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연구개요 4
제1장 서론 52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53
1. 연구 배경 53
2. 연구 목적 56
제2절 연구 범위 및 방법 58
1. 연구 범위 58
2. 연구 방법과 절차 59
제2장 문화관광축제의 현황과 정책 변화 60
제1절 축제의 기능과 발전 61
1. 축제 기능의 변화 61
2. 축제 산업화로의 발전 62
제2절 문화관광축제 정책 도입과 변화 67
1. 문화관광축제의 도입 이전 67
2. 문화관광축제 도입과 정책변화 68
제3절 문화관광축제 개최 특성 및 법ㆍ제도 현황 72
1. 문화관광축제 개최 특성 72
2. 문화관광축제 법ㆍ제도 현황 79
제4절 문화관광축제 개최 효과 87
1. 문화관광축제의 개최 의의 87
2. 문화관광축제의 개최 효과 88
제5절 시사점 98
제3장 문화관광축제 산업생태계 분석과 주요 이슈 101
제1절 축제산업 생태계의 개념과 특성 102
1. 산업화 및 산업생태계의 개념 102
2. 축제산업 정의와 생태계의 구성요소 110
제2절 문화관광축제 산업생태계 분석 115
1. 문화관광축제 산업생태계 분석 개요 115
2. 문화관광축제 산업생태계 분석절차 118
3. 문화관광축제 산업생태계의 구조적 특성 122
4. 문화관광축제 산업생태계의 지위적 특성 130
제3절 문화관광축제 산업화의 주요 이슈 141
1. 문화관광축제의 이슈 분석의 개요 141
2. 문화관광축제 산업화의 주요 이슈 143
제4절 시사점 147
제4장 문화관광축제 산업화 촉진을 위한 사례 150
제1절 사례분석 개요 151
제2절 축제 산업화 지원 정책사례 152
1. 축제 개최ㆍ운영자를 위한 재정지원 및 조성 사례 152
2. 축제 산업 전담조직 및 기업 163
3. 축제 개최의 자격요건 부여 및 관리 168
제3절 시사점 171
제5장 문화관광축제 산업화를 위한 전문가 조사 175
제1절 조사 개요 176
제2절 문화관광축제 정책 현황에 관한 인식조사 177
1. 문화관광축제 지원사업의 개선 필요성 177
2. 문화관광축제 지원사업 분석결과 178
제3절 문화관광축제 산업화를 위한 정책대안 평가 180
1. 문화관광축제 산업화 정책방향에 대한 평가 180
2. 문화관광축제 산업화 추진전략에 대한 평가 182
3. 문화관광축제 산업화 정책대안 평가 184
제4절 시사점 201
제6장 문화관광축제 산업화 촉진 방향과 추진방안 204
제1절 문화관광축제 산업화 의의와 산업생태계 205
1. 문화관광축제의 산업화 필요성과 의의 205
2. 문화관광축제의 산업생태계 모델 207
제2절 문화관광축제의 산업화 추진 방향과 과제 208
1. 정책 방향과 추진전략 208
2. 문화관광축제 산업화 촉진 관련 정책과제 211
제7장 결론 및 정책 제언 240
제1절 결론 241
제2절 정책 제언 244
참고문헌 247
ABSTRACT 252
[부록] 문화관광축제 산업화 촉진을 위한 정책 지원방안 전문가 설문지 254
판권기 260
〈표 2-1〉 지역축제 규모에 따른 축제 유형 분류 64
〈표 2-2〉 문화관광축제 개최 특성 분석 개요 72
〈표 2-3〉 문화관광축제 지원제도 대상 축제 개최 지역 73
〈표 2-4〉 문화관광축제의 개최 시기 74
〈표 2-5〉 문화관광축제 지원제도 대상 축제의 개최 기간 75
〈표 2-6〉 문화관광축제 지원제도 대상 축제 예산(합계) 76
〈표 2-7〉 문화관광축제 지원제도 대상 축제 방문자 수(합계) 77
〈표 2-8〉 축제 개최 유형 및 조직 형태 78
〈표 2-9〉 문화관광축제 법률 근거 79
〈표 2-10〉 문화관광축제 지정 기준 등에 따른 제도 개편 80
〈표 2-11〉 17개 시ㆍ도 축제 관련 조례 명과 관련 특징 81
〈표 2-12〉 광역 시ㆍ도 별 주요 축제 조례 규율 내용 82
〈표 2-13〉 문화관광축제 정책의 주요 내용 83
〈표 2-14〉 문화관광축제 평가지표 84
〈표 2-15〉 문화관광축제 지정 적부심사 기준 84
〈표 2-16〉 2020-2023 문화관광축제 지정 현황 85
〈표 2-17〉 문화관광축제 간접 지원 사업 현황 86
〈표 2-18〉 세계 주요 축제별 참가자 수와 경제효과 89
〈표 2-19〉 지역축제 개최 현황 93
〈표 3-1〉 관광산업의 생태계 구조에 따른 하위 구성요소 108
〈표 3-2〉 사회연결망 분석방법을 활용한 선행연구의 분석 지표 114
〈표 3-3〉 문화관광축제 산업생태계 분석대상 115
〈표 3-4〉 사회연결망 분석 세부내용 117
〈표 3-5〉 문화관광축제 생태계 분석지표 118
〈표 3-6〉 분석 범위 119
〈표 3-7〉 문화관광축제 경영데이터 수집 단계 120
〈표 3-8〉 최종 분석 활용 기업 데이터 수 121
〈표 3-9〉 축제산업 생태계 거래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 123
〈표 3-10〉 응집 그룹 커뮤니티 응집성 분석 결과 124
〈표 3-11〉 커뮤니티1 응집성 분석 결과 126
〈표 3-12〉 커뮤니티2 응집성 분석 결과 127
〈표 3-13〉 커뮤니티3 응집성 분석 결과 128
〈표 3-14〉 커뮤니티4 응집성 분석 결과 129
〈표 3-15〉 네트워크 중심성 분석 결과 131
〈표 3-16〉 전체 축제 산업간 네트워크 거래관계 133
〈표 3-17〉 지역별 축제 산업 간 네트워크 거래관계 134
〈표 3-18〉 업종 분류에 따른 행위자별 데이터 현황 136
〈표 3-19〉 축제별 지역 내ㆍ외 거래 네트워크 참여기업 수 137
〈표 3-20〉 축제 역할별ㆍ업종별 핵심 행위자의 거래 네트워크 참여기업 수 139
〈표 3-21〉 축제 지역별ㆍ역할별 거래 네트워크 참여기업 수 140
〈표 3-22〉 이슈 도출을 위한 전문가 그룹토의(FGD) 일정 및 주요 논의사항 142
〈표 4-1〉 국외 사례분석 개요 요약 151
〈표 4-2〉 호주 Festivals Australia 정책의 주요 내용 153
〈표 4-3〉 호주 Festivals Australia 지원대상 선정(평가) 기준 154
〈표 4-4〉 캐나다 토론토시 Cultural Festivals Funding Program 유형 155
〈표 4-5〉 캐나다 토론토시 Cultural Festivals Funding Program 정책의 주요내용 156
〈표 4-6〉 Multi-Year Operating / Annual Operating 지원대상 선정(평가) 기준 157
〈표 4-7〉 Projects 지원대상 선정(평가) 기준 157
〈표 4-8〉 Festivals and Special Events(fest) Grant Program 정책의 주요내용 158
〈표 4-9〉 Festivals and Special Events(fest) Grant Program 지원대상 선정(평가) 기준 159
〈표 4-10〉 기온마츠리의 크라우드펀딩 현황(2015년-2022년) 161
〈표 4-11〉 오사카텐진마츠리의 크라우드펀딩 현황(2015년-2022년) 162
〈표 4-12〉 일본 지역 전통 예능 활용 센터 개요 및 주요 사업 164
〈표 4-13〉 축제의 관광적 활용을 위한 제언 166
〈표 4-14〉 오마츠리재팬 연구진 인터뷰 결과 요약 167
〈표 4-15〉 스페인 축제 개최 라이선스 관련 법률 구성 168
〈표 4-16〉 스페셜 이벤트 허가 핸드북 주요내용 169
〈표 4-17〉 스페셜 이벤트 개최 부과비용 170
〈표 5-1〉 문화관광축제 전문가조사 개요 176
〈표 5-2〉 문화관광축제 지원사업 내역사업별 필요성 및 효과성 분석 178
〈표 5-3〉 문화관광축제 산업화 정책방향별 필요성 및 적합성 분석 180
〈표 5-4〉 문화관광축제 산업화 추진전략별 필요성 및 효과성 분석 182
〈표 5-5〉 문화관광축제 산업화를 위한 정책대안 분석결과(종합) 188
〈표 5-6〉 중점과제 영역 정책대안 분석결과 190
〈표 5-7〉 장기추진 영역 정책대안 분석결과 191
〈표 5-8〉 낮은 우선순위 영역 정책대안 분석결과 192
〈표 5-9〉 문화관광축제 산업화를 위한 정책대안 분석결과(문화관광축제 심사위원) 193
〈표 5-10〉 문화관광축제 산업화를 위한 정책대안 분석결과(지자체, 재단, 민간사업체 담당자) 194
〈표 5-11〉 문화관광축제 심사위원이 평가한 중점과제 영역 정책대안 분석 결과 197
〈표 5-12〉 지자체, 재단, 민간사업체 담당자가 평가한 중점과제 영역 정책대안 분석 결과 197
〈표 5-13〉 문화관광축제 심사위원이 평가한 중점 개선 영역 정책대안 분석 결과 198
〈표 5-14〉 지자체, 재단, 민간사업체가 평가한 중점 개선 영역 정책대안 분석 결과 198
〈표 5-15〉 문화관광축제 심사위원이 평가한 중점 개선 영역 정책대안 분석 결과 198
〈표 5-16〉 지자체, 재단, 민간사업체가 평가한 신속 추진 영역 정책대안 분석 결과 199
〈표 5-17〉 문화관광축제 심사위원이 평가한 낮은 우선순위 영역 정책대안 분석 결과 199
〈표 5-18〉 지자체, 재단, 민간사업체 담당자가 평가한 낮은 우선순위 영역 정책대안 분석 결과 200
〈표 6-1〉 문화관광축제 관련 정책기조의 변화(안) 211
〈표 6-2〉 (가칭) 축제산업경쟁력위원회 구성(안) 217
〈표 6-3〉 주요 관광포럼(예시) 218
〈표 6-4〉 문화관광축제 통합 관리시스템 구축 내용 222
〈표 6-5〉 축제 산업화를 위한 한국표준산업분류(75992) 세분화 방안(안) 226
〈표 6-6〉 축제기업 서비스에 관한 중소기업간 경쟁제품(정의, 확인기준, 공정 등) 관련 고시 227
〈표 6-7〉 (가칭) 문화관광축제 산업발전협의회 구성(안) 228
〈표 6-8〉 (가칭) 축제 트렌드브리프 주요 제공 내용(안) 229
〈표 6-9〉 농림축산식품부 농촌융복합산업 중앙 자문단(FD; Family Doctor) 운영 230
〈표 6-10〉 해양수산부ㆍ한국어촌어항공단의 멘토링 지원사업 232
〈표 6-11〉 (가칭) 융복합 축제 교육프로그램(예시) 234
[그림 1-1] 연구의 수행방법 및 과정 59
[그림 2-1] 축제의 전통적 현대적 기능 변화 61
[그림 2-2] 축제 유형별 관광 가능성 62
[그림 2-3] 축제 확장 과정 63
[그림 2-4] 축제의 산업화를 통한 지역발전 모식도 65
[그림 2-5] 문화관광축제 1996-2023년 정책운영 관련 타임라인 71
[그림 2-6] 문화관광축제 지원제도 대상 축제 개최 지역 73
[그림 2-7] 문화관광축제 지원제도 수혜 대상 축제 개최 시기 74
[그림 2-8] 전체 축제와 문화관광축제의 개최 시기 비교 74
[그림 2-9] 문화관광축제 지원제도 대상 축제의 개최 기간 75
[그림 2-10] 문화관광축제 지원제도 대상 축제 예산(합계) 76
[그림 2-11] 문화관광축제 지원제도 대상 축제 방문자 수(합계) 77
[그림 2-12] 문화관광축제 개최 및 운영으로 인한 편익 요약 87
[그림 2-13] 문화관광축제 방문객 1인당 지출액 89
[그림 2-14] 공급 측면 및 방문자 측면에서의 축제생태계 90
[그림 2-15] 축제산업 생태계 매핑 사례 91
[그림 2-16] 인구소멸 지역 단계별 지역축제 개최 현황 92
[그림 2-17] 문화관광축제 홍보마케팅 사례 97
[그림 3-1] Porter 가치사슬 모형 103
[그림 3-2] 공연시장 서비스가치 네트워크 모델 104
[그림 3-3] 산업생태계의 개념과 특징 107
[그림 3-4] 관광산업 생태계 거래 네트워크 구조 예시 109
[그림 3-5] 축제산업의 개념적 프레임워크 111
[그림 3-6] 대규모 축제의 공급망(음악축제 예시) 111
[그림 3-7] 축제산업 생태계 자료수집 예시 121
[그림 3-8] 축제산업 생태계 거래 네트워크 구조 122
[그림 3-9] 전체 거래 네트워크 응집 그룹 시각화 125
[그림 3-10] 커뮤니티1(안동축제조직) 업종별 구조 126
[그림 3-11] 커뮤니티2(보령 축제조직) 업종별 구조 127
[그림 3-12] 커뮤니티3(진주 축제조직) 업종별 구조 128
[그림 3-13] 커뮤니티4(화천 축제조직) 업종별 구조 129
[그림 3-14] 전체 네트워크 산업 간 거래 관계 시각화 132
[그림 3-15] 축제 역할별 네트워크 참여기업 시각화 138
[그림 3-16] 문화관광축제 산업화 관련 주요 이슈 분석 과정 141
[그림 4-1] 호주 Festivals Australia 로고와 펀드 지원대상 152
[그림 4-2] 축제 기금 지원 부문 구분과 목적 159
[그림 4-3] 오마츠리재팬의 마츠리 크라우드펀딩 관련 모금 기사 162
[그림 4-4] 오마츠리재팬 미션과 주요 테마 166
[그림 4-5] 축제 재원 종류와 유형 172
[그림 5-1] 문화관광축제 지원사업의 개선 필요성 177
[그림 5-2] 문화관광축제 지원사업 영역별 분석결과 179
[그림 5-3] 문화관광축제 산업화 정책 영역별 분석 결과 181
[그림 5-4] 문화관광축제 산업화 추진전략 영역별 분석 결과 183
[그림 5-5] 인증ㆍ지원 정책대안 분석 결과 184
[그림 5-6] 장소경쟁력 정책대안 분석 결과 185
[그림 5-7] 조직ㆍ인력지원 정책 분석 결과 185
[그림 5-8] 기술지원 정책대안 분석 결과 186
[그림 5-9] 홍보마케팅 정책대안 분석 결과 186
[그림 5-10] 법제도정비 정책대안 분석 결과 187
[그림 5-11] 문화관광축제 산업화 정책대안의 중요성ㆍ시급성 분석 결과 189
[그림 5-12] 중점과제 영역 정책대안 IPA 190
[그림 5-13] 장기추진 영역 정책대안 IPA 191
[그림 5-14] 낮은 우선순위 영역 정책대안 IPA 192
[그림 5-15] 정책대안의 중요성ㆍ시급성 분석 결과(문화관광축제 심사위원) 194
[그림 5-16] 정책대안의 중요성ㆍ시급성 분석 결과(지자체, 재단, 민간사업체 담당자) 196
[그림 6-1] 문화관광축제 산업생태계 모델(안) 207
[그림 6-2] 문화관광축제 산업화 촉진 방향과 추진전략 210
[그림 6-3] 글로벌 축제의 수입/지출 및 재원성격 213
[그림 6-4] 문화관광축제 정책사업 재설계(안) 215
[그림 6-5] 우수문화관광축제 세부개편(안) 216
[그림 6-6] 문화관광축제 장소 조성 예시 222
[그림 6-7] 축제산업 공급 네트워크 224
[그림 6-8] 문화관광축제 정책통계 개선 방향(안) 225
[그림 6-9] 축제산업 자격제도 절차(안)(가칭, 축제 코디네이터) 235
[그림 7-1] 문화관광축제 산업화 촉진으로 전환(안) 2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