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요약 10
제1장 서론 18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9
제2절 연구의 목적 및 방법 20
제3절 기존 및 타 연구와의 차별성 21
제2장 통합모빌리티 서비스 국내외 현황 및 시사점 24
제1절 국내 통합모빌리티 서비스 사례 25
1. 공공 통합모빌리티 서비스 사례 26
2. 민간 통합모빌리티 서비스 사례 34
제2절 국외 통합모빌리티 서비스 사례 37
1. 공공 통합 모빌리티 서비스 플랫폼 사례 37
2. 민간 통합 모빌리티 서비스 플랫폼 사례 40
3. 유럽 MaaS Alliance 47
제3절 국내외 사례 고찰 및 시사점 도출 50
1. 다종 모빌리티 데이터 연계 및 공유 체계 필요 50
2. 통합모빌리티(MaaS) 서비스 플랫폼 가이드라인 필요 50
3. 통합모빌리티(MaaS) 서비스 거버넌스 체계 구축 및 운영 필요 53
4. 통합모빌리티(MaaS) 서비스 활성화 지원 법제도 제ㆍ개정 필요 54
5. 지속가능한 통합모빌리티(MaaS) 서비스 비즈니스 모델 필요 55
제3장 한국형 통합모빌리티(K-MaaS) 방향성 및 기본구상 57
제1절 모빌리티 데이터 중계ㆍ연계 방안 58
1. 개방형 MaaS 플랫폼에서 데이터 중계의 필요성 58
2. 모빌리티 데이터 중계ㆍ연계 기본 개념 60
3. 모빌리티 데이터 중계ㆍ연계 구현을 위한 핵심요소 62
제2절 통합모빌리티 플랫폼 기능 및 요구사항 정립 64
1. 통합모빌리티 플랫폼 아키텍쳐 기본 구성 64
2. 통합모빌리티 플랫폼 주요 기능 및 요구사항 정립 65
제3절 통합모빌리티 거버넌스 체계 구축 및 운영 77
1. 통합모빌리티 거버넌스 사례 및 시사점 77
2. 한국형 통합모빌리티 거버넌스의 기본방향 86
제4절 통합모빌리티 서비스 법제도 제ㆍ개정 96
1. 법제도 제ㆍ개정 필요성 96
2. 통합모빌리티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 제ㆍ개정 요구사항 97
3. 통합모빌리티 관련 기존 법제도 현황 98
제5절 통합모빌리티 비즈니스 모델 기본 구상 101
1.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101
2. 기존 통합모빌리티 서비스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분석 103
3. 한국형 통합모빌리티 서비스 비즈니스 모델 방향성 105
제4장 한국형 통합모빌리티(K-MaaS) 추진계획 및 실행방안 108
제1절 모빌리티 데이터 중계ㆍ연계 체계 추진방안 109
1. 모빌리티 데이터 표준화 109
2. 모빌리티 데이터 중계ㆍ연계 체계 구축 113
제2절 통합 모빌리티 플랫폼 구축방안 117
1. 통합 모빌리티 플랫폼 아키텍처 구성 117
2. 통합 모빌리티 플랫폼 구성 요구사항 120
제3절 한국형 통합모빌리티 거버넌스 체계 구축 및 추진 방안 149
1. 한국형 통합모빌리티 거버넌스 구축 방안 149
2. 한국형 통합모빌리티 거버넌스 추진 체계 161
제4절 통합모빌리티 서비스 법제도 제ㆍ개정 추진방안 164
1. 통합모빌리티 서비스 법제도 개정방안 정립 164
2. 통합모빌리티 서비스 특별법 제정(안) 마련 170
제5절 통합모빌리티 비즈니스 모델 추진방안 181
1. 한국형 통합모빌리티 서비스 맞춤형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도출 181
2. 한국형 통합모빌리티 서비스 맞춤형 비즈니스 모델 개발 182
제5장 결론 및 정책 제언 186
제1절 결론 187
제2절 정책 제언 189
참고문헌 195
Abstract 198
판권기 203
〈표 1-1〉 기존 및 타 연구와의 차별성 22
〈표 2-1〉 핀란드 Whim 요금제 41
〈표 2-2〉 스웨덴 Ubigo 요금체계 43
〈표 2-3〉 유럽 통합 모빌리티 서비스 유형 49
〈표 2-4〉 공공 통합모빌리티 서비스 51
〈표 2-5〉 민간 통합모빌리티 서비스 52
〈표 2-6〉 국외 통합모빌리티 서비스 52
〈표 3-1〉 국외 통합모빌리티 서비스 63
〈표 3-2〉 해외 MaaS 서비스 주요 내용 84
〈표 3-3〉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핵심 요소 102
〈표 4-1〉 모빌리티 데이터 중계ㆍ연계를 위한 필수요건 110
〈표 4-2〉 교통수단 사업자별 정적/동적 데이터 122
〈표 4-3〉 교통수단 사업자별 주요 데이터 연계 목록 124
〈표 4-4〉 다수단 길찾기 서비스 데이터 요구사항 140
〈표 4-5〉 K-MaaS 서비스 모델(안) 148
〈표 4-6〉 통합모빌리티 특별법 제정(안) 170
[그림 1-1] 한국형 통합모빌리티(K-MaaS) 자문위원회 21
[그림 2-1] 통합 결제ㆍ정산 플랫폼 프로세스 26
[그림 2-2] 성과로드맵(최종 성과물간 연계) 28
[그림 2-3] 멀티모달 개념도 29
[그림 2-4] 공유경제 플랫폼 서비스 계획 30
[그림 2-5] 강원도 강릉시 통합형 MaaS 서비스 개념도 31
[그림 2-6] 세종 국가시범도시 O1링크 MaaS 아키텍쳐 32
[그림 2-7] 경기교통공사 똑타 MaaS 아키텍쳐 33
[그림 2-8] 한국도로공사 Open MaaS 아키텍쳐 33
[그림 2-9] 카카오모빌리티 플랫폼 아키텍쳐 34
[그림 2-10] 티머니 GO 서비스 35
[그림 2-11] 현대자동차 셔클 플랫폼 솔루션 36
[그림 2-12] 슈퍼무브 슈퍼패스 구독서비스 37
[그림 2-13] Qixxit 홈페이지 38
[그림 2-14] Beeline 서비스 39
[그림 2-15] Whim 앱 화면 40
[그림 2-16] 서비스 운영 지역 42
[그림 2-17] 서비스 앱 UI/UX 43
[그림 2-18] 서비스 이용 대쉬보드 44
[그림 2-19] Reach Now 앱 화면 45
[그림 2-20] 독일 Reach Now 종류 45
[그림 2-21] 서비스 운영 계획 46
[그림 2-22] MaaS 서비스 시나리오 47
[그림 2-23] MaaS Aliance 그룹 48
[그림 3-1] 하나의 인프라로서의 모빌리티 데이터 59
[그림 3-2] 중앙집중과 온디맨드 방식의 데이터 공유 메커니즘 62
[그림 3-3] 통합모빌리티 플랫폼 기본 아키텍처 64
[그림 3-4] 카카오 길찾기 서비스 65
[그림 3-5] 해외 모빌리티 서비스 복합수단 길찾기 서비스 66
[그림 3-6] 최적 경로 제공 예시 67
[그림 3-7] 결제/지불 시스템 아키텍처 69
[그림 3-8] 다수단 예약 및 여정 관리 71
[그림 3-9] 증강현실을 활용한 도보 길안내 서비스(구글 앱) 73
[그림 3-10] MaaS에 대한 MaaS4EU 정의 79
[그림 3-11] MaaS4EU 거버넌스 체계 81
[그림 3-12] MaaS Aliance 그룹 82
[그림 3-13] MaaS Aliance의 컨퍼런스 개최 83
[그림 3-14] 기본 교통서비스와 통합모빌리티 서비스 운영 모델의 차이 88
[그림 3-15] 통합모빌리티 서비스 거버넌스 기초 모델 90
[그림 3-16] MaaS 플랫폼 및 서비스 거버넌스 모델 구분 91
[그림 3-17] 모빌리티 사업의 공공성 vs 수익성, MaaS 구현의 불확실성 92
[그림 3-18] 한국형 통합모빌리티 서비스 거버넌스의 기본 방향 93
[그림 3-19]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기본 틀 102
[그림 3-20] MaaS 운영자를 위한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103
[그림 3-21] A사 통합모빌리티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현황(안) 및 개선(안) 105
[그림 3-22] 한국철도공사 2023 여행가는 달 이벤트 107
[그림 4-1] 모빌리티 데이터 중계 체계 구성 113
[그림 4-2] MaaS 아키텍쳐 구성 118
[그림 4-3] MaaS 아키텍쳐 구성 사례 119
[그림 4-4] 표준 데이터 연관관계 121
[그림 4-5] 운송사업자와 통합 모빌리티 연계 구조 122
[그림 4-6] 수집된 데이터 저장 및 관리 방안 125
[그림 4-7] 데이터 가공 프로세스 126
[그림 4-8] API 게이트웨이 방식 127
[그림 4-9] 소프트웨어 형상 관리 사례 128
[그림 4-10] 시스템 대시보드 예시 129
[그림 4-11] SIM, HCE 방식 비교 132
[그림 4-12] 온/오프라인 결제구조 비교 133
[그림 4-13] 통합 모빌리티 사업자의 PG를 이용한 온라인 통합결제 134
[그림 4-14] 통합 모빌리티 사업자와 운송사업자 PG를 이용한 온라인 통합결제 134
[그림 4-15] 최적 길찾기 알고리즘 종류 141
[그림 4-16] 다수단 길찾기 서비스 시나리오 사례 141
[그림 4-17] 다중 경로 길찾기 표출 142
[그림 4-18] 스마트관광 서비스 구축 가이드라인(구성도) 146
[그림 4-19] 데이터 기반 스마트시티 모델 개념 147
[그림 4-20] 통합모빌리티 거버넌스 구성 요소 150
[그림 4-21] 통합모빌리티 거버넌스 구성 요소별 연계도 157
[그림 4-22] MaaS 연계자와 운영자 역할 구분의 모호성 158
[그림 4-23] K-MaaS 추진 단계별 공공과 민간의 역할 변화 예상 160
[그림 4-24] K-MaaS Alliance 구상안 162
[그림 4-25] 한국형 통합모빌리티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1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