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Part Ⅰ. 총론 9
1. 목적 10
2. 기본방향 10
3. 주요 내용 11
4. 감염병 및 매개모기 발생현황 23
Part Ⅱ. 각론 27
1. 유충 방제법(Larval control) 28
2. 성충 방제법(Adult control) 34
3. 개인 방어법(Personal protection) 42
4. 환경별 모기 방제법 48
5. 주요 감염병 매개모기별 방제법 50
6. 살충제 제형의 종류 53
7. 매개체 방제 효율 증대를 위한 감시 시스템 활용 58
8. 근거중심 매개모기 방제 63
Part Ⅲ. 부록 65
1. 방제장비의 종류 66
2. 살충제 안전취급 관리 72
3. 살충제 중독예방 76
4. 살충제 보관조건 77
5. 모기의 일반적 특징 78
6. 우리나라 주요 감염병 매개모기의 형태 및 생태적 특징 82
7. 국내서식 모기 목록 104
8. 모기의 살충제 저항성 106
9. 야외 모기 방제 대책 112
10. 감염병예방용 살충ㆍ살균ㆍ살서제 등 환경부 승인품목 정보 114
11. 국내 모기 살충제 사용 현황 115
12. 미국 캘리포니아주 알라메다 카운티(Alameda county)에서 제시한 모기유충 살충제 사용 기준 117
13. 방제지리정보시스템 소개 118
14. 방제 관련 법령 124
15.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134
Part Ⅳ. 서식 139
1. 주요 감염병 매개모기 방제일지 140
2. 주요 감염병 매개보기 방제 평가표 141
3. 월별 주요 매개모기 방제업무(참고용) 143
4.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서식 145
5. 드론방제 점검표 153
〈표 1〉 감염병 매개모기 방제의 일반적 추진일정 13
〈표 2〉 봄철 모기(월동모기) 방제 계획 일정 17
〈표 3〉 여름철 모기 방제계획 일정 19
〈표 4〉 겨울철 모기 방제계획 일정 20
〈표 5〉 모기유충 방제 기준표 28
〈표 6〉 풍속과 환경적 요인에 따른 드론 방제 실시 여부 33
〈표 7〉 입자의 크기에 따른 낙하속도와 입자밀도 37
〈표 8〉 잔류분무 살포시 대상벽면에 따른 살충제 제형 비교 41
〈표 9〉 현장평가 종 동정 정확도 61
〈표 10〉 2023년 방제 방법에 따른 월별 평균 모기 수 비교 64
〈표 11〉 입자의 크기로 본 살충방법과 살충제 형태 및 장비의 종류 66
〈표 12〉 방역소독 작업자의 개인보호 장비 73
〈표 13〉 국내 주요 발생모기의 발생원과 매개질병 81
〈표 14〉 얼룩날개모기류(Anopheles spp.) 흡혈액의 혈청학적 분석(Zhang 등, 2017) 87
〈표 15〉 작은빨간집모기(Cx. tritaeniorhynchus)의 주요 흡혈활동 시간 92
〈표 16〉 모기의 비행음 93
〈표 17〉 국내 서식 모기종 104
〈표 18〉 모기 종별 살충제 저항성 참고문헌 정리표 111
〈표 19〉 최근 5년간 국내 모기 살충제 사용 현황 115
〈표 20〉 최근 5년간 국내 모기 성충ㆍ유충 방제 비율 현황 115
〈표 21〉 2022년 국내 모기 살충제 성분별 사용비중 현황(금액기준) 116
〈표 22〉 미국 알라메다 카운티 모기유충 살충제 사용 기준 117
〈표 23〉 방제지리정보시스템 현장요원 입력사항 123
[그림 1] 매개모기 발육단계별 방제 흐름도 12
[그림 2] 방제지리정보시스템 구성도 14
[그림 3] 매개모기 채집 방법 16
[그림 4] 모기 첫 출현을 대비한 유충방제 체계 18
[그림 5] 여름철 모기 대발생시에 대비한 방제 체계 19
[그림 6] 겨울철 도심지역 모기방제 체계 20
[그림 7] 방제사업 평가분석 22
[그림 8] '23년 16개 권역별 기후변화 매개체 감시 거점센터 운영현황 24
[그림 9] '23년 도심지역의 감염병 매개모기 감시결과 25
[그림 10] '23년 말라리아 매개모기 감시지점 25
[그림 11] '23년 말라리아 매개모기 조사감시사업 결과 26
[그림 12] 천적을 이용한 유충방제 30
[그림 13] 바람방향에 따른 연막수행 모식도 36
[그림 14] 대상해충의 활동시간에 따른 공간살포 가능 시간 39
[그림 15] 잔류분무기의 사양 40
[그림 16] 잔류분무 시 분무 요령 40
[그림 17] 얼룩날개모기류 방제를 위한 잔류분무 처리 시기 50
[그림 18] 살충제 제형 사진 57
[그림 19] 일일모기발생감시장비(DMS) 58
[그림 20] 일일모기발생감시장비(DMS)를 이용한 모기채집의 정확도(2022, KDCA) 59
[그림 21] 일일모기발생감시장비(DMS)를 활용한 방제작업 예시(2021, 천안) 59
[그림 22] 일일모기발생감시장비(DMS)와 방제지리정보시스템(GIS) 활용 60
[그림 23] 인공 지능 탑재 일일모기발생감시장비(AI-DMS)와 영상 촬영 및 모기 동정 61
[그림 24] AI-DMS의 홈페이지 내 채집 및 분류결과 분석자료 62
[그림 25] 근거중심 매개모기 방제 63
[그림 26] 근거중심 매개모기 방제결과 64
[그림 27] 압축분무기 67
[그림 28] 가열연막기 68
[그림 29] 극미량연무기 69
[그림 30] 동력분무기 70
[그림 31] 드론 71
[그림 32] 주요 감염병 매개모기 3속의 형태학적 특징의 비교 79
[그림 33] 집모기류의 생활사 80
[그림 34] 얼룩날개모기류(Anopheles spp.) 성충 82
[그림 35] 얼룩날개모기류(Anopheles spp.) 8종의 날개 모양 83
[그림 36] 얼룩날개모기류(Anopheles spp.) 유충(Stephen L. Doggett, 2002) 84
[그림 37] 얼룩날개모기류(Anopheles spp.) 유충의 주요 서식처 84
[그림 38] 말라리아 유행지역에서의 얼룩날개모기류(Anopheles spp.) 월별 발생밀도(2023) 84
[그림 39] 얼룩날개모기류(Anopheles spp.)의 인체흡혈 시간(홍, 1997) 87
[그림 40] 작은빨간집모기(Cx. tritaeniorhynchus) 성충 89
[그림 41] 작은빨간집모기(Cx. tritaeniorhynchus) 유충 89
[그림 42] 작은빨간집모기(Cx. tritaeniorhynchus) 유충의 주요 서식처 90
[그림 43] 작은빨간집모기(Cx. tritaeniorhynchus)의 월별 발생밀도(2023) 91
[그림 44] 작은빨간집모기 성충 월별ㆍ시간별 활동시간 조사 A. 도심, B. 철새도래지 93
[그림 45] 빨간집모기군(Cx. pipiens complex) 성충 95
[그림 46] 빨간집모기군(Cx. pipiens complex)의 유연관계를 나타내는 계통 수 96
[그림 47] 빨간집모기군(Cx. pipiens complex) 유충 96
[그림 48] 빨간집모기군(Cx. pipiens complex) 유충의 주요 서식처 97
[그림 49] 빨간집모기군(Cx. pipiens complex)의 월별 밀도 변화(KDCA, 2023) 97
[그림 50] 빨간집모기군 성충 월별ㆍ시간별 활동시간 조사 A. 도심, B. 철새도래지 99
[그림 51] 흰줄숲모기(Ae. albopictus) 성충 100
[그림 52] 흰줄숲모기(Ae. albopictus) 유충 100
[그림 53] 흰줄숲모기(Ae. albopictus) 유충의 주요 서식처 101
[그림 54] 흰줄숲모기(Ae. albopictus) 월별 발생밀도(KDCA, 2023) 101
[그림 55] 흰줄숲모기(Ae. albopictus)의 활동시간(김, 2017) 102
[그림 56] 주발생원으로부터 흰줄숲모기(Ae. albopictus)의 활동범위 조사결과(KDCA, 2014) 102
[그림 57] 흰줄숲모기(Ae. albopictus) 환경별ㆍ거리별 활동범위 조사결과(KDCA, 2014), A. 도심지역 B. 아도심지역, C. 항만지역, D. 공항지역 103
[그림 58] 방제지리정보시스템 구축 현황(2023) 118
[그림 59] 방제지리정보시스템 구성도 119
[그림 60] 방제지리정보시스템 사용(예) 120
[그림 61] 방제지리정보시스템 모바일 앱 설치 방법 121
[그림 62] 방제지리정보시스템 모바일앱 사용 방법 121
[그림 63] 소독의무대상시설 관리 및 연계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