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요약 8
제1장 서론 18
제1절 연구 배경과 주제 18
제2절 연구 질문과 보고서의 구성 19
제2장 디지털 전환과 제조업 엔지니어 실태조사 21
제1절 문제의 제기와 조사의 개요 21
제2절 경영 특성과 인적자원관리의 기초분석 25
제3절 디지털화에 대한 개인들의 대응 태세 34
제4절 디지털화 결정 요인 등 관련 회귀분석 43
1. 통제변수들의 기술통계량 43
2. AI 기술 적응 유형 결정 요인 45
3. IT 투자가 개인의 성과 인식에 미친 영향 48
4. IT 투자가 개인의 재량권에 미친 영향 추정 51
제5절 소결 54
제3장 AI와 제조업 디지털 전환 57
제1절 인공지능의 등장과 제조업 혁신 57
제2절 M사 사례 연구 61
1. M사 사례 : AI를 활용한 제조업 디지털 전환 62
2. 현재 : 제조 현장과 AI를 활용한 디지털 전환 69
3. 미래 : AI를 활용한 제조업 디지털 전환과 전망 74
제3절 국내외 기업 사례 78
1. 국내 대기업의 사례 78
2. 해외 신생 기업의 사례 82
제4절 소결 86
1. 기존 경험의 관성과 조직 구조의 저항 86
2. 기존 체계의 경로의존성(path dependency) 및 한계 86
3. 데이터 수집 및 변수 포착의 한계 87
4. 지나치게 큰 규모와 복잡성 87
5. 인력 양성과 인프라 구축 87
제4장 조선업 디지털 전환(DX)과 엔지니어 89
제1절 최근 조선업 동향과 미래의 조선산업 89
1. 연구배경 89
2. 최근 조선업 동향 94
3. 조선산업의 디지털화 : 스마트 선박 및 스마트 야드 96
제2절 선박 엔지니어링 특성과 디지털 전환의 영향 100
1. 선박설계의 개괄적인 이해와 부문별 역할 101
2. 조선업 엔지니어 양성 과정 104
3. 전장설계 중요성 증가 및 타 부서와의 협업 107
제3절 조선업 전장설계 엔지니어링 특성 109
1. 입사 및 사내 훈련 과정 : 대학교육과의 차이점 109
2. 엔지니어들에 대한 인적자원 관리 111
3. 조선업 타 (설계) 부서와의 협업 및 애로사항 115
제4절 소결 117
제5장 결론 119
제1절 내용 요약 119
1. 제조업 디지털 전환(DX) 119
2. 디지털 전환과 제조업 엔지니어 실태조사 120
3. AI와 제조업 디지털 전환 122
4. 조선업 디지털 전환과 엔지니어 124
제2절 정책 시사점 126
1. 제조기업과 현장 중심의 디지털 전환 126
2. 디지털 문해력과 문제 해결 능력 강화 127
참고문헌 129
[부록 1] 「제조업의 디지털 전환과 인적자원관리 조사」(개인용) 133
[부록 2] 「제조업의 디지털 전환과 인적자원관리 조사」(인사관리자용) 152
판권기 165
〈표 1-1〉 보고서의 구성 20
〈표 2-1〉 업종과 규모로 본 기업 표본의 개요 24
〈표 2-2〉 조사 대상 기업들의 경영특성 26
〈표 2-3〉 연구개발활동에서 차지하는 영역별 중요도(합계 100%) 28
〈표 2-4〉 업종별 혁신 전략 29
〈표 2-5〉 최근 3년간 R&D 부문의 아웃소싱 증가 여부 29
〈표 2-6〉 최근 2년간 IT 도입 관련 규모별ㆍ업종별 실태(5점 척도) 30
〈표 2-7〉 디지털화 대비 교육훈련과 연구개발인력 채용난 정도(5점 척도) 31
〈표 2-8〉 담당 업무에 대한 AI 기술 적용 여부 및 가능성 36
〈표 2-9〉 AI 기술이 현재 업무에 미치는 영향 37
〈표 2-10〉 AI 기술 학습에 대한 태도 39
〈표 2-11〉 AI 기술에 대한 태도에 따른 개인 유형화 40
〈표 2-12〉 AI 적응 개인 유형화에 따른 업무 영향 예측 40
〈표 2-13〉 직종별 AI 적응 개인 유형화 분포 41
〈표 2-14〉 학력별 AI 적응 개인 유형화 분포 42
〈표 2-15〉 회귀분석을 위한 통제변수 모음 44
〈표 2-16〉 AI 기술 적응 유형 결정요인 분석을 위한 독립변수의 기본값 46
〈표 2-17〉 AI 기술 적응 유형 결정요인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47
〈표 2-18〉 IT 투자와 개인인식 관련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기술통계량 49
〈표 2-19〉 IT 투자가 개인 성과인식에 미친 영향 관련 분석 결과 50
〈표 2-20〉 업무 수행 재량권 변수의 구성 52
〈표 2-21〉 IT 투자와 개인 성과인식 및 업무 수행 재량권의 관계 53
〈표 3-1〉 2022년 매출규모 상위 20위 IT서비스 현황 81
〈표 4-1〉 조선업 국가직무능력표준(NCS) 내용 92
〈표 4-2〉 신조선가 지수 및 주요선종의 선가 동향(매년 말 기준) 96
〈표 4-3〉 선박설계의 단계별 과정 103
[그림 2-1] 엔지니어들의 활동공간과 상호관계 23
[그림 2-2] 인력 채용이 어려운 분야 32
[그림 2-3] 신규 인력 채용 시 중요 평가요인 32
[그림 2-4] 연구개발인력과 일반 사무관리인력 HRM의 차이 영역 33
[그림 2-5] 귀하가 현재 활용하고 있는 디지털 기술(1, 2순위 합계) 34
[그림 2-6] 교육훈련 종류별 수혜 여부 및 만족도(1, 2순위 합계) 42
[그림 3-1] 산업별 연간 데이터 창출 규모 59
[그림 3-2] 제조업체가 당면하고 있는 가장 큰 난관에 대한 조사 59
[그림 3-3] 캠버와 토우 각도 예시 67
[그림 3-4] 머신러닝 모델 적용 후 검사 품질 제고 68
[그림 4-1] 2011년 및 2021년 조선업 종사자들의 직업별 분포 93
[그림 4-2] 최근 10년간 전 세계 선박 발주동향 95
[그림 4-3] 선박 패러다임의 변화 97
[그림 4-4] 현대중공업 디지털전환(DX) 계획 99
[그림 4-5] 선박의 디지털화와 생애주기 서비스 개념 100
[그림 4-6] 선박설계의 부문별 구분 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