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Ⅰ. 환경 분석 8
1. 대내외 환경 분석 8
2. 대내외 환경에 대한 교육적 대응 22
Ⅱ. 정책분석 및 개념탐색 38
1. 1~6차 교육정보화 성과진단 38
2. 관련 정책 현황 분석 58
3. 관련 개념 및 이론 탐색 66
Ⅲ. 비전과 추진 방향 75
Ⅳ. 추진 전략 및 추진 과제 84
Ⅴ. 교육의 미래상 85
1. 미래교육 시나리오 탐색 85
2. 교육의 미래상 100
참고문헌 110
[부록 1] 국내외 교육 디지털 전환 관련 주요 정책 117
판권기 121
〈표 Ⅰ-1〉 인더스트리 4.0과 인더스트리 5.0의 비교 12
〈표 Ⅰ-2〉 주요 연령계층 별 인구 및 구성비, 2020-2040년(통계청, 2022) 13
〈표 Ⅰ-3〉 주요국의 인공지능 관련 법ㆍ제도 18
〈표 Ⅱ-1〉 1~6차 교육정보화 기본계획 개요 38
〈표 Ⅱ-2〉 교육정보화의 성과 및 발전 방향 40
〈표 Ⅱ-3〉 컴퓨터 유형별 보급 현황 44
〈표 Ⅱ-4〉 단계별 학교 유선 인터넷망 구축 현황 45
〈표 Ⅱ-5〉 단계별 학교 무선 인터넷망 구축 현황 45
〈표 Ⅱ-6〉 대입전형자료 생성 및 제공 현황 50
〈표 Ⅱ-7〉 공공데이터 포털 제공 자료 중 교육 데이터 현황 51
〈표 Ⅱ-8〉 늘배움 연계 기관 및 콘텐츠 이용 현황 52
〈표 Ⅱ-9〉 K-MOOC 운영 현황 52
〈표 Ⅱ-10〉 KOCW 공개 강의 콘텐츠 구축 및 이용 현황 53
〈표 Ⅱ-11〉 RISS 원문 자료 및 이용 현황 54
〈표 Ⅱ-12〉 사회경제적 배경에 따른 디지털 리터러시 격차 57
〈표 Ⅱ-13〉 디지털 교육 관련 정책 59
〈표 Ⅱ-14〉 2022 개정 교육과정 구성의 중점(교육부, 2022) 69
〈표 Ⅱ-15〉 OECD 교육 2030과 UNESCO 교육 2050 비교 71
〈표 Ⅴ-1〉 OECD 2020과 OECD 2022 비교 85
〈표 Ⅴ-2〉 HolonlQ의 2030년의 교육 개요 89
〈표 Ⅴ-3〉 Horizon Report 2023 개요 93
〈표 Ⅴ-4〉 미래 교육 전망 시나리오 상세 비교 99
〈표 Ⅴ-5〉 시나리오를 위한 미래교육 변화 동인 100
〈표 Ⅴ-6〉 기본계획이 구현된 교육의 미래상 시나리오 개요 101
〈표 Ⅴ-7〉 대상별 교수학습 시나리오 개요 104
[그림 Ⅰ-1] WEF, 2023년 글로벌 리스크 순위 8
[그림 Ⅰ-2] 경제성장률 전망 10
[그림 Ⅰ-3] 비즈니스 전환을 가속화시키는 메가트렌드(WEF, 2023) 11
[그림 Ⅰ-4] 2021년 장래인구추계를 반영한 세계와 한국의 인구현황 및 전망(통계청 보도자료, 22.9.5)) 13
[그림 Ⅰ-5] 수도권-비수도권 인구변화 및 지역내 총생산 비중(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2) 14
[그림 Ⅰ-6] 소득격차 및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학업성취도 차이 심화(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2) 14
[그림 Ⅰ-7] 사회영역 국가포용성 분포(한국행정연구원, 2021) 15
[그림 Ⅰ-8] 글로벌 에듀테크 산업 발전 추세(HolonlQ, 2020) 19
[그림 Ⅰ-9] 2021년 장래인구추계를 반영한 내국인 인구전망(2020-2040년)(통계청, 22.4) 20
[그림 Ⅰ-10] 2000-2021년 고등교육 이수율(통계청 통계개발원, 국민 삶의 질 2022) 21
[그림 Ⅰ-11] 대내외 환경 위험 요소 및 대응 전략 22
[그림 Ⅰ-12] 한국의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 방안과 미국의 인간중심 인공지능 교육 모델 24
[그림 Ⅰ-13] 디지털 10대 기본 가치(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2) 32
[그림 Ⅰ-14] 미국 교육부 사이버보안 기술 지원 35
[그림 Ⅱ-1] 학생용과 교원용 컴퓨터 보급 현황 42
[그림 Ⅱ-2] 학교급별 컴퓨터 보급 현황 43
[그림 Ⅱ-3] 학교 유무선 인프라 구성도 44
[그림 Ⅱ-4] 학생용과 교원용 컴퓨터 보급 현황 46
[그림 Ⅱ-5] 디지털교과서 활용 학교 현황 47
[그림 Ⅱ-6] 에듀넷ㆍ티-클리어 방문자 수 현황 47
[그림 Ⅱ-7] 온라인 보충과정 신청 학생 현황 48
[그림 Ⅱ-8] 학생평가지원포털 이용 현황 49
[그림 Ⅱ-9] 교육정보통계시스템을 활용한 통계 자료 제공 현황 50
[그림 Ⅱ-10] 연도별 평생학습 참여율 54
[그림 Ⅱ-11] 계층별 평생학습 참여율 55
[그림 Ⅱ-12] 최근 3개년 간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 비교 55
[그림 Ⅱ-13] 디지털 리터러시 평가 결과 56
[그림 Ⅱ-14] 지역 간 디지털 리터러시의 수준 차이 비교 56
[그림 Ⅱ-15] 한국 교육정보화 기본계획의 성과 및 발전방향 58
[그림 Ⅱ-16] 디지털 시대의 학습자 모델(정혜주 외, 2022) 66
[그림 Ⅱ-17] 디지털 전환 시대 교육의 구성요소 및 역할 74
[그림 Ⅲ-1] 기본계획의 비전과 핵심가치 77
[그림 Ⅲ-2] 지능형 학습 생태계의 구성 요소 및 교육 변혁의 주체들 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