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요약 4
제1장 연구개요 19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0
2. 연구 범위 및 내용 21
제2장 측지기준체계 및 측지기준프레임 관련 분야 국제 동향 조사 22
1. IERS 최근 동향 및 주요 이슈 조사 23
가. IERS 구성 현황 23
나. 연간보고서 주요 이슈 26
다. 기술문서 주요 이슈 34
라. IERS 규약 개정 사항 42
마. IERS 기술센터 최신 연간보고서 45
바. IERS 뉴스 53
2. ITRF 최근 동향 및 주요 이슈 조사 55
가. 개요 55
나. ITRF2020 입력자료 56
다. ITRF2020 산출 방법 57
라. ITRF2020 산출물 및 결과분석 60
3. UN-GGIM 전지구 측지기준프레임(GGRF) 최근 동향 및 주요 이슈 조사 70
가. 개요 70
나. UN-GGIM 관련 활동 71
다. 유엔 결의안 69/266과 로드맵 76
라. GGRF 5대 중점분야와 과제 81
마. 유엔 글로벌측지우수센터(UN-GGCE) 85
제3장 위성기준점 ITRF2020 성과 도출과 국가기준점 성과확산 전략 89
1. 위성기준점 ITRF2020 좌표 및 속도벡터 성과 계산 90
가. 위성기준점 선별 90
나. 관측 데이터 전처리 99
다. GNSS 자료처리 SW 기반 위성기준점 성과 계산 106
라. 결과 데이터 정리 및 분석 121
2. ITRF2020 연계방안 129
가. ITRF2020 연계방안 제시 129
나. KGRF2020에서 KGD2002 변환 결과 131
다. KGRF2020 기준점 관리방안 133
3. 국가기준점 ITRF2020 성과확산 전략 및 로드맵 134
가. ITRF2020 성과 갱신과 관련된 로드맵 현황 134
나. ITRF2020 성과 갱신과 관련된 로드맵 개정(안) 140
제4장 VLBI/SLR IVP 추정 및 우주측지기준점 성과 계산 144
1. IVP 추정을 위한 지상측량 145
가. 계획준비 145
나. GNSS 측량 148
다. 수준측량 151
라. 토탈스테이션 측량 153
마. 정리점검 163
바. IVP 추정을 위한 지상결합측량 품셈(안) 작성 167
2. VLBI/SLR IVP 추정과 우주측지기준점 성과 계산 170
가. IVP 추정성과 170
나. 지상관측값 잔차 분석 176
다. 타겟별 잔차 분석 179
라. VLBI 안테나 기울어짐 분석 180
마. GNSS 자료처리 182
3. IVP 추정방법 고도화 방안 190
가. 우주측지관측센터 변위측량 등 지상측량 표준화 및 개선 방안 190
나. IVP 추정 알고리즘 고도화 방안 제시 207
4. 결합측량 표준화를 적용한 결합측량 작업규정 개정(안) 230
제5장 국가측지기준체계 변환 법령 개정 및 홍보방안 237
1. ITRF 개정에 대비한 지속업무 발굴 및 국가기준체계ㆍ프레임 관련 법령 개정 방안 238
가. 국가별 현황 조사 241
나. 법령 개정(안) 제시 272
2. 국가기준체계 홍보 및 서비스 방안 281
가. 국가별 현황 조사 281
나. 교육자료(안) 제시 305
제6장 결론 306
1. 연구 요약 307
2. 종합 결론 308
참고문헌 311
[부록] 314
A1. 관측소별 멀티패스 그래프 315
A2. 관측소별 잔차 시계열 그래프 341
A3. 국가기준체계 교육자료 371
판권기 377
〈표 2-1〉 IERS 제공 해석결과물 25
〈표 2-2〉 IERS 2018년 연간보고서 주요 목차 26
〈표 2-3〉 제66차 IERS 운영위원회 우주측지 기술센터 발표 주요 내용 27
〈표 2-4〉 ISO 19161-1 표준문서 목차 29
〈표 2-5〉 IERS 2017년 연간보고서 측지기준체계 관련 주요 내용 31
〈표 2-6〉 IERS 기술문서 목록 34
〈표 2-7〉 IERS 3개 결합센터 구현 TRF 비교 37
〈표 2-8〉 IERS 기술문서#40의 주요 목차 및 내용(Poyard, 2017) 40
〈표 2-9〉 ITRF2014 산정의 입력자료 41
〈표 2-10〉 IERS 규약 2010 주요 업데이트 내용 42
〈표 2-11〉 IGS Repor3 캠페인 해석센터별 대상 GNSS 및 자료처리 기간 47
〈표 2-12〉 Repro3 사용 주요 개선 지구물리 및 오차 모델 48
〈표 2-13〉 IGS Repro3 주요 산출물 49
〈표 2-14〉 IGS20 전환을 위해 배표한 IGS 산출물 50
〈표 2-15〉 IGS 산출물 긴 파일명 부여 규칙(IGS v1.0) 51
〈표 2-16〉 ITRF2020 산출을 위한 입력자료 요약 56
〈표 2-17〉 국내 관측점의 ITRF2020 위치와 속도(기준시점: 2015.0) 62
〈표 2-18〉 불연속 구간을 포함하고 있는 국내 관측점의 ITRF2020 위치와 속도(기준시점: 2015.0) 63
〈표 2-19〉 국내 관측점의 ITRF2020 관측점 불연속 구간 사이 좌표 차이 64
〈표 2-20〉 SUWN과 DAEJ 관측점의 PSD 매개변수 65
〈표 2-21〉 ITRF2020과 이전 ITRF와 원점 차이(Altamimi et al., 2023) 67
〈표 2-22〉 UN-GGIM 총회에서의 GGRF 관련 주요 결정 및 활동 내용 72
〈표 2-23〉 2016년 채택 GGRF 로드맵 주요 내용 78
〈표 2-24〉 GGRF 5대 중점분야 선정 배경 및 필요성 81
〈표 2-25〉 거버넌스 분야 업무 패키지 82
〈표 2-26〉 측지 인프라 분야 업무 패키지 82
〈표 2-27〉 정책ㆍ표준ㆍ규약 분야 업무 패키지 83
〈표 2-28〉 교육ㆍ훈련ㆍ역량강화 분야 업무 패키지 84
〈표 2-29〉 소통ㆍ홍보 분야 업무 패키지 84
〈표 2-30〉 UN-GGCE 전략계획의 중점분야별 주요 내용 86
〈표 3-1〉 NGII, ITRF 위성기준점 선별 91
〈표 3-2〉 ITRF 위성기준점 기본 정보 93
〈표 3-3〉 위성기준점 데이터 품질 분류 95
〈표 3-4〉 추출 헤더 정보 목록 99
〈표 3-5〉 Case 2.1 장비변경이력 수정 예시 100
〈표 3-6〉 Case 2.2, Case 2.3 장비변경이력 수정 예시 101
〈표 3-7〉 위성기준점 DOMES number 현황 103
〈표 3-8〉 국제 표준 DOMES number 103
〈표 3-9〉 장비 정보 오입력 수정 제안 104
〈표 3-10〉 장비 변경 시 안테나 옵셋 변경 확인 105
〈표 3-11〉 RINEX 3버전 관련 IGS MAIL 106
〈표 3-12〉 자료처리 데이터 일반 정보 107
〈표 3-13〉 데이터 종류와 정보 107
〈표 3-14〉 자료처리 옵션 108
〈표 3-15〉 Bernese V5.2 자료처리 기본 파일 109
〈표 3-16〉 위성기준점 ITRF2020 성과(좌표) 113
〈표 3-17〉 위성기준점 ITRF2020 성과(속도벡터) 117
〈표 3-18〉 자료처리 시계열과 고시 옵셋 정보 비교 121
〈표 3-19〉 FODITS 결과 분석 125
〈표 3-20〉 Case 5.1 예시 126
〈표 3-21〉 Case 5.2 예시 126
〈표 3-22〉 Case 5.3 예시 127
〈표 3-23〉 ITRF2020에서 ITRF2000 Helmert 변환 계수 130
〈표 3-24〉 KGRF2020에서 KGD2002 변환 Helmert 계수(추정) 132
〈표 4-1〉 측량 목적 및 관측대상 145
〈표 4-2〉 계획준비 작업 내역 147
〈표 4-3〉 결합측량을 위한 GNSS 장비 성능 기준 148
〈표 4-4〉 수신기 설정 파라미터 148
〈표 4-5〉 GNSS 관측 내역 150
〈표 4-6〉 GNSS측량 작업 내역 150
〈표 4-7〉 수준측량 장비성능 기준 151
〈표 4-8〉 수준측량 작업 내역 152
〈표 4-9〉 토탈스테이션 성능 153
〈표 4-10〉 타겟별 입사각에 따른 거리 오차 156
〈표 4-11〉 VLBI 안테나 및 SLR 타겟 관측에 사용한 필라 및 타겟 159
〈표 4-12〉 토탈스테이션 측량 작업 내역 162
〈표 4-13〉 GNSS 측량 관측 기록부 163
〈표 4-14〉 수준측량 야장(VLBI) 164
〈표 4-15〉 토탈스테이션측량 성과 예시(VLBI-VP01) 165
〈표 4-16〉 정리점검 작업 내역 166
〈표 4-17〉 VLBI 안테나 및 SLR의 IVP 추정을 위한 지상결합측량 품셈(안)의 개요 167
〈표 4-18〉 VLBI 안테나 및 SLR의 IVP 추정을 위한 지상결합측량 품셈(안) 168
〈표 4-19〉 VLBI 안테나의 IVP 추정을 위한 지상결합측량 품셈(안) 168
〈표 4-20〉 IVP 추정을 위한 지상결합측량 품셈(안)에 의한 측량비용 169
〈표 4-21〉 PMINOLESS 결과 좌표(VLBI, SLR 필라와 GNSS 위성기준점) 171
〈표 4-22〉 IVP 추정모델(Sphero-Conical Model) 요약 171
〈표 4-23〉 IVP 추정을 위한 조정계산 일반사항 요약 173
〈표 4-24〉 GHM 기반 IVP 추정 매개변수 174
〈표 4-25〉 VLBI/SLR IVP 추정결과 비교(2020년 vs. 2023년) - 좌표값은 VP01 좌표를 기준으로하는 상대적인 좌표임 175
〈표 4-26〉 필라 및 보조점 설치 이력 192
〈표 4-27〉 측량 장비 사양 193
〈표 4-28〉 GNSS 측량 장비 사양 194
〈표 4-29〉 VLBI 변위측량과 결합측량의 차이점 202
〈표 4-30〉 결합측량의 표준화된 작업규정 제11조(정리점검) 202
〈표 4-31〉 측량성과 저장방법 204
〈표 4-32〉 측량성과 저장방법 예시 205
〈표 4-33〉 반사타겟의 방향에 따른 관측 거리 변화량 212
〈표 4-34〉 VLBI 필라간 상대적인 높이차 218
〈표 4-35〉 IVP 추정결과(Conical 모델) 220
〈표 4-36〉 VLBI/SLR IVP 최종결과(VP01 기준) 229
〈표 4-37〉 VLBI/SLR IVP 추정 결과 요약(VP01 기준) 229
〈표 5-1〉 국가별 현황 조사 항목 241
〈표 5-2〉 경위도원점 244
〈표 5-3〉 수준원점 245
〈표 5-4〉 국가측지기준계 관련 용어가 명시된 법령 현황(키워드: 세계측지계, ITRF) 247
〈표 5-5〉 세계측지계 관련 조문 예 247
〈표 5-6〉 국가측지기준계 관련 용어가 명시된 법령 현황(키워드: 평균해수면) 248
〈표 5-7〉 공간정보관리법 및 시행령 상 국가측지기준계 및 프레임 관련 조문 249
〈표 5-8〉 미국 NSRS 현대화 목표 252
〈표 5-9〉 NAVD88 원점 253
〈표 5-10〉 미국 측지데이텀 관련 법령(예) 255
〈표 5-11〉 호주 국가측정기준 2017 259
〈표 5-12〉 호주 지구중심데이텀 2020 기술 매뉴얼 260
〈표 5-13〉 호주 ICSM 측량 매뉴얼 261
〈표 5-14〉 일본 경위도원점 264
〈표 5-15〉 일본 수준원점 264
〈표 5-16〉 측량법 중 측지기준계 및 프레임 관련 사항 265
〈표 5-17〉 측량법 시행령 중 측지기준계 및 프레임 관련 사항 266
〈표 5-18〉 공공측량 작업규정 준칙 중 측량법 시행령 참조 사항 266
〈표 5-19〉 국가별 측지기준계, 프레임 구현 및 운영 현황 267
〈표 5-20〉 공간정보관리법 개정(안) 275
〈표 5-21〉 공간정보관리법 시행령 개정(안) 276
〈표 5-22〉 국가측지 및 높이기준좌표계 정의, 유지 및 관리에 관한 지침 제정(안) 278
〈표 5-23〉 국가별 현황 조사 항목 281
〈표 5-24〉 미국 국가측지기준체계 관련 서비스 292
〈표 5-25〉 호주 국가측지기준체계 관련 서비스 296
〈표 5-26〉 일본 국가측지기준체계 관련 서비스 300
〈표 5-27〉 국가별 국가기준체계 관련 교육 및 서비스 요약 301
〈그림 1-1〉 연구 배경 및 목적 20
〈그림 1-2〉 연구 범위 21
〈그림 2-1〉 IERS 조직 구성 23
〈그림 2-2〉 IERS 운영위원회 구성(2023년 현재) 24
〈그림 2-3〉 SLR SINEX 파일 추출 3차원 좌표의 칼만필터링 잔차와 스케일링 펙터 50을 적용한 후 얻어진 표준편차의 오차막대 30
〈그림 2-4〉 ITRF2014에 대한 전체 스케일 시계열(왼쪽)과 ITRF2014 스케일 정의에 사용한 SLR과 VLBI 스케일(Altamimi et al., 2016) 37
〈그림 2-5〉 헬머트 변환에 의한 우주측지 기술별 ITRF2014와 DTRF2014 비교 결과(Altamimi et al., 2020) 39
〈그림 2-6〉 2022년 1월 12일 기준 IGS 네트워크 현황(Dach and Bockmann, 2023) 46
〈그림 2-7〉 IGS Repor3 캠페인 해석센터별 대상 GNSS 및 자료처리 기간(Rebischung, 2021) 48
〈그림 2-8〉 2021~2022년 VLBI 관측소 분포 현황(Amstrong et al., 2023) 52
〈그림 2-9〉 IVS 해석센터와 소프트웨어(Amstrong et al., 2023) 53
〈그림 2-10〉 IERS 메시지의 예: ITRF2020 산출물 배포 54
〈그림 2-11〉 ITRF2020 관측소 분포(Altamimi et al., 2023) 55
〈그림 2-12〉 ITRF2020 PSD 모델링에 영향을 미친 주요 지진의 진앙(붉은색 별표)과 관측점(녹색 원) 분포(Altamimi et al., 2023) 59
〈그림 2-13〉 일본 Tsukuba 공통관측소의 GNSS 및 VLBI 관측점 위치 시계열(Altamimi et al., 2023) 59
〈그림 2-14〉 ITRF2020 국내 관측점 61
〈그림 2-15〉 ITRF2020에 대한 SLR 지구질량중심(CM)의 시계열(Altamimi et al., 2023) 67
〈그림 2-16〉 ITRF2020에 대한 개별 우주측지 기술로 산정한 스케일 시계열(Altamimi et al., 2023) 68
〈그림 2-17〉 ITRF2020 산정에서 오차가 1mm/yr 이하 관측점의 수평 속도(Altamimi et al., 2023) 68
〈그림 2-18〉 ITRF2020 산정에서 오차가 1mm/yr 이하 관측점의 수직 속도(Altamimi et al., 2023) 69
〈그림 2-19〉 UN 결의안 69/266 주요 내용 77
〈그림 3-1〉 위성기준점 성과 계산 개요 90
〈그림 3-2〉 NGII 위성기준점 분포 92
〈그림 3-3〉 ITRF 위성기준점 분포 92
〈그림 3-4〉 안성(ANSG) 관측소 멀티패스 그래프 96
〈그림 3-5〉 하동(HADG) 관측소 멀티패스 그래프 97
〈그림 3-6〉 광주(KWNJ) 관측소 멀티패스 그래프 97
〈그림 3-7〉 청주(CNJU) 관측소 멀티패스 그래프 98
〈그림 3-8〉 청주(CNJU) 관측소 전경 98
〈그림 3-9〉 국토지리정보원 장비변경이력 제안(일부) 102
〈그림 3-10〉 PPP 자료처리 흐름도 111
〈그림 3-11〉 상대측위 기선해석 흐름도 111
〈그림 3-12〉 청송(CHSG) 관측소 잔차 시계열(옵셋 미적용) 122
〈그림 3-13〉 대구(TEGN) 관측소 잔차 시계열(옵셋 미적용) 122
〈그림 3-14〉 FODITS 자료처리 과정 124
〈그림 3-15〉 이벤트 리스트 파일(.EVL) 예시 124
〈그림 3-16〉 청송(CHSG) 관측소 잔차 시계열(옵셋 적용) 125
〈그림 3-17〉 청주(CNJU) 관측소 잔차 시계열(옵셋 미적용) 126
〈그림 3-18〉 안테나 옵셋 고시 예시 127
〈그림 3-19〉 NGII 속도벡터 성과 128
〈그림 3-20〉 좌표계 연계 방안 129
〈그림 3-21〉 KGRF2020과 KGD2002 좌표 차이(지역평면좌표계) 131
〈그림 3-22〉 ITRF 변환계수 적용 후 좌표 차이(2002.0 시점 기준) 132
〈그림 3-23〉 Helmert 변환을 포함한 KGRF2020에서 KGD2002 변환 132
〈그림 3-24〉 신규 측지기준프레임 도입 로드맵(국토지리정보원, 2019) 135
〈그림 3-25〉 국가위치기준체계 기본계획(국토지리정보원, 2021) 136
〈그림 3-26〉 국가위치기준체계 정립 및 관리방안(국토지리정보원, 2023) 138
〈그림 3-27〉 로드맵 비교 139
〈그림 3-28〉 국가위치기준체계 정립 및 관리방안 개정(안) 142
〈그림 4-1〉 VLBI 안테나, SLR 장비 및 필라의 위치(좌)와 현장 답사 사진(우) 146
〈그림 4-2〉 지상결합측량 작업 계획 147
〈그림 4-3〉 GNSS 수신기 전원 공급 및 방수처리 149
〈그림 4-4〉 GNSS 수신기 설치 및 안테나 높이 측정 149
〈그림 4-5〉 필라 수준측량 기준면 및 측량 이미지 151
〈그림 4-6〉 수준측량 관측망도(좌) 및 VP01 기준의 필라별 고저차(우) 152
〈그림 4-7〉 측량 시 기상정보(좌: 2023년 6월 30일 / 우: 2023년 7월 20일) 153
〈그림 4-8〉 타겟 입사각 오차 검증에 사용한 타겟 154
〈그림 4-9〉 타겟과의 거리 및 타겟의 입사각 154
〈그림 4-10〉 입사각에 따른 오차 검증 현장(좌)과 입사각에 따른 타겟 각도 설정(우) 155
〈그림 4-11〉 토탈스테이션에서 보이는 입사각에 따른 프리즘 155
〈그림 4-12〉 VLBI 및 SLR 필라 157
〈그림 4-13〉 지역좌표계 설정을 위한 결합측량망도(VLBI, SLR 연결망도) 158
〈그림 4-14〉 필라 간 각 관측 방법(좌) 및 위성기준점 수평각 관측 방법(우) 159
〈그림 4-15〉 VLBI 타겟 위치 160
〈그림 4-16〉 SLR 타겟 위치 160
〈그림 4-17〉 VLBI 안테나와 SLR 타겟 측량 161
〈그림 4-18〉 수평 회전에 따른 VLBI(좌)와 SLR(우) 타겟의 위치 161
〈그림 4-19〉 네트워크 결정방법에 따른 좌표 분산-공분산 차이 170
〈그림 4-20〉 IVP 추정 후 관측값별 잔차 176
〈그림 4-21〉 IVP 수직회전 관측값 잔차(7번 타겟) 177
〈그림 4-22〉 관측 종류에 따른 잔차 분포(전체 타겟) 178
〈그림 4-23〉 타겟별 잔차 분석(VLBI) 179
〈그림 4-24〉 타겟별 잔차 분석(SLR) 180
〈그림 4-25〉 타겟별 높이좌표 변화(VLBI) 181
〈그림 4-26〉 타겟별 수평좌표 평균(VLBI) 182
〈그림 4-27〉 GNSS 자료처리 결과(SP01) 183
〈그림 4-28〉 GNSS 자료처리 결과(SP02) 183
〈그림 4-29〉 GNSS 자료처리 결과(SP03) 184
〈그림 4-30〉 GNSS 자료처리 결과(SP1A) 184
〈그림 4-31〉 GNSS 자료처리 결과(VP01) 185
〈그림 4-32〉 GNSS 자료처리 결과(VP02) 185
〈그림 4-33〉 GNSS 자료처리 결과(VP03) 186
〈그림 4-34〉 GNSS 자료처리 결과(VP04) 186
〈그림 4-35〉 GNSS 자료처리 결과(VP05) 187
〈그림 4-36〉 지역 네트워크에서 GNSS 관측 결과의 기하학적 왜곡 188
〈그림 4-37〉 GNSS 네트워크의 기하학적 왜곡(VLBI) 188
〈그림 4-38〉 GNSS 네트워크의 기하학적 왜곡(SLR) 189
〈그림 4-39〉 변위측량 절차 191
〈그림 4-40〉 지역좌표계 설정 192
〈그림 4-41〉 변위측량을 위한 GNSS 관측 194
〈그림 4-42〉 데이터 처리에 사용된 우주측지관측센터 주변의 위성기준점 위치 195
〈그림 4-43〉 안테나에 부착된 반사타겟의 종류 197
〈그림 4-44〉 안테나에 부착된 반사타겟의 위치 198
〈그림 4-45〉 필라에서 반사타겟의 거리 및 각 측량 199
〈그림 4-46〉 안테나의 수평 및 수직축 회전에 따른 반사타겟의 궤적 200
〈그림 4-47〉 외접원의 중심점 산출 방법 201
〈그림 4-48〉 VLBI 타겟 수평각 관측을 위한 후시 설정 방법 203
〈그림 4-49〉 VLBI 타겟 수평각 저장방법 204
〈그림 4-50〉 수신기 및 안테나 로그 파일 예시 206
〈그림 4-51〉 IVP 추정 알고리즘(2020) 207
〈그림 4-52〉 IVP 추정방법 고도화 209
〈그림 4-53〉 실험에 사용된 반사타겟 종류 210
〈그림 4-54〉 타겟 정렬 방향에 따른 관측오차 분석 실험 211
〈그림 4-55〉 타겟의 회전 각도 변화 211
〈그림 4-56〉 타겟의 방향에 따른 거리 오차 212
〈그림 4-57〉 수평축 회전에 의한 반사타겟 궤적 모델링(2D circle) 213
〈그림 4-58〉 수직축 회전에 의한 반사타겟 궤적 모델링(원추) 213
〈그림 4-59〉 단일화된 원추 형태의 수평축 및 수직축 모델링 214
〈그림 4-60〉 안테나 오프셋 215
〈그림 4-61〉 안테나 오프셋 추정을 위한 수학 모델 215
〈그림 4-62〉 수평축 기울기 추정을 위한 수학 모델 216
〈그림 4-63〉 필라 기준 관측값의 개수(VLBI 및 SLR) 217
〈그림 4-64〉 추가로 설치할 보조점의 위치(안) 218
〈그림 4-65〉 VLBI와 SLR 연결을 위한 보조점 추가 설치(안) 219
〈그림 5-1〉 측지데이텀, 기준계, 프레임의 정의 238
〈그림 5-2〉 현행 미국 측지데이텀의 한계 251
〈그림 5-3〉 시간에 따른 5개의 글로벌 프레임의 관계 252
〈그림 5-4〉 NSRS 개정 대비 교육 및 홍보 자료 254
〈그림 5-5〉 NSRS 갱신에 따른 각 주별 NSRS 법령 개정(안) 일부 발췌 255
〈그림 5-6〉 호주 수평측지계 257
〈그림 5-7〉 호주 수직측지계 258
〈그림 5-8〉 호주 측지데이텀 간 변환 관계도 258
〈그림 5-9〉 호주 수직측지계 원점(조위관측소) 259
〈그림 5-10〉 호주 수직측지계 원점(조위관측소) 260
〈그림 5-11〉 JGD2011 현황 263
〈그림 5-12〉 국가기준체계 법령의 한계 및 문제점과 해결 방안 271
〈그림 5-13〉 측지계 및 프레임 개념 273
〈그림 5-14〉 국가측지 및 높이기준좌표계의 개념 274
〈그림 5-15〉 공간정보 용어사전 283
〈그림 5-16〉 위성기준점 교육자료 283
〈그림 5-17〉 수직기준 교육자료 283
〈그림 5-18〉 국토지리정보원 자료실 284
〈그림 5-19〉 공간정보교육포털 교육 컨텐츠(공간정보 위치 결정론(GPS) 중) 284
〈그림 5-20〉 국토지리정보원 홍보 컨텐츠(좌: 웹툰, 우: 국토지리정보원 측지측량 업무 소개 중) 285
〈그림 5-21〉 국토지리정보원 좌표변환 서비스(좌: 국토정보플랫폼, 우: NGI Pro(ver. 2.54)) 286
〈그림 5-22〉 GNSS 서비스(좌: GNSS 데이터 통합센터 자료 제공 서비스, 우: 국토정보플랫폼 정밀성과 계산 서비스) 287
〈그림 5-23〉 국토지리정보원 국가수직기준연계 서비스(좌: 국토정보플랫폼, 우: VTrans) 287
〈그림 5-24〉 NGS 측지학 용어사전 288
〈그림 5-25〉 미국 교육자료(좌: NGS 웹페이지, 우: NOS 웹페이지) 289
〈그림 5-26〉 NGS 온라인 교육(좌: 웨비나, 중: 온라인 교육-강의, 우: 온라인 교육-교육 동영상) 290
〈그림 5-27〉 NGS 홍보 자료(좌: 포스터, 우: 기술문서) 290
〈그림 5-28〉 호주 교육자료(좌: GA 웹페이지, 우: ICSM 웹페이지) 294
〈그림 5-29〉 ICSM 국가기준체계 관련 온라인 교육 294
〈그림 5-30〉 국토지리원 교육자료(좌: 대상 구분, 우: 교육자료 샘플) 298
〈그림 5-31〉 국토지리원 제공 연구보고서 및 기술문서 299
〈그림 5-32〉 교육자료 구성(안) 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