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지] 1
제출문 2
참여연구진, 자문위원, 국토지리정보원 3
요약 4
목차 6
제1장 서론 17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7
2. 연구 범위 17
3. 연구수행조직 18
4. 주요 활동 요약 19
5. 기대효과 20
제2장 UN-GGIM 전문가위원회 및 UN-GGIM-AP 총회 대응·지원 23
1. 제13차 UN-GGIM 전문가위원회 의제분석 및 대응 방안 마련 23
가. 제13차 전문가위원회 의제 분석 및 의제별 대응 방안 마련 25
나. 제13차 UN-GGIM 전문가위원회 사전활동 지원 및 기여방안 마련 58
다. 제13차 UN-GGIM 전문가위원회 결과 정리 및 제14차 대응 빙향 수립 74
2. 제12차 UN-GGIM-AP 협의체 활동 지원 및 대응 방안 마련 88
가. 제12차 UN-GGIM-AP 협의체 관련 회의 대응 방안 마련 89
나. 워킹그룹별 워크숍 세미나 등의 주요 논의사항 분석·활동 모니터링 및 기여방안 마련 114
다. 제12차 UN-GGIM-AP 총회 결과정리 및 제13차 총회 공여방안 마련 123
3. UN-GGIM 국제협력 전문가 자문단 구성 및 활동 방안 마련 138
가. 외부 전무가 자문단 구성 및 운영 138
4. UN-GGIM 회원국과의 지속가능한 협력방안 마련 151
가. UN-GGIM 인적 네트워크 구축 151
제3장 유라시아 공간정보 인프라 협의체 운영지원 및 활동 대응 방안 마련 157
1. 개요 157
2. 제9차 유라시아 공간정보인프라 협의체를 위한 의제 발굴·분석 및 대응 157
가. 협의체 컨퍼런스 주요 안건 발굴 및 분석 등 대응방안 제시 157
나. 정책협의체 운영방안 마련 160
다. 정책운영위원회 171
라. 제9차 ESDI 컨퍼런스 결과정리 173
3. ESDI 협의체 회원국과의 지속가능한 협력방안 마련 180
가. ESDI 협의체 회원국과의 협력방안 발굴 180
나. 기타 ESDI 협의체 활동 지원 192
제4장 기술협력회의 및 국제기구와의 협력 활동 대응·지원 199
1. 개요 199
2. 우즈베키스탄 지적청과의 기술협력 회의 개최 지원 199
가. 기술협력 회의 준비 지원 199
나. 기술협력 회의 운영 지원 201
3. ESCAP의 아태지역 공간정보데이터센터 관련 국내 유치를 위한 자료조사 및 대응 방안 마련 202
가. 한국 주재 유엔 사무소 및 국제기구 조사 203
나. APCICT 자료조사를 통한 대응방안 마련 209
다. 향후 아시아 태평양 지역 데이터센터 유치를 위한 대응방안 마련 213
4. 기타 국제기구들과의 협력 활동 지원 214
가. 지리원과 협력을 위해 방문하는 주요 외빈 대응 지원 214
제5장 지속가능한 국제협력 대응체계 마련 219
1. 개요 219
2. 글로벌 협력 네트워크 다변화 방안 마련 및 해외진출 지원 219
가. 공간정보 해외진출 지원 워크숍 개최 219
나. 공적개발원조 사업 발굴 지원 224
3. 지속가능한 국제협력 체계 구축을 위한 전략계획(안) 마련 225
가. 수립 배경 225
나. 추진 방향 226
다. 추진 계획 227
4. 국제협력 활동 추진성과 및 이슈 소개 등을 위한 홍보물 제작 233
1) 공간정보 분야 해외진출 지원 워크숍 개최 홍보 234
2) UN-GGIM 전문가위원회 참석 홍보 236
3) UN-GGIM-AP 총회 참석 홍보 237
4) 제9차 ESDI 컨퍼런스 참석 홍보 238
5. 기타 국토지리정보원의 국제협력 활동 지원 239
가. 국토지리정보원 한국대표단 활동 지원 239
나. 국토지리정보원 주요 국제협력 활동 사항 관련 영문홈페이지 현행화 지원 242
다. 국토지리정보원 영문 리플렛 제작 244
제6장 결론 247
1. 과업추진결과 요약 247
2. 제언 249
참고문헌 250
부록 252
부록 1. 제13차 UN-GGIM 전문가위원회 의제분석 결과 보고서 252
부록 2. 제13차 UN-GGIM 전문가위원회 결의안[영문] 294
부록 3. 제13차 UN-GGIM 전문가위원회 결의안[국문] 313
부록 4. 제12차 UN-GGIM-AP 총회 의제분석 결과 보고서 326
부록 5. 제12차 UN-GGIM-AP 지역위원회 전체회의 결의안(영문) 351
부록 6. 제12차 UN-GGIM-AP 지역위원회 전체회의 결의안(국문) 361
부록 7. 제9차 ESDI 컨퍼런스 회의록 367
부록 8. 국가지도제작 기관 372
판권기 377
〈표 1-1〉 주요 국제회의 및 행사 활동 요약 19
〈표 2-1〉 제13차 UN-GGIM 전문가위원회 의제 분석 및 대응방안 수립 절차 24
〈표 2-2〉 분야별 의제 분류 25
〈표 2-3〉 제13차 UN-GGIM 전문가위원회 의제 목록 26
〈표 2-4〉 UN-GGIM 전문가위원회 의제 동향 분석(2018~2023년) 27
〈표 2-5〉 의제3. 세계 공간정보관리 체계 강화 28
〈표 2-6〉 의제4. 지역위원회 활동 28
〈표 2-7〉 의제5. 주제 네트워크 그룹 활동 29
〈표 2-8〉 의제6. 미래 공간정보 생태계 29
〈표 2-9〉 의제7. 공간정보 통합 프레임워크 30
〈표 2-10〉 의제8. 세계측지기준체계 30
〈표 2-11〉 의제9. 지속가능한 발전 및 기후 복원력을 위한 공간정보 30
〈표 2-12〉 의제10. 공간정보·통계 등 연계 31
〈표 2-13〉 의제11. 지행정 및 관리에 관한 공간정보 활용 31
〈표 2-14〉 의제12. 재난관리 32
〈표 2-15〉 의제13. 통합 해양공간정보 32
〈표 2-16〉 의제14. 법·정책 프레임워크 32
〈표 2-17〉 의제15. 세계 공간정보 표준의 실행과 적용 33
〈표 2-18〉 의제16. UN지명전문가그룹과 협력 33
〈표 2-19〉 제12차 UN-GGIM 전문가위원회 주요 결과 33
〈표 2-20〉 의제별 개요 및 제13차 UN-GGIM 전문가위원회 중점 논의사항 35
〈표 2-21〉 세계 공간정보관리 체계 강화 의제 논의사항 및 대응방안 41
〈표 2-22〉 지역위원회 활동 의제 논의사항 및 대응방안 42
〈표 2-23〉 주제 네트워크 그룹 활동 의제 논의사항 및 대응방안 43
〈표 2-24〉 미래 공간정보 생태계 의제 논의사항 및 대응방안 43
〈표 2-25〉 공간정보 통합 프레임워크 의제 논의사항 및 대응방안 45
〈표 2-26〉 세계측지기준체계 의제 논의사항 및 대응방안 47
〈표 2-27〉 공간정보·통계 등 연계 의제 논의사항 및 대응방안 48
〈표 2-28〉 토지행정 및 관리에 관한 공간정보 활용 의제 논의사항 및 대응방안 49
〈표 2-29〉 지속가능한 발전 및 기후 복원력을 위한 공간정보 의제 논의사항 및 대응방안 50
〈표 2-30〉 재난관리 의제 논의사항 및 대응방안 51
〈표 2-31〉 통합 해양공간정보 의제 논의사항 및 대응방안 52
〈표 2-32〉 법·정책 프레임워크 의제 논의사항 및 대응방안 53
〈표 2-33〉 세계 공간정보 표준의 실행과 적용 의제 논의사항 및 대응방안 55
〈표 2-34〉 UN 지명전문가그룹과 협력 의제 논의사항 및 대응방안 56
〈표 2-35〉 제13차 UN-GGIM 전문가위원회 추진 일정 58
〈표 2-36〉 제14차 UN-GGIM 전문가위원회 잠정의제 목록 61
〈표 2-37〉 UN-GGIM 전문가위원회 기능그룹 62
〈표 2-38〉 UN-GGIM 지역위원회 작업 항목/워킹그룹 현황 63
〈표 2-39〉 UN-GGIM 지역위원회 작업 활동 64
〈표 2-40〉 2023년 국토지리정보원 사업운영계획 66
〈표 2-41〉 UN-GGIM(1~3부) 미래트렌드 보고서 70
〈표 2-42〉 제12차 UN-GGIM-AP 총회 의제 목록 89
〈표 2-43〉 UN-GGIM-AP 워킹그룹 설립목적 및 역할 90
〈표 2-44〉 UN-GGIM-AP 워킹그룹 동향 분석(2020년~2022년) 90
〈표 2-45〉 제11차 UN-GGIM-AP 워킹그룹 1 주요 결과 91
〈표 2-46〉 제12차 UN-GGIM-AP 워킹그룹 1 예상 안건 92
〈표 2-47〉 WG1 2022~2025 집행이사회의 측지관련 부문 활동 목표 93
〈표 2-48〉 제11차 UN-GGIM-AP 워킹그룹 3 주요 결과 93
〈표 2-49〉 제12차 UN-GGIM-AP 워킹그룹 3 예상 안건 94
〈표 2-50〉 GSGF '22년~'24년 Work Plan 95
〈표 2-51〉 제11차 UN-GGIM-AP 워킹그룹 4 주요 결과 95
〈표 2-52〉 제12차 UN-GGIM-AP 워킹그룹 4 예상 안건 96
〈표 2-53〉 UN-GGIM 지역위원회 측지계 워킹그룹 활동여부 97
〈표 2-54〉 UN-GGIM-Americas GRFA 워킹그룹 활동(2020년~2022년) 97
〈표 2-55〉 UN-GGIM-Arab State GRF 워킹그룹 활동(2021년~2023년) 98
〈표 2-56〉 UN-GGIM-Europe GRF 워킹그룹 활동(2020년~2022년) 99
〈표 2-57〉 UN-GGIM-Africa GRF 워킹그룹 활동(2020년~2022년) 100
〈표 2-58〉 UN-GGIM 지역위원회 공간정보 통계 통합 워킹그룹 활동여부 101
〈표 2-59〉 UN-GGIM-Americas GSGF 워킹그룹 활동(2020년~2022년) 101
〈표 2-60〉 UN-GGIM-Arab State GSGF 워킹그룹 활동(2021년~2023년) 102
〈표 2-61〉 UN-GGIM-Europe GSGF 워킹그룹 활동(2020년~2022년) 103
〈표 2-62〉 UN-GGIM-Africa GSGF 워킹그룹 활동(2021년~2023년) 104
〈표 2-63〉 UN-GGIM 지역위원회 통합 공간정보 프레임워크 워킹그룹 활동여부 106
〈표 2-64〉 UN-GGIM-Americas IGIF 워킹그룹 활동(2021년~2022년) 106
〈표 2-65〉 UN-GGIM-Arab State IGIF 워킹그룹 활동(2021년~2023년) 107
〈표 2-66〉 UN-GGIM-Americas IGIF 워킹그룹 활동(2022년) 107
〈표 2-67〉 UN-GGIM-AP 집행이사회 활동 108
〈표 2-68〉 WG3 워크 플랜 116
〈표 2-69〉 제12차 UN-GGIM-AP 및 2023 APGF 포럼 참석자 123
〈표 2-70〉 자문위원 후보 및 국제협력 관련 활동 현황 139
〈표 2-71〉 국제협력자문단 자문위원별 자문 요청 분야 140
〈표 2-72〉 UN-GGIM 전문가위원회 자문 검토 141
〈표 2-73〉 워킹그룹 1 자문사항 146
〈표 2-74〉 워킹그룹 3 자문사항 146
〈표 2-75〉 워킹그룹 4 자문사항 147
〈표 2-76〉 UN-GGIM-Korea 추진경위 149
〈표 2-77〉 UN-GGIM Korea 협의체 구성안 150
〈표 2-78〉 UN-GGIM 주요 인사 인적 네트워크 현황 151
〈표 3-1〉 의제 관련 회원국별 의견 158
〈표 3-2〉 우즈베키스탄 NSDI 개발 추진경과 161
〈표 3-3〉 키르기즈 공화국 공간정보 관련 포털 168
〈표 3-4〉 제9차 ESDI 참석자 명단 174
〈표 3-5〉 제9차 ESDI 세부 일정 175
〈표 3-7〉 중점협력국 선정 현황(1기~3기) 182
〈표 3-8〉 공간정보 관련 중점협력 분야 현황 182
〈표 3-9〉 최근 주요의제(제12차 UN-GGIM 전문가 위원회('22.8월, 뉴욕)) 186
〈표 3-10〉 최근 주요의제(제2차 UNGEGN 총회('21.5월, 뉴욕)) 187
〈표 3-11〉 국토지리정보원 양자회의 개최 현황(TOP 3) 187
〈표 3-12〉 국토지리정보원의 개도국 역량강화 현황(TOP 3) 189
〈표 3-13〉 국토지리정보원 세부지원 분야(안) 190
〈표 3-14〉 국토지리정보원 국제협력 분야 인적 네트워크 현황 191
〈표 4-1〉 우즈베키스탄 지적청 주요연혁 199
〈표 4-2〉 국토지리정보원 세부지원 분야(안) 200
〈표 4-3〉 우즈베키스탄 지적청과의 기술협력 회의 지원 주요내용 201
〈표 4-4〉 우리나라 소재의 글로벌, 지역 사무소 203
〈표 4-5〉 우리나라 소재의 국가 및 파트너십 사무소 204
〈표 4-6〉 우리나라 소재의 글로벌 프로젝트 사무소 205
〈표 4-7〉 우리나라 소재의 글로벌 교육 및 연구센터 206
〈표 4-8〉 우리나라 소재의 유엔-정부 간 프로그램 사무소 207
〈표 4-9〉 우리나라 소재의 국제 및 정부 간 협력 기관 208
〈표 4-10〉 APCICT 설립 경위 211
〈표 4-11〉 APCICT 설립 이해관계자 212
〈표 5-1〉 공간정보 분야 해외진출 지원 워크숍 주요일정 220
〈표 5-2〉 국토정보지리원의 홍보물 제작 추진 경과 233
〈표 5-3〉 국토지리정보원 국제협력 업무 최신화 지원 추진경과 240
〈표 5-3〉 국토지리정보원 국제협력 업무활동 지원 추진경과 242
〈그림 1-1〉 연구수행조직 18
〈그림 2-1〉 제13차 UN-GGIM 전문가위원회 의제분석 및 대응방안 마련 개요 23
〈그림 2-2〉 제13차 UN-GGIM 전문가위원회 대응방향 마련 38
〈그림 2-3〉 UN-GGIM 전문가 위원회 세부 추진방안 39
〈그림 2-4〉 전문가위원회 대응을 위한 보고 및 자문회의 주요내용 40
〈그림 2-5〉 대응방안 수립 및 보고 예시(IGIF 의제) 60
〈그림 2-6〉 현행 국제회의 대응체계 문제점 1 65
〈그림 2-7〉 현행 국제회의 대응체계 문제점 2 65
〈그림 2-8〉 UN-GGIM 관계기관 영문 성과홍보 67
〈그림 2-9〉 UN-GGIM 전문가위원회 대응 개선방향 도출 68
〈그림 2-10〉 국제회의 대응에 대한 전문성과 연속성 약화 69
〈그림 2-11〉 우리나라의 공간정보 분야 선진기술(위치기준체계, 국토위성센터, 디지털 트윈국토) 70
〈그림 2-12〉 제13차 UN-GGIM 전문가위원회 참여결과 공유 73
〈그림 2-13〉 인터세션 기간 화상회의 지원 74
〈그림 2-14〉 제2차 HLG-IGIF 회의 75
〈그림 2-15〉 글로벌 측지 포럼 76
〈그림 2-16〉 UN-GGIM-AP 집행이사회 76
〈그림 2-17〉 UNSD, ESCAP 회의 77
〈그림 2-18〉 핵심의제별(GGRF, IGIF, 재난관리) 대응 결과 요약 83
〈그림 2-19〉 UN-GGIM-AP 조직현황 88
〈그림 2-20〉 UN-GGIM PSN 위원 구성 111
〈그림 2-21〉 WG1 활동현황 114
〈그림 2-22〉 Asia Pacific Reference Frame(APREF) 115
〈그림 2-23〉 Asia Pacific Regional Geodetic Project 2021 115
〈그림 2-24〉 WG3 활동현황 116
〈그림 2-25〉 WG3 설문 결과 117
〈그림 2-26〉 WG4 활동 타임라인 118
〈그림 2-27〉 점검회의 준비를 위한 주요 활동 119
〈그림 2-28〉 우리나라 국가 공간정보정책 120
〈그림 2-29〉 UN-GGIM-AP 홈페이지 워킹그룹 활동 게재 현황 121
〈그림 2-30〉 ODA 사업 성과 122
〈그림 2-31〉 UN-IGIF 3개 파트 124
〈그림 2-32〉 측지기준체계 활용 재난 대응 워크숍 결과 128
〈그림 2-33〉 APGF 세미나 및 공간정보 통합 프레임워크(IGIF) 워크숍 결과 132
〈그림 2-34〉 측지기준체계 워킹그룹(WG1) 회의결과 133
〈그림 2-35〉 공간정보 통계 통합 워킹그룹(WG3) 회의결과 133
〈그림 2-36〉 통합 공간정보 프레임워크 워킹그룹(WG4) 회의결과 134
〈그림 2-37〉 '19년 교육 프로그램 수요조사 관련 항목 및 설문지 135
〈그림 2-38〉 재난 관리 및 대응을 위한 공간정보 및 통계 통합사례 136
〈그림 2-39〉 격자기반 국토조사 지표 생산 137
〈그림 2-40〉 국제협력 전문가 자문단 구성 추진 138
〈그림 2-41〉 UN-GGIM 국제협력 전문가 자문단 140
〈그림 2-42〉 UN-GGIM-전문가위원회 자문단 참여 147
〈그림 2-43〉 제4차 GGIM Korea 포럼 개최 포스터 149
〈그림 3-1〉 최근 ESDI 컨퍼런스 주제 169
〈그림 3-2〉 우즈베키스탄 발표자료 176
〈그림 3-3〉 벨라루스 발표자료 176
〈그림 3-4〉 타지키스탄 발표자료 177
〈그림 3-5〉 몽골 발표자료 177
〈그림 3-6〉 키르기즈 공화국 발표자료 177
〈그림 3-7〉 한국 발표자료 178
〈그림 3-8〉 튀르키예 발표자료 178
〈그림 3-9〉 제9차 ESDI 컨퍼런스 참여 179
〈그림 3-10〉 국제개발협력 ODA 규모(2016년~2022년) 181
〈그림 3-11〉 공간정보 정보공유 플랫폼 개념도 184
〈그림 3-12〉 연계사업 추진사례 185
〈그림 3-13〉 역대 ESDI 컨퍼런스 개최 현황 186
〈그림 3-14〉 국토지리정보원 대륙별 MOU 체결 현황 188
〈그림 3-15〉 지리원 국제회의 참석 현황 188
〈그림 4-1〉 국토지리정보원-우즈베키스탄 지적청 간 기술협력 회의 사진 202
〈그림 4-2〉 ESCAP 관계자 방문 216
〈그림 5-1〉 공간정보 분야 해외진출 지원 워크숍 포스터 221
〈그림 5-2〉 공간정보 분야 해외진출 지원 워크숍 현장사진 222
〈그림 5-3〉 제9차 ESDI 컨퍼런스 비즈미팅 225
〈그림 5-4〉 국토지리정보원 국제협력 분야 중·단기 로드맵(안) 228
〈그림 5-5〉 협력국 선정 프로세스 230
〈그림 5-6〉 공간정보 분야 해외진출 지원 워크숍 개최 홍보 235
〈그림 5-7〉 UN-GGIM 전문가위원회 참석 홍보 236
〈그림 5-8〉 UN-GGIM-AP 총회 참석 홍보 237
〈그림 5-9〉 ESDI 컨퍼런스 참석 홍보 238
〈그림 5-10〉 국제출장 사전·사후 결과 보고 239
〈그림 5-11〉 주요 통·번역 결과 241
〈그림 5-12〉 홈페이지 현행화 결과 243
〈그림 5-13〉 영문 리플렛 제작 244
〈그림 6-1〉 UN-GGIM-Korea 재활성화 추진 2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