도 155
[그림 4-43] 자원봉사 참여율 156
[그림 4-44] 사회단체 참여율 157
[그림 4-45] 사회적 관계망 158
[그림 4-46] 가족관계 만족도 159
[그림 4-47] 지역소속감 160
[그림 4-48] 이웃 신뢰도 161
[그림 4-49] 대인 신뢰도 162
[그림 4-50] 사회 신뢰도 163
[그림 4-51] 정책참여 기회도 164
[그림 4-52] 소통 만족도 165
[그림 4-53] 정치적 역량감 166
[그림 4-54] 여가시간 167
[그림 4-55] 여가지출 168
[그림 4-56] 문화기반시설 수 169
[그림 4-57] 문화 및 여가활동 만족도 170
[그림 4-58] 일과 여가의 균형 171
[그림 4-59] 문화시설 접근성 만족도 172
[그림 4-60] 문화기반 시설 이용 만족도 173
[그림 4-61] 여가시간 충분도 174
[그림 4-62] 여가금액 충분도 175
[그림 4-63] 미세먼지 농도 176
[그림 4-64] 도시공원 조성 면적 177
[그림 4-65] 범죄율 178
[그림 4-66] 녹지환경 만족도 179
[그림 4-67] 대기질 만족도 180
[그림 4-68] 수질 만족도 181
[그림 4-69] 소음 및 진동 만족도 182
[그림 4-70] 야간보행 안전도 183
[그림 4-71] 안전에 대한 인식 184
[그림 4-72] 행복수준 평균값 변화 185
[그림 4-73] 행복수준 구간별 변화 186
[그림 4-74] 연령별 행복수준 변화 187
[그림 4-75] 소득수준별 행복수준 변화 188
[그림 4-76]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91
[그림 5-1] 경기도 행복지표 구성도 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