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Ⅰ. 연구 개요 8
1. 연구 배경 및 목적 9
가. 연구 배경 9
나. 연구 목적 10
2. 연구 범위 및 방법 11
가. 연구 범위 11
나. 연구 방법 12
3. 연구 추진 체계 13
가. 연구 흐름도 13
나. 연구 추진 조직 14
다. 연구 추진 과정 14
Ⅱ. 지역관광발전지수 지표 발굴 15
1. 지수 개념 검토 16
가. 지수의 역할 및 의의 16
나. 지수 개발 절차 17
다. 지표 선정 기준 18
라. 지역관광발전지수 개념 18
2. 국내ㆍ외 유사사례 분석 20
가. 사례 분석 개요 20
나. 세부 사례 분석 21
3. 지표 개선 방향 및 절차 37
가. 지표 개선 방향 설정 37
나. 지표 개선 절차 39
4. 세부 지표(안) 및 개념화 60
가. 관광수용력지수 지표 정의 및 개념화 60
나/다. 관광소비력지수 지표 정의 및 개념화 76
다/라. 관광정책역량지수 지표 정의 및 개념화 82
5. 자료 수집 방안 89
가. 자료 수집 방향 89
나. 국가승인 통계자료 수집 90
Ⅲ. 세부 지표별 현황 분석 93
1. 파일럿 테스트 대상지역 선정 94
가. 선정 방법 94
나. 선정 결과 94
2. 관광수용력지수 관련 지표 현황 97
가. 관광자원 분포 97
나. 관광인프라 101
3. 관광소비력지수 관련 지표 현황 108
가. 관광객 108
나. 관광산업 110
4. 관광정책역량지수 관련 지표 현황 113
가. 관광정책환경 113
나. 인적역량 114
다. 지역홍보 116
Ⅳ. 표준모델 개선 118
1. 지역관광발전지수 표준모델 개선 119
가. 표준모델 개요 119
나. 표준모델 개선 프로세스 121
다. 지표 가중치 산출 121
2. 지역관광발전지수 분석 결과 127
가. A광역시 분석 결과 127
나. B도 분석 결과 128
다. C도 분석 결과 129
3. 기존 지표 소급 수정 방안 130
가. 소급 수정 사례 130
나. 지역관광발전지수 적용 방안 131
Ⅴ. 활용 방안 및 정책 제언 133
1. 활용 방안 134
2. 정책 제언 136
참고문헌 138
[부록 1] 전문가 AHP 설문지 140
판권기 146
〈표 1-1〉 연구의 내용적 범위 11
〈표 2-1〉 관련 사례 분석 20
〈표 2-2〉 태평양 지역 주요 국가의 2021 관광발전지수 22
〈표 2-3〉 지역문화실태조사 지표체계(2020년) 24
〈표 2-4〉/〈표 2-5〉 지역문화종합지수 상위 10개 지역 26
〈표 2-5〉/〈표 2-6〉 소비자물가지수 항목별 구분 29
〈표 2-6〉/〈표 2-7〉 OECD 지역웰빙지수 분야 및 지표 30
〈표 2-7〉/〈표 2-8〉 한국 각 지역별 2019 웰빙지수 예시 31
〈표 2-8〉/〈표 2-9〉 2021년과 2022년 지역안전지수 산출 결과 비교 33
〈표 2-9〉/〈표 2-10〉 지역안전지수 관련 지표 자료 출처 34
〈표 2-10〉/〈표 2-11〉 유사 사례 종합 분석 36
〈표 2-11〉/〈표 2-12〉 기존 지표에 대한 검토 40
〈표 2-12〉/〈표 2-13〉 기존 지표 관련 지자체 의견 42
〈표 2-13〉/〈표 2-14〉 지역관광발전지수 신규 1차 세부 지표(안) 44
〈표 2-14〉/〈표 2-15〉 기존 대분류와 신규 대분류(안) 비교 45
〈표 2-15〉/〈표 2-16〉 기존 중분류와 신규 중분류(안) 비교 45
〈표 2-16〉/〈표 2-17〉 기존 소분류와 신규 소분류(안) 비교 45
〈표 2-17〉/〈표 2-18〉 기존 세부 지표와 1차 세부 지표(안) 검토 46
〈표 2-18〉/〈표 2-19〉 연구진 기존 지표 검토 결과 54
〈표 2-19〉/〈표 2-20〉 지자체 지표 관련 의견 접수 55
〈표 2-20〉/〈표 2-21〉 전문가 지표 관련 의견 접수 56
〈표 2-21〉/〈표 2-22〉 기존 지표 체계와 신규 지표 체계(안) 검토 58
〈표 2-22〉/〈표 2-23〉 관광수용력지수 지표 체계(안) 60
〈표 2-23〉/〈표 2-24〉 관광자원분포 지표 체계(안) 61
〈표 2-24〉/〈표 2-25〉 관광인프라 지표 체계(안) 68
〈표 2-25〉/〈표 2-26〉 관광소비력지수 지표 체계(안) 76
〈표 2-26〉/〈표 2-27〉 관광객 지표 체계(안) 76
〈표 2-27〉/〈표 2-28〉 관광산업 지표 체계(안) 79
〈표 2-28〉/〈표 2-29〉 관광정책역량지수 지표 체계(안) 82
〈표 2-29〉/〈표 2-30〉 관광정책환경 지표 체계(안) 82
〈표 2-30〉/〈표 2-31〉 인적 역량 지표 체계 85
〈표 2-31〉/〈표 2-32〉 지역홍보 지표 체계(안) 87
〈표 2-32〉/〈표 2-31〉 통계자료 주요 내용 92
〈표 3-1〉 파일럿 테스트 대상지역 현황 95
〈표 3-2〉 산악 관광자원 수 97
〈표 3-3〉 해양 관광자원 수 98
〈표 3-4〉 박물관ㆍ미술관 수 98
〈표 3-5〉 문화공연 횟수 99
〈표 3-6〉 관광이용시설 수 100
〈표 3-7〉 관광축제 개최일 수 100
〈표 3-8〉 스포츠이벤트 개최 일수 101
〈표 3-9〉 유관숙박업 객실 수 101
〈표 3-10〉 관광숙박업 객실 수 102
〈표 3-11〉 관광숙박업 객실 이용률 102
〈표 3-12〉 관광안내소 수 103
〈표 3-13〉 관광안내인력 활동일 수 104
〈표 3-14〉 모범음식점 지정 업체 수 104
〈표 3-15〉 맛집 인증 업체 수 105
〈표 3-16〉 전통시장 점포 수 105
〈표 3-17〉 대규모 점포 수 106
〈표 3-18〉 시티투어 운행 횟수 107
〈표 3-19〉 렌터카 업체 수 107
〈표 3-20〉 주요 관광지점 입장객 수 108
〈표 3-21〉 주요 관광지 검색 증가율 109
〈표 3-22〉 관광만족도 109
〈표 3-23〉 관광지출액 110
〈표 3-24〉 관광사업체 수 110
〈표 3-25〉 관광품질인증 건수 111
〈표 3-26〉 관광마을 매출액 111
〈표 3-27〉 관광지원서비스 업체 수 112
〈표 3-28〉 관광자원 개발사업 건수 113
〈표 3-29〉 재정자립도 114
〈표 3-30〉 관광 예산 비율 114
〈표 3-31〉 관광 공무원 수 115
〈표 3-32〉 공무원 관광교육 프로그램 이수자 수 115
〈표 3-33〉 관광종사원 교육프로그램 지출액 116
〈표 3-34〉 관광홍보행사 참여 건수 117
〈표 3-35〉 관광 관련 보도자료 건수 117
〈표 4-1〉 신규 지표(안) 분류별 가중치 종합 123
〈표 4-2〉 기존 지표 및 신규 지표 분류별 가중치 비교(대분류) 124
〈표 4-3〉 기존 지표 및 신규 지표 분류별 가중치 비교(중분류) 124
〈표 4-4〉 기존 지표 및 신규 지표 분류별 가중치 비교(소분류) 125
〈표 4-5〉 분류별 가중치 비교 종합 126
〈표 4-6〉 소비자물가지수 소급 수정 예시 132
〈표 4-7〉 지역관광발전지수 소급 수정 방식 132
[그림 1-1] 연구 목적 10
[그림 1-2] 연구 추진 조직 14
[그림 2-1] 2021 관광발전지수 지표 구성 21
[그림 2-2] 2021 관광경쟁력 지수 시각화 22
[그림 2-3] 2020년 기준 지역문화종합지수 온라인 DB 입력 시스템 26
[그림 2-4] 소비자물가지수 시각화 28
[그림 2-5] 지역웰빙지수 웹사이트의 시각화 32
[그림 2-6] 지역안전지수 변화 과정 34
[그림 2-7] 지표 개선 과정 39
[그림 2-8]/[그림 2-1] 자료수집 방법 89
[그림 3-1] 특별ㆍ광역시 등급 변화 예시 95
[그림 3-2]/[그림 3-1] 광역도 및 소속 기초지자체 등급 변화 예시 96
[그림 4-1] 행정단위별 지역관광발전지수 분리 산출 119
[그림 4-2] 기존 지역관광발전지수 표준모델 120
[그림 4-3]/[그림 4-1] 라스파이레스 산식 130
[그림 5-1] 국가승인통계 진행 절차 136
[그림 5-2] 관광개발정보시스템 내 지역관광발전지수 화면 1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