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연구요약 4
1. 사업 개요 10
가. 사업의 필요성 및 목적 10
나. 사업의 내용 및 범위 11
2. 추진 경과 15
3. 선행연구 분석 18
가. AIEDAP 사업 1차년도(2022년) 주요 연구 결과 18
나. 교원의 디지털 역량체계 및 측정도구 관련 선행 연구 분석 28
4. 사업 수행 내용 및 주요 결과 47
가. [연구 내용 1] 교원의 AIㆍ디지털 역량체계 재구조화 47
1. 교원의 AIㆍ디지털 역량체계 정비 및 행동지표 정교화 47
2. 재구조화된 역량체계에 대한 타당성 검증 59
3. 전문가 타당성 검증 결과를 반영한 역량체계 확정 66
나. [연구내용 2] 교원의 AIㆍ디지털 역량 측정도구 개발 75
1. 교원의 AIㆍ디지털 역량 유형별 측정도구 개요 75
2. 자기보고식 인식형 도구 개발 77
3. 문제풀이형 도구 개발 111
4. 대화형 도구 개발 124
5. 과제수행형 도구 개발 128
6. 교원의 AIㆍ디지털 역량 측정도구 시범 적용 및 활용 방안 도출 143
다. [연구내용 3] 교원의 AIㆍ디지털 역량 증진을 위한 중장기 계획 수립 149
1. 교원의 AIㆍ디지털 역량 증진 중장기 계획 수립 방향 149
2. 현직교원 교육 요구도 조사 149
3. 예비교원 교육 요구도 조사 173
4/3. 교원의 AIㆍ디지털 역량 증진을 위한 중장기 계획 수립 188
5. 사업 목표 달성도 196
6. 사업 결과 활용 계획 197
참고문헌 198
[부록 1] 1차년도(2022) 연구의 교과별 교원 AIㆍ디지털 역량 비교 201
[부록 2] 교원의 AIㆍ디지털 역량체계 206
[부록 3] 교원의 AIㆍ디지털 역량 측정 참여 안내자료 예시 210
[부록 4] 교원의 AIㆍ디지털 역량 측정 시스템 216
[부록 5] 현직교원의 AIㆍ디지털 역량 교육 요구도 분석 225
판권기 255
〈표 3-1〉 예비ㆍ현직 교원의 AIㆍ디지털 공통역량 및 하위역량(1차년도) 22
〈표 3-2〉 'AIㆍ디지털의 교육적 활용 설계' 역량의 하위역량별 행동지표 예시(1차년도) 23
〈표 3-3〉 교과별 행동지표 명칭 및 내용 분석 결과(1차년도) 26
〈표 3-4〉 교과별 역량 행동지표 예시(1차년도) 27
〈표 3-5〉 스코틀랜드 '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30
〈표 3-6〉 ISTE Standards for Educator 세부 지침 32
〈표 3-7〉 DLGF 기반 디지털 리터러시 평가도구의 설계 관련 5가지 권장사항(UIS, 2019) 재구성 36
〈표 3-8〉 2022년 초/중학생용 디지털 리터러시 평가모듈 구성 현황 44
〈표 4-1-1〉 본 연구에서 도출한 역량과 관련 선행연구에서 도출한 역량과의 관계 48
〈표 4-1-2〉 역량별 지식, 기능, 태도와 가치 52
〈표 4-1-3〉 교원의 AIㆍ디지털 역량 재구조화 초안 57
〈표 4-1-4〉 역량 평가 척도 59
〈표 4-1-5〉 전문가 검토 의견을 반영한 행동지표 수정 예시 60
〈표 4-1-6〉 전문가 검토 의견을 반영한 지식, 기능, 태도와 가치 수정 예시 62
〈표 4-1-7〉 행동지표별 행동예시에 대한 예시 63
〈표 4-1-8〉 교사 검토 의견을 반영한 수정 예시 65
〈표 4-1-9〉 타당성 검증을 통해 보완한 역량체계 66
〈표 4-1-10〉 행동지표별 행동예시(교원 대상) 68
〈표 4-1-11〉 역량 측정을 위한 평가 척도 73
〈표 4-2-1〉 핵심역량별 측정 방법 개요 76
〈표 4-2-2〉 역량 측정 예비검사용 온라인 시스템의 주요 화면 77
〈표 4-2-3〉 1차 예비검사 기술통계량 78
〈표 4-2-4〉 전체 척도의 KMO, Bartlett 검정 79
〈표 4-2-5〉 전체 척도의 공통성 값과 패턴 행렬 81
〈표 4-2-6〉 전체 척도의 설명된 총분산 82
〈표 4-2-7〉 'AIㆍ디지털 기본' 영역의 KMO와 Bartlett 검정 84
〈표 4-2-8〉 'AIㆍ디지털 기본' 영역의 공통성 값 및 패턴 행렬 84
〈표 4-2-9〉 'AIㆍ디지털 기본' 영역의 설명된 총분산 84
〈표 4-2-10〉 'AIㆍ디지털 교육 실행' 영역의 KMO와 Bartlett 검정 85
〈표 4-2-11〉 'AIㆍ디지털 교육 실행 영역의 공통성 값 및 패턴 행렬 85
〈표 4-2-12〉 'AIㆍ디지털 교육 실행' 영역의 설명된 총분산 86
〈표 4-2-13〉 '전문적 참여' 영역의 KMO와 Bartlett 검정 87
〈표 4-2-14〉 '전문적 참여' 영역의 공통성 값 및 패턴 행렬 87
〈표 4-2-15〉 '전문적 참여' 영역의 설명된 총분산 87
〈표 4-2-16〉 전체 척도에 대한 문항 제거 시 신뢰도 88
〈표 4-2-17〉 전체 척도에 대한 문항 제거 시 신뢰도 88
〈표 4-2-18〉 'AIㆍ디지털 기본' 영역에 대한 문항 제거 시 신뢰도 89
〈표 4-2-19〉 'AIㆍ디지털 교육 실행' 영역에 대한 문항 제거 시 신뢰도 90
〈표 4-2-20〉 '전문적 참여' 영역에 대한 문항 제거 시 신뢰도 90
〈표 4-2-21〉 2차 예비검사 기술통계량 92
〈표 4-2-22〉 역량별 기술통계와 상관관계 93
〈표 4-2-23〉 전체 및 역량별 신뢰도 94
〈표 4-2-24〉 측정모형의 적합도 94
〈표 4-2-25〉 측정모형의 수렴타당도 97
〈표 4-2-26〉 역량 간 판별타당도 검증 결과(상관계수 제곱 및 AVE) 98
〈표 4-2-27〉 응답자 분포 99
〈표 4-2-28〉 최종 인식형 측정도구 기술통계량 100
〈표 4-2-29〉 최종 인식형 측정도구 영역간 상관관계 및 기술통계 102
〈표 4-2-30〉 최종 인식형 측정도구 역량간 상관관계 및 기술통계 103
〈표 4-2-31〉 전체 및 영역별, 역량별 신뢰도 104
〈표 4-2-32〉 정보(SWㆍAI) 교수효능감 척도의 신뢰도 104
〈표 4-2-33〉 AI 활용 교육역량 및 행동지표 문항의 신뢰도 105
〈표 4-2-34〉 최종 척도와 정보(SWㆍAI) 교수효능감 척도 간 상관관계 106
〈표 4-2-35〉 최종 척도와 AI 활용 교육역량 및 행동지표 간 상관관계 108
〈표 4-2-36〉 교차타당도 검증(모형 적합도) 110
〈표 4-3-1〉 문제풀이형 문항 개발 과정 112
〈표 4-3-2〉 문제풀이형 문항 개발 템플릿 113
〈표 4-3-3〉 1차 개발 문항 사례 115
〈표 4-3-4〉 응답자 분포 118
〈표 4-3-5〉 문제풀이형 선다형 문항의 난이도 및 변별도 120
〈표 4-3-6〉 4지 선다형 일부 문항 응답자 반응분포 121
〈표 4-3-7〉 선다형 문항 및 총점간 Pearson 상관계수 122
〈표 4-3-8〉 10번 문항 오답지 기능성 검토 122
〈표 4-3-9〉 문항 2 부분점수 분포 및 정ㆍ오답 분포 123
〈표 4-3-10〉 문항 9 참여자 점수 분포 123
〈표 4-4-1〉 순차대화형 화면 및 진행 방법 124
〈표 4-4-2〉 자율대화형 화면 및 진행 방법 125
〈표 4-5-1〉 과제수행형 도구 개발 개요 및 일정 129
〈표 4-5-2〉 [AIㆍ디지털 기술 활용 교육맥락분석] 역량 관련 수행 평가기준 초안 130
〈표 4-5-3〉 [AIㆍ디지털 기술 활용 교수-학습설계] 역량 관련 수행 평가기준 초안 131
〈표 4-5-4〉 [AIㆍ디지털 기술 활용 교육맥락분석] 역량 관련 수행 평가기준 2차 수정안 132
〈표 4-5-5〉 [AIㆍ디지털 기술 활용 교수-학습설계] 역량 관련 수행 평가기준 2차 수정안 134
〈표 4-5-6〉 [AIㆍ디지털 기술 활용 교육맥락분석] 역량 관련 수행 평가 도구의 평가자 간 일치도(IOC) 분석 137
〈표 4-5-7〉 [AIㆍ디지털 기술 활용 교수-학습설계] 역량 관련 수행 평가 도구의 평가자 간 일치도(IOC) 분석 138
〈표 4-5-8〉 [AIㆍ디지털 기술 활용 교육맥락분석] 역량 관련 수행 평가기준 최종안 139
〈표 4-5-9〉 [AIㆍ디지털 기술 활용 교수-학습설계] 역량 관련 수행 평가기준 최종안 141
〈표 4-6-1〉 교원의 AIㆍ디지털 역량 측정도구 활용 방안 144
〈표 4-6-2〉/〈표 4-6-1〉 문제풀이형 측정도구 응답에 참여한 교사들의 의견(자유의견 기술) 145
〈표 4-7-1〉 응답자 인구통계표 149
〈표 4-7-2〉 전체 응답 기술통계량 151
〈표 4-7-3〉 교사 AIㆍ디지털 역량 중요도 인식 및 수행도 응답 신뢰도 153
〈표 4-7-4〉 측정 모형 적합도 153
〈표 4-7-5〉 모형 분석 결과 154
〈표 4-7-6〉 성별 교사 AIㆍ디지털 역량 중요도 인식 차이 155
〈표 4-7-7〉 학교급별 교사 AIㆍ디지털 역량 중요도 인식 차이 155
〈표 4-7-8〉 중등교원 교과목별 교사 AIㆍ디지털 역량 중요도 인식 차이 156
〈표 4-7-9〉 중등교원 정보교과 담당 여부에 따른 교사 AIㆍ디지털 역량 중요도 인식 차이 156
〈표 4-7-10〉 연차별 교사 AIㆍ디지털 역량 중요도 인식 차이 156
〈표 4-7-11〉 참여 연수유형별 교사 AIㆍ디지털 역량 중요도 인식 차이 157
〈표 4-7-12〉 성별 교사 AIㆍ디지털 역량 수행도 차이 157
〈표 4-7-13〉 학교급별 교사 AIㆍ디지털 역량 수행도 차이 157
〈표 4-7-14〉 중등교원 교과목별 교사 AIㆍ디지털 역량 수행도 차이 158
〈표 4-7-15〉 중등교원 정보교과 담당 여부에 따른 교사 AIㆍ디지털 역량 수행도 차이 158
〈표 4-7-16〉 연차별 교사 AIㆍ디지털 역량 수행도 차이 159
〈표 4-7-17〉 참여 연수유형별 교사 AIㆍ디지털 역량 수행도 차이 159
〈표 4-7-18〉 교사 AIㆍ디지털 역량의 하위역량별 수행도 수준 160
〈표 4-7-19〉 성별에 따른 교사 AIㆍ디지털 역량의 하위역량별 수행도 차이 160
〈표 4-7-20〉 학교급에 따른 교사 AIㆍ디지털 역량의 하위역량별 수행도 차이 161
〈표 4-7-21〉 교과목에 따른 교사 AIㆍ디지털 역량의 하위역량별 수행도 차이 162
〈표 4-7-22〉 정보 교과 담당 여부에 따른 교사 AIㆍ디지털 역량의 하위 역량별 수행도 차이 164
〈표 4-7-23〉 연차에 따른 교사 AIㆍ디지털 역량의 하위역량별 수행도 차이 165
〈표 4-7-24〉 연수 유형에 따른 교사 AIㆍ디지털 역량의 하위 역량별 수행도 차이 167
〈표 4-7-25〉 교사 AIㆍ디지털 역량 교육 요구도 분석 169
〈표 4-7-26〉 교사 AIㆍ디지털 역량 교육 요구 우선순위 선정 170
〈표 4-7-27〉 교사 집단별 AIㆍ디지털 역량 교육 요구 우선순위 선정 172
〈표 4-8-1〉 응답자 인구통계표 173
〈표 4-8-2〉 전체 응답 기술통계량 175
〈표 4-8-3〉 교사 AIㆍ디지털 역량 중요도 인식 및 수행도 응답 신뢰도 177
〈표 4-8-4〉 측정 모형 적합도 177
〈표 4-8-5〉 모형 분석 결과 178
〈표 4-8-6〉 양성과정별 예비 교사 AIㆍ디지털 역량 중요도 인식 차이 179
〈표 4-8-7〉 학년별 예비 교사 AIㆍ디지털 역량 중요도 인식 차이 179
〈표 4-8-8〉 예비교사 정보교과 전공 여부별 AIㆍ디지털 역량 중요도 인식 차이 179
〈표 4-8-9〉 양성과정별 예비교사 AIㆍ디지털 역량 수행도 차이 180
〈표 4-8-10〉 학년별 예비 교사 AIㆍ디지털 역량 수행도 차이 180
〈표 4-8-11〉 예비교사 정보교과 전공 여부별 예비교사 AIㆍ디지털 역량 수행도 차이 180
〈표 4-8-12〉 예비 교사 AIㆍ디지털 역량의 하위역량별 수행도 수준 181
〈표 4-8-13〉 양성과정에 따른 예비교사 AIㆍ디지털 역량의 하위역량별 수행도 차이 181
〈표 4-8-14〉 학년에 따른 예비교사 AIㆍ디지털 역량의 하위역량별 수행도 차이 182
〈표 4-8-15〉 예비교사 정보교과 전공 여부별 AIㆍ디지털 역량의 하위 역량 수행도 차이 183
〈표 4-8-16〉 예비 교사 AIㆍ디지털 역량 교육 요구도 분석 184
〈표 4-8-17〉 예비 교사 AIㆍ디지털 역량 교육 요구 우선순위 선정 186
[그림 1-1] 연구목적 및 연구 세부 내용 11
[그림 3-1] 예비ㆍ현직 교원의 AIㆍ디지털 역량 개념 체계(1차년도 연구 결과, 김희규 외(2022. 212p) 20
[그림 3-2] Digcomp 2.2 5대 역량 영역 및 세부 역량체계 29
[그림 3-3] Digcomp 2.2의 역량 수준 30
[그림 3-4] 스코틀랜드 '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프레임워크' 31
[그림 3-5] ISTE Standards for Educator 32
[그림 3-6] 스마트교육 교원 역량 진단도구 38
[그림 3-7] SELFIE for TEACHERS 측정 영역(6개) 및 문항(32개) 39
[그림 3-8] SELFIE for TEACHERS 생태계 40
[그림 3-9] SW교육 역량 진단 도구 개발 중장기 로드맵 42
[그림 3-10] PISA2021의 컴퓨팅 사고력 측정 문항 예시 46
[그림 4-1-1] 교원의 AIㆍ디지털 역량체계 재구조화 방향 49
[그림 4-2-1] 전체 척도의 스크리도표 80
[그림 4-2-2] AIㆍ디지털 역량 척도의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표준화계수) 95
[그림 4-3-1] 개발된 문제풀이형 문항(74개) 메타 정보 112
[그림 4-6-1] 개인별 역량 진단 결과 제시 예시 화면(방사형) 147
[그림 4-6-2] 개인별 역량 진단 결과 제시 예시 화면(동적 큐빅형) 147
[그림 4-6-3] EU DigComp 유럽 시민의 디지털 역량 측정 결과 제시화면 예 (DigComp(https://digcomp.digital-competence.eu/)에서 역량측정 후, 이메일을 통해 받은 결과리포트에서 캡쳐함) 148
[그림 4-7-1] 교사 AIㆍ디지털 역량 Locus for Focus 169
[그림 4-7-2] 현직 교사 AIㆍ디지털 역량 행동지표 Locus for Focus 170
[그림 4-8-1] 예비 교사 AIㆍ디지털 역량 Locus for Focus 185
[그림 4-8-2] 예비 교사 AIㆍ디지털 역량 행동지표 Locus for Focus 186
[그림 4-9-1] AIㆍ디지털 역량 측정 및 증진을 위한 중장기 계획 188
[그림 4-9-2] AIㆍ디지털 역량 측정도구 개발 중장기 방안 191
[그림 4-9-3] AIㆍ디지털 역량 측정도구 개발 중장기 방안 195
〈부록-표-1〉 교사 AIㆍ디지털 역량 교육 요구도 분석 225
〈부록-표-2〉 교사 AIㆍ디지털 역량 교육 요구 우선순위 선정 226
〈부록-표-3〉 초등학교 교사 AIㆍ디지털 역량 교육 요구도 분석 228
〈부록-표-4〉 초등학교 교사 AIㆍ디지털 역량 교육 요구 우선순위 선정 229
〈부록-표-5〉 중학교 교사 AIㆍ디지털 역량 교육 요구도 분석 230
〈부록-표-6〉 중학교 교사 AIㆍ디지털 역량 교육 요구 우선순위 선정 231
〈부록-표-7〉 고등학교 교사 AIㆍ디지털 역량 교육 요구도 분석 231
〈부록-표-8〉 고등학교 교사 AIㆍ디지털 역량 교육 요구 우선순위 선정 232
〈부록-표-9〉 학교급별 교사 AIㆍ디지털 역량 교육 요구도 분석 결과 233
〈부록-표-10〉 정보교과 담당 교사 AIㆍ디지털 역량 교육 요구도 분석 234
〈부록-표-11〉 정보 교과 교사 AIㆍ디지털 역량 교육 요구 우선순위 선정 235
〈부록-표-12〉 비정보 교과 담당 교사 AIㆍ디지털 역량 교육 요구도 분석 236
〈부록-표-13〉 비정보 교과 교사 AIㆍ디지털 역량 교육 요구 우선순위 선정 237
〈부록-표-14〉 정보교과 담당 여부별 교사 AIㆍ디지털 역량 교육 요구도 분석 결과 238
〈부록-표-15〉 1년 미만 교사 AIㆍ디지털 역량 교육 요구도 분석 239
〈부록-표-16〉 1년 미만 교사 AIㆍ디지털 역량 교육 요구 우선순위 선정 240
〈부록-표-17〉 1년 이상~6년 미만 교사 AIㆍ디지털 역량 교육 요구도 분석 240
〈부록-표-18〉 1년 이상~6년 미만 교사 AIㆍ디지털 역량 교육 요구 우선순위 선정 241
〈부록-표-19〉 6년 이상~11년 미만 교사 AIㆍ디지털 역량 교육 요구도 분석 242
〈부록-표-20〉 6년 이상~11년 미만 교사 AIㆍ디지털 역량 교육 요구 우선순위 선정 243
〈부록-표-21〉 11년 이상~21년 미만 교사 AIㆍ디지털 역량 교육 요구도 분석 244
〈부록-표-22〉 11년 이상~21년 미만 교사 AIㆍ디지털 역량 교육 요구 우선순위 선정 245
〈부록-표-23〉 21년 이상 교사 AIㆍ디지털 역량 교육 요구도 분석 246
〈부록-표-24〉 21년 이상 교사 AIㆍ디지털 역량 교육 요구 우선순위 선정 247
〈부록-표-25〉 연차별 교사 AIㆍ디지털 역량 교육 요구도 분석 결과 247
〈부록-표-26〉 연수 미참여 교사 AIㆍ디지털 역량 교육 요구도 분석 249
〈부록-표-27〉 연수 미참여 교사 AIㆍ디지털 역량 교육 요구 우선순위 선정 250
〈부록-표-28〉 일반교사 연수 참여 교사 AIㆍ디지털 역량 교육 요구도 분석 250
〈부록-표-29〉 일반교사 연수 참여 교사 AIㆍ디지털 역량 교육 요구 우선순위 선정 251
〈부록-표-30〉 리더/마스터 교사 연수 참여 교사 AIㆍ디지털 역량 교육 요구도 분석 252
〈부록-표-31〉 리더/마스터 교사 연수 참여 교사 AIㆍ디지털 역량 교육 요구 우선순위 선정 253
〈부록-표-32〉 참여 연수 유형별 교사 AIㆍ디지털 역량 교육 요구도 분석 결과 254
[부록-그림-1] 교사 AIㆍ디지털 역량 Locus for Focus 226
[부록-그림-2] 현직 교사 AIㆍ디지털 역량 행동지표 Locus for Focus 227
[부록-그림-3] 초등학교 교사 AIㆍ디지털 역량 The Locus for Focus 229
[부록-그림-4] 중학교 교사 AIㆍ디지털 역량 The Locus for Focus 230
[부록-그림-5] 고등학교 교사 AIㆍ디지털 역량 The Locus for Focus 232
[부록-그림-6] 정보 교과 교사 AIㆍ디지털 역량 The Locus for Focus 235
[부록-그림-7] 비정보 교과 교사 AIㆍ디지털 역량 The Locus for Focus 237
[부록-그림-8] 1년 미만 교사 AIㆍ디지털 역량 The Locus for Focus 239
[부록-그림-9] 1년차 이상~6년차 미만 교사 AIㆍ디지털 역량 The Locus for Focus 241
[부록-그림-10] 6년 이상~11년 미만 교사 AIㆍ디지털 역량 The Locus for Focus 243
[부록-그림-11] 11년 이상~21년 미만 교사 AIㆍ디지털 역량 The Locus for Focus 245
[부록-그림-12] 21년 이상 교사 AIㆍ디지털 역량 The Locus for Focus 246
[부록-그림-13] 연수 미참여 교사 AIㆍ디지털 역량 The Locus for Focus 249
[부록-그림-14] 일반교사 연수 참여 교사 AIㆍ디지털 역량 The Locus for Focus 251
[부록-그림-15] 리더/마스터 교사 연수 참여 교사 AIㆍ디지털 역량 The Locus for Focus 2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