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요약 4
1. 서론 14
제1절 연구의 배경과 목적 15
제2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18
2. 골목상권과 로컬브랜딩 20
제1절 용어의 개념 정립 21
1. 상권과 골목상권 21
2. 로컬과 로컬브랜딩 39
제2절 장소의 의미 탐색 46
1. 장소정체성과 장소성 46
2. 장소성과 장소감 47
3. 장소감과 장소애착 49
4. 통칭의 의미로서 장소성의 구조 51
3. 골목상권 육성 관련 정책의 검토 53
제1절 지역상권 관련 정책 추진 동향 54
제2절 중앙정부의 정책 58
1. 골목상권 활성화 관련 법률 58
2. 골목상권 활성화 관련 계획 63
3. 상권 활성화 관련 시책 68
제3절 지방자치단체의 시책 78
1. 서울특별시 78
2. 부산광역시 87
3. 경기도 91
제4절 요약 및 소결 98
4. 골목상권 사례 분석 100
제1절 사례지역의 이해 101
1. 강원도 강릉시 명주동(명리단길) 101
2. 경상북도 경주시 황남동(황리단길) 109
제2절 실증 분석 118
1. 분석의 개요 118
2. 설문조사 개요 124
3. 장소감의 인식 128
4.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145
5. 골목상권 활성화 방안 151
제1절 골목상권 활성화의 접근과 방향 152
1. 골목상권 활성화의 접근 152
2. 골목상권 활성화의 기본방향 153
제2절 로컬브랜딩 계획을 통한 지역 이미지 개선 155
1. 주민이 주도하는 마스터플랜의 수립 155
2. 로컬브랜딩 탐색지표를 통한 지역자원의 발굴 158
3. 단계별 접근 계획에 의한 사업의 추진 160
제3절 장소성을 살린 골목상권의 조성 162
1. 로컬의 가치 창출을 통한 골목상권 육성 162
2. 장소의 정체성을 반영한 공간 설계 및 인프라 구축 163
3. 골목상권 여건을 고려한 차별화 전략 164
제4절 지속가능한 골목산업 생태계의 구축 166
1. 골목장인 양성 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 166
2. 창조적 지역 환경 조성을 위한 로컬 크리에이터 육성 167
3. 협력하는 골목 공동체 문화 형성을 위한 노력 168
참고문헌 172
[부록] 로컬브랜딩을 활용한 골목상권 육성방안 설문 조사 181
Abstract 186
판권기 2
표 2-1. 분류 기준에 따른 상권의 유형 및 특성 22
표 2-2. 자치단체별 골목상권 지원 관련 조례 제정 현황(2023년 12월 현재) 25
표 2-3. 전국 골목상권 현황(2023년 5월 현재) 27
표 2-4. 전국 골목 관광상권 수의 지역별 분포 현황 29
표 2-5. 전국 골목 관광상권의 지역별 현황 30
표 2-6. 외부성 및 내부성에 의한 장소 경험의 유형 48
표 3-1.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의 주요 내용 59
표 3-2. 「지역상권 상생 및 활성화에 관한 법률」의 주요 내용 60
표 3-3. 활성화구역(지역상생구역과 자율상권구역)의 비교 62
표 3-4. 전통시장 및 상점가 활성화 기본계획(2021~2023)의 주요 내용 64
표 3-5. 행정안전부 골목경제 지원사업 추진 현황(2015~2022년) 69
표 3-6. 2022년 행정안전부 골목경제 지원사업 선정 현황 70
표 3-7. 2023년 생활권 단위 로컬브랜딩 활성화 지원사업 선정 현황 74
표 3-8. 로컬크리에이터의 7대 유형별 개념과 기대효과 76
표 3-9. 지역기반 로컬크리에이터 활성화 사업 성공사례 77
표 3-10. 서울특별시 전통시장 지원정책 현황 78
표 3-11. 서울특별시의 소기업 및 소상공인 지원사업 현황 79
표 3-12. 서울특별시 5개 로컬브랜드 상권별 특성 및 육성 방향 81
표 3-13. 서울특별시 로컬브랜드 상권 선정 현황(2022년) 82
표 3-14. 서울특별시 로컬브랜드 상권 1단계 사업 주요내용 84
표 3-15. 서울특별시 로컬브랜드 상권 연계 로컬크리에이터 양성과정 85
표 3-16. 부산광역시 2023년 상권 활성화 지원사업 현황 88
표 3-17. 경기도 2023년 전통시장 활성화 지원사업 현황 92
표 3-18. 경기도 2023년 골목상권 활성화 지원사업 현황 93
표 3-19. 2023년 경기도 골목상권 공동체 지원사업(협업공모) 사업 개요 95
표 3-20. 경기도 골목상권 공동체 지원사업(우수ㆍ대표상권 조성) 사업 개요 95
표 3-21. 경기도 골목상권 특성화 지원사업(2023년) 97
표 4-1. 강릉시 및 중앙동의 인구변화 추이(2015~2022년) 106
표 4-2. 강릉 명주동 골목의 업종별 점포 현황 107
표 4-3. 강릉 명주동 골목 방문객의 유형 및 성별 비중 108
표 4-4. 경주시 및 황남동의 인구변화 추이(2015~2022년) 115
표 4-5. 경주 황남동 골목의 업종별 점포 현황 116
표 4-6. 경주 황남동 골목 방문객의 유형 및 성별 비중 117
표 4-7. 잠재변수 및 측정변수의 설정 123
표 4-8. 설문조사의 개요 124
표 4-9. 최소 표본 수 산정에 관한 선행연구 검토 125
표 4-10. 설문 응답자의 방문 시기에 따른 방문객 분포 126
표 4-11. 설문 응답자의 주민 특성에 따른 방문객 분포 127
표 4-12. 설문 응답자의 사회적 인구 특성에 따른 방문객 분포 127
표 4-13. 잠재변수 및 측정변수의 변수명 128
표 4-14. 문항별 기초통계 129
표 4-15. 강릉시 명주동 방문객의 장소감 설문 응답 분포(1/2) 132
표 4-16. 강릉시 명주동 방문객의 장소감 응답 분포(2/2) 133
표 4-17. 강릉시 명주동 방문객의 장소감 설문 결과 134
표 4-18. 경주시 황남동 방문객의 장소감 설문 응답 분포(1/2) 135
표 4-19. 경주시 황남동 방문객의 장소감 응답 분포(2/2) 136
표 4-20. 경주시 황남동 방문객의 장소감 설문 결과 137
표 4-21. 강릉시 명주동과 경주시 황남동 방문객의 장소감 비교 138
표 4-22. 강릉시 명주동 방문객 성별에 따른 장소감 비교 141
표 4-23. 강릉시 명주동 방문객 주민 특성에 따른 장소감 비교 142
표 4-24. 경주시 황남동 방문객 성별에 따른 장소감 비교 143
표 4-25. 경주시 황남동 방문객 주민 특성에 따른 장소감 비교 144
표 4-26. 잠재변수의 측정변수와 신뢰도 검증 145
표 4-27. 확인적 요인분석: 요인 부하량 147
표 4-28. 확인적 요인분석: AVE, C.R. 148
표 4-29.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결과 150
표 4-30. 총 경로에 대한 총효과, 직접효과, 간접효과 150
표 5-1. 행정안전부(2022)의 로컬브랜딩 탐색지표 159
그림 1-1. 연구의 흐름도 19
그림 2-1. 서울형 골목상권의 정의 26
그림 2-2. 로컬크리에이터의 개념도 40
그림 2-3. 브랜딩 단계 및 라이프스타일 공동체 만들기 41
그림 2-4. 로컬브랜드의 NDSR 프레임 42
그림 2-5. 장소브랜드의 CDRS 전략 43
그림 2-6. 골목상권의 성공 조건: C-READI 모델 44
그림 2-7. 장소애착의 삼분모델 50
그림 3-1. 국내 소상공인 및 상권 관련 주요 정책 동향 55
그림 3-2. 윤석열 정부의 소상공인ㆍ자영업 정책 방향(인포그래픽) 56
그림 3-3. 소상공인 지원 기본계획(2023~2025)의 주요 내용(인포그래픽) 66
그림 3-4. 생활권 단위 로컬브랜딩 활성화 지원사업 개요(인포그래픽) 73
그림 3-5. 지역기반 로컬크리에이터 활성화 사업상의 로컬크리에이터 개념 76
그림 3-6. 서울특별시 로컬브랜드 상권 육성사업의 개념과 추진체계 83
그림 3-7. 2023년 부산광역시 골목상권 활성화 지원사업(1단계) 추진 절차 90
그림 3-8. 2023년 '부산다운 골목도움' 지원사업(2단계) 추진 절차 90
그림 4-1. 강릉시 명주동 골목상권의 공간적 범위 102
그림 4-2. 2022년 '시나미 명주나들이' 프로그램 안내지도(상) 및 리플렛(하) 103
그림 4-3. 카페 '봉봉방앗간'(좌)와 '오월커피'(우) 105
그림 4-4. 강릉시와 중앙동의 인구변화 추이(2015~2022년) 106
그림 4-5. 강릉 명주동 골목의 월평균 매출액 추이와 업종별 비중 107
그림 4-6. 강릉 명주동 골목의 방문객 추이와 방문객 유형별 비중 108
그림 4-7. 경주시 황남동 골목상권의 공간적 범위 109
그림 4-8. 경주시 황남동 황리단길 전경(2023년 4월) 110
그림 4-9. 3차원 가상 황리단길 그림지도 110
그림 4-10. 경주 황리단길 안내지도(경주시 황남동행정복지센터 발행) 112
그림 4-11. 엔데믹 이후 코로나 이전 방문 기록을 넘어서고 있는 황리단길 113
그림 4-12. 경주시 및 황남동의 인구변화 추이(2015~2022년) 115
그림 4-13. 경주 황남동 골목의 월평균 매출액 추이와 업종별 비중 116
그림 4-14. 경주 황남동 골목의 방문객 추이와 방문객 유형별 비중 117
그림 4-15. 연구모형의 설계 120
그림 4-16.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한 본 연구의 분석 모형 123
그림 4-17. 구조방정식 분석 모형 149
그림 4-18.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결과 149
그림 5-1. 로컬브랜드 전략 수립 156
그림 5-2. 로컬브랜드 전략 수립 프레임 156
그림 5-3. 서울특별시(2015)가 설명한 젠트리피케이션 발생 과정 1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