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제1장 서론 6
제1절 연구 필요성 7
제2절 연구 목적 10
제2장 사회적 고립 정의 및 지원 필요성 11
제1절 사회적 고립 정의 12
제2절 사회적 고립 문헌분석 13
제3장 발달장애인 현황 및 특성 18
제1절 발달장애인 현황 19
제2절 발달장애인 생활 특성 21
제4장 사회적 고립 발달장애인 사례 조사 33
제1절 사회적 고립 사례조사 개요 34
제2절 사례분석 결과 35
제5장 발달장애인 사회적 고립 정의 및 필요 서비스 50
제1절 발달장애인 사회적 고립 정의 51
제2절 발달장애인 사회적 고립 지원 필요 정책 분석 54
제6장 사회적 고립 발달장애 인구 추정 59
제1절 사회적 고립 발달장애인 인구 분석 60
제2절 발달장애인 인구 66
제7장 사회적 고립 발달장애인 필요 예산 분석 70
제1절 사회적 고립 발달장애인 필요 서비스 및 급여 71
제2절 예산 분석 기준 73
제3절 예산분석 세부 적용 기준 및 산출 근거 73
제4절 사회적 고립 발달장애인 지원 필요 재정 79
제8장 결론 및 제언 81
참고문헌 85
판권기 86
〈표 1〉 사회적 고립의 개념 구성 12
〈표 2〉 생애주기에 따른 사회적 고립의 원인 14
〈표 3〉 전국 장애인 통계(2022.12.31.) 19
〈표 4〉 전국 발달장애인 통계(2022.12.31.) 20
〈표 5〉 발달장애인 가구 특성 21
〈표 6〉 월평균 가구소득 22
〈표 7〉 가족 내 주 돌봄자 현황 22
〈표 8〉 주 돌봄 가족원의 평소 건강 상태 23
〈표 9〉 발달장애인 가족이 겪는 어려움(1순위) 24
〈표 10〉 건강상태에 대한 주관적 인식 24
〈표 11〉 정신과 복용 여부와 복용시 이유 25
〈표 12〉 일상생활 도움 필요 정도 및 의사소통 가능 정도 26
〈표 13〉 도전적 행동 27
〈표 14〉 낮시간 주된 활동 28
〈표 15〉 일상생활 시 주로 도움을 주는 사람(1순위) 29
〈표 16〉 일상생활 도움 충분 정도 29
〈표 17〉 향후 희망하는 동거인 및 주택 형태 30
〈표 18〉 미래에 가장 걱정되는 것(1순위) 30
〈표 19〉 취업 여부 31
〈표 20〉 취업자의 취업형태 31
〈표 21〉 복지서비스 및 시설 이용과정에서 경험한 어려움(1순위) 32
〈표 22〉/〈표 1〉 발달장애인에게 필요한 사회 및 국가 지원(1순위) 32
〈표 23〉/〈표 22〉 사회적 고립 원인 및 설명 36
〈표 24〉/〈표 23〉 발달장애인 당사자의 사회적 고립 관련 범주화된 내용 분석 결과 36
〈표 25〉/〈표 24〉 발달장애인 가족의 사회적 고립 관련 범주화된 내용 분석 결과 40
〈표 26〉/〈표 25〉 서비스 제공기관 사회적 고립 관련 범주화된 내용 분석 결과 44
〈표 27〉/〈표 26〉 성인 발달장애인 연령별 현황(2019.12.31. 기준 인원적용) 60
〈표 28〉/〈표 27〉 특성별 사회적 고립 인구 추정 66
〈표 29〉/〈표 28〉 발달장애인 특성별 인구 추정 기준 67
〈표 30〉/〈표 29〉 발달장애인 취업 여부(2022년 발달장애인 일과 삶 실태조사) 68
〈표 31〉/〈표 30〉 거주시설 장애인 연령 및 장애 유형별 현황(2020년 장애인 거주시설 전수조사) 68
〈표 32〉/〈표 31〉 발달장애인 특성별 필요 서비스 72
〈표 33〉/〈표 32〉 장애인 연금 기준표(2023) 73
〈표 34〉/〈표 33〉 거주시설 장애인 지역사회 전환 예산 분석 79
〈표 35〉/〈표 34〉 사회적 고립 발달장애인 필요 예산 추정 80
〈그림 1〉 부모로부터 독립하는 자녀 연령 및 발달장애인 부모돌봄기간 7
〈그림 2〉 발달장애인 독립경험 여부 8
〈그림 3〉 우리나라 청년 고립 비율(2003~2020) 13
〈그림 4〉 발달장애인 돌봄 지원자 분포 23
〈그림 5〉 자료 분석 과정 35
〈그림 6〉 발달장애인 사회적 고립 요인 및 분류 51
〈그림 7〉 발달장애인 사회적 고립 요인 61
〈그림 8〉 발달장애인 특성별 분포 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