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요약 11
제1장 사업 개요 21
제1절 OECD 교육성과 지표(INES LSO) 네트워크 사업의 배경 및 목적 22
1. 사업의 배경 22
2. 사업의 목적 23
제2절 사업의 내용 및 추진 방법 25
제3절 사업 추진 경과 27
제2장 OECD INES LSO 네트워크 활동 30
제1절 OECD INES LSO 네트워크 31
제2절 OECD 교육지표 2023 35
1. OECD 교육지표(EAG) 체계 및 구성 항목 35
2. OECD 교육지표 2023(Education at a Glance 2023): 지표별 내용 및 논의 41
제3장 OECD INES LSO 네트워크 총회 47
제1절 OECD INES LSO 네트워크 제29차 총회 48
1. 제29차 총회 개요 48
2. 제29차 분과회의 내용 51
제2절 OECD INES LSO 네트워크 제30차 총회 95
1. 제30차 총회 개요 95
2. 제30차 분과회의 내용 97
제4장 OECD 교육성과 지표: 이슈 분석 146
제1절 한국 고등교육 투자의 특성 - 주요국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147
1. 연구 배경 및 목적 147
2. 고등교육의 팽창과 사적 투자 현황 150
3. 사적 고등교육 투자와 불평등 158
4. 요약과 제언 166
제2절 한국 고교 직업교육의 현황 국제 비교 170
1. 연구 배경 및 목적 170
2. 고교 직업교육 참여 학생 비율 변화 172
3. 직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역량과 수업 시간 176
4. 고교 직업교육의 노동시장 성과 184
5. 결론 190
제5장 사업성과 및 향후 개선 방안 197
제1절 사업성과 198
제2절 향후 개선 방안 201
참고문헌 203
판권기 206
〈표 2-1〉 OECD 교육지표 자료 수록 국가 32
〈표 2-2〉 LSO 네트워크 총회 및 분과별 주요 활동 34
〈표 2-3〉 『OECD 교육지표』 구성(2023) 40
〈표 2-4〉 EAG 2022: A4 지표 데이터 산출 방식 42
〈표 2-5〉 교육수준별 상대적 임금 44
〈표 2-6〉 중위소득 대비 소득수준 분포 45
〈표 2-7〉 교육수준별 남녀 소득격차 46
〈표 3-1〉 기타 INES 항목 평가값 51
〈표 3-2〉 갱신 세부 일정 55
〈표 3-3〉 EAG의 PIAAC 데이터 포함에 대한 임시 일정표 65
〈표 3-4〉 EAG 2023 데이터 수집 66
〈표 3-5〉 EAG 2023 지표 A7 제안 사항 71
〈표 3-6〉 설문 세부 일정 97
〈표 3-7〉 EAG 세부 일정 98
〈표 3-8〉 주제별 보고서 100
〈표 3-9〉 세부 일정(임시) 101
〈표 3-10〉 상대 급여 측정의 편향 또는 잠재적 편향성 104
〈표 3-11〉 지난 몇 년간 주요 발전 사항 110
〈표 4-1〉 필요 교육수준 대비 실제 인력의 미스매치 152
〈표 4-2〉 고등교육과 시장경제 체제 비교 159
〈표 4-3〉 고교 직업교육 참여 학생 비율 175
〈표 4-4〉 연도별 마이스터 고등학교 학생 수 및 학교 수 176
〈표 4-5〉 직업계고 취업률 계산 방식에 따른 취업률 185
[그림 3-1] 지표 개발을 위한 각 주제별 평가 점수 52
[그림 3-2] 주제별 데이터 가용성 53
[그림 3-3] 비정규직 고용에 대한 데이터 수집-제안 사항 61
[그림 3-4] OECD.stat 비공개 버전의 주기 변수에 대한 유효성 검사 67
[그림 3-5] 교육 및 환경 문제에 대한 네 가지 차원 68
[그림 3-6] 프레임워크 제안(2023년 3월 버전) 73
[그림 3-7] 데이터 게시 및 분석 캘린더 79
[그림 3-8] 부모의 재산이 미치는 영향 111
[그림 3-9] 4As 프레임워크 112
[그림 3-10] 4As 112
[그림 3-11] A5 등급 - "높음" 또는 "매우 높음" 등급을 부여한 국가의 비율 117
[그림 3-12] ESO WG 작업 계획 요약 121
[그림 3-13] 국가별 고등교육 학생을 위한 재정 지원 127
[그림 3-14] 프레임워크 업데이트(Excel) 134
[그림 4-1] 크레덴셜리즘의 구조와 논리 148
[그림 4-2] 각국의 국민 소득 대비 교육 지출 149
[그림 4-3] 우리나라 고등교육기관 전체 졸업생과 석박사 졸업생의 수적 추이 151
[그림 4-4] 월평균 사교육비 수준(2021년, 2022년) 153
[그림 4-5] 가구 소득수준별 사교육 참가와 지출 154
[그림 4-6] 사립 고등교육기관에 다니는 학생의 비중 155
[그림 4-7] 고등교육 투자에서 사적 지출이 차지하는 비중(2020년) 156
[그림 4-8] 사적 고등교육 투자의 출처(2019) 156
[그림 4-9] 공적 교육 투자의 변화(2015-2019) 157
[그림 4-10] 고등교육 사적 투자의 비중과 지니계수(2020년) 161
[그림 4-11] 고등교육 사적 투자 비중과 상대적 빈곤율 162
[그림 4-12] 부모의 교육수준과 자녀의 대학 진학 상황 164
[그림 4-13] 고소득자의 자녀가 고등교육을 받는 것이 정당하다는 인식 비중 165
[그림 4-14] 고소득자의 자녀가 고등교육을 받는 것이 정당하다는 인식 비중과 사적 고등교육 투자 비중의 관련 166
[그림 4-15] 연도별 직업계 고등학교에 재적한 학생 비율 174
[그림 4-16]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 수 및 학교 수 변화 176
[그림 4-17] 일반계 고교 언어능력 177
[그림 4-18] 직업계 고교 언어능력 177
[그림 4-19] 언어능력 계열 간 차이 178
[그림 4-20] 직업계고 수리력 179
[그림 4-21] 일반계고 수리력 179
[그림 4-22] 수리력 계열 간 차이 179
[그림 4-23] 주당 국어 시간_직업계열 181
[그림 4-24] 주당 국어 수업 시간_일반계열 182
[그림 4-25] 주당 수학 수업 시간_직업계열 183
[그림 4-26] 주당 수학 수업 시간_일반계열 183
[그림 4-27] 주요 국가의 학력별 임금격차 187
[그림 4-28] 연도별 전문대 졸업자와 고졸자의 소득격차 188
[그림 4-29] 연도별 4년제 대졸자와 고졸자의 소득격차 1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