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요약 4
제1장 연구 개요 16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7
가. 연구의 배경 17
나. 연구 목적 18
2. 연구의 범위 및 내용 18
가. 연구의 범위 18
나. 연구의 내용 19
3. 연구 방법 및 추진체계 21
가. 분석 방법 21
나. 추진 체계 22
제2장 생태축 보전ㆍ관리 정책동향 및 추진사례 23
1. 생태축의 개념과 역할 24
가. 생태축 개념과 위계 24
나. 생태축의 기능과 역할 27
2. 국내ㆍ외 생태축 보전ㆍ관리 정책추진 동향 29
가. 국외 생태축 구축 및 정책활용 사례 29
나. 국내 생태축 보전ㆍ관리 정책동향 44
3. 생태축 보전ㆍ관리 연구동향 89
가. 생태축의 구축목표 관련 연구 89
나. 생태축 분석 및 지도구축 관련 연구 109
4. 생태축 구축 사업 추진사례 134
가. 개요 134
나. 도시생태축 구축 사례 135
제3장 전라북도 광역생태축 보전ㆍ관리 여건 142
1. 생태적 중요지역 보전ㆍ관리 현황 143
가. 개요 143
나. 보호지역 144
다. 생물종 서식지 153
라. 거점 녹지 171
2. 광역생태축 보전ㆍ관리 기반 175
가. 법ㆍ제도 여건 175
나. 환경공간정보 구축 및 활용 실태 182
3. 생태축 단절지역 현황 및 관리실태 194
가. 산림축 단절지역 194
나. 하천축 단절지역 209
4. 전라북도 광역생태축 분석 214
가. 개요 214
나. 분석 결과 219
다. 고찰 및 시사점 227
5. 전라북도 광역생태축 구축을 위한 시사점 도출 229
제4장 전라북도 광역생태축 구축방향과 추진과제 233
1. 기본방향 및 추진전략 234
가. SWOT분석 및 기본방향 도출 234
나. 중장기 추진전략과 과제 도출 239
2. 중장기 광역생태축 구축ㆍ관리 추진과제 240
가. 전라북도 생태ㆍ환경자산 조사 및 생태계서비스 평가지도 구축 240
나. 전라북도 광역생태축 관리지역 도면화 및 자연환경 정보체계 구축 241
다. 산림-하천-도서연안-해양으로 연결되는 J-생태벨트 구축 242
라. 도시, 농산어촌 생태거점을 연결ㆍ복원하는 그린인프라스트럭처 구축 244
마. 시ㆍ군 광역생태축 구축사업 활성화를 위한 지원체계 확립 245
바. J-생태벨트를 활용한 생태관광과 생태계서비스 창출 246
사. 시민참여 기반의 생태계 조사 및 생태축 연결ㆍ복원사업 추진 247
아. 광역생태축 구축을 위한 재정 지원 및 제도 개선안 마련 248
3. 광역생태축 구축 추진체계 249
제5장 결론 및 정책제언 251
1. 결론 252
2. 정책제언 253
참고문헌 255
SUMMARY 261
판권기 265
[표 2-1] 생태축의 명칭과 개념 24
[표 2-2] 생태축의 위계별 명칭과 내용 26
[표 2-3] 자연성 회복을 위한 설정 목표 33
[표 2-4] 서식지 네트워크 시스템의 개념 설계 39
[표 2-5] 생태축 구성요소 40
[표 2-6] 한반도 생태네트워크 연결성 강화 과제 추진방안 44
[표 2-7] 국토환경 연결성 확보와 자연회복에 의한 국토 생태용량 증가 46
[표 2-8] 모두가 누리는 자연혜택으로 생태복지 실현 48
[표 2-9] 생태환경 증진 전략의 주요 과제 및 추진 방안 50
[표 2-10] 중점추진과제 1 : 한반도 생태네트워크 구축 주요 내용 51
[표 2-11] 중점추진과제 2 : 한반도 3대 핵심생태축 보전 51
[표 2-12] 중점추진과제 3 : 광역 생태네트워크 구축ㆍ관리 52
[표 2-13] 세부과제 1 : 국가핵심/광역/도시ㆍ생활공간 생태축 관리체계 정립 중점 추진계획 53
[표 2-14] 세부과제 2 : 국가핵심/광역/도시ㆍ생활공간 생태축별 보전ㆍ복원 추진 중점 추진계획 54
[표 2-15] 한반도 생태축 구축 방안의 주요 내용 55
[표 2-16] 세부과제 5 : 도시 생태공간 조성 등 생태축 보전ㆍ복원 확대 내용 58
[표 2-17] 흡수원 관리 세부과제 59
[표 2-18] 자연ㆍ생태기반 온실가스 감축ㆍ적응전략 항목구분 및 세부 내용(안) 59
[표 2-19] 주요 정책과제 1 : 깨끗하고 환경 친화적 국토 조성 세부 내용 61
[표 2-20] 국토-환경계획 5대 통합관리 추진 전략 62
[표 2-21] 국토계획과 환경계획의 통합관리 지침 중 계획지침 Ⅲ-4-1 63
[표 2-22] 산림생태계 복원과 생태ㆍ문화 공간화 내용 63
[표 2-23] 국토계획 및 환경보전계획의 통합관리에 관한 공동훈령 세부 내용 64
[표 2-24] 산림생물다양성의 지속적 관리기반 구축 분야 주요 추진 계획 67
[표 2-25] 백두대간 등 주요 보호지역의 공정한 관리 분야 주요 추진 계획 67
[표 2-26] 한반도 주요산림 훼손지 복원 분야 주요 추진 계획 68
[표 2-27] 보전산지를 한반도 산줄기연결망과 연계 관리 69
[표 2-28] 한반도 산줄기 연결망 체계 개요 71
[표 2-29] 전략 1 추진과제별 세부추진 계획 73
[표 2-30] 관리구역의 기준 및 범위 설정 76
[표 2-31] 2차 년도 관리구역의 기준 및 범위 설정 78
[표 2-32] 단절구역 평가 및 관리 방안 80
[표 2-33] 생태계 보전 관련 주요 추진과제 82
[표 2-34] 전라북도 정맥 훼손지역 84
[표 2-35] 전략 1 산줄기 연결망 중심의 산지보전축 관리 강화 추진과제 85
[표 2-36] 추진과제 1 : 산지보전축 중심의 보전산지 확대 86
[표 2-37] 추진과제 1 : 산줄기연결망의 보전 및 복원 86
[표 2-38] 추진과제 3 : 지역 맞춤형 산지구분체계 고도화 87
[표 2-39] 생태축의 구축목표별 주요 연구 내용 89
[표 2-40] EBSAs 식별을 위한 과학적 기준 92
[표 2-41] 도시생태현황지도 활용 분야 및 세부 활용자료 99
[표 2-42] 생태적 연결성 모델링 기법 예시 102
[표 2-43] 능선축 위계 구분 및 분류 기준 106
[표 2-44] 독일의 국가 생태 네트워크에 포함된 서식지 네트워크 및 중요 축과 코리더, 국제적 연결 지역 114
[표 2-45] 환경부 광역생태축 관리지역의 평가항목 및 평가기준(환경부, 2009) 120
[표 2-46] 산림축의 임상도 영급 평가 수정 123
[표 2-47] 국가생태축-광역생태축-지역생태축의 개념 정의 124
[표 2-48] 국가생태축 대안별 평가항목 및 국토면적 대비 비율 124
[표 2-49] 충남 광역생태네트워크 중 산림생태네트워크 관리구역 지정기준 127
[표 2-50] 충남 지역산림생태축 평가지표 및 점수부여 기준 129
[표 2-51] 국내외 생태축 구축 고려 요소 비교 133
[표 2-52] 도시생태축 복원사업 추진현황(2020~2022) 136
[표 3-1] 관할부처별 보호지역 유형, 개소 및 면적 144
[표 3-2] 전라북도 법정보호지역 현황(군단위) 151
[표 3-3] 전라북도 법정보호지역 현황(시단위 및 해역) 152
[표 3-4] 전라북도에서 보전가치가 높은 주요 산 목록 155
[표 3-5] 환경부의 조사자료 조사 결과 확인된 전라북도 내 우수습지 161
[표 3-6] 전라북도 도시공원 및 도시자연공원구역 현황 171
[표 3-7] 도시숲의 유형 및 정의 173
[표 3-8] 전라북도 도시숲 조성 현황 174
[표 3-9] 제2장 환경계획의 수립 등에 관한 사항 175
[표 3-10] 자연환경보전법의 자연경복원사업 관련 조항 177
[표 3-11] 자연환경보전법 시행령의 광역생태축 관련 조항 178
[표 3-12]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의 주요내용 179
[표 3-13] 개발ㆍ이용 측면의 지도구축 사업 현황 182
[표 3-14] 자연보전 측면의 지도구축 사업 현황 182
[표 3-15] 국토환경성평가지도, 생태자연도, 도시생태현황지도에서 활용 가능한 자료 목록 185
[표 3-16] 환경계획 수립 관련 공간정보(27개) 186
[표 3-17] 환경계획 수립 관련 공간화 가능 정보(28개) 187
[표 3-18] 유역경계선의 산림축 연계를 위한 분류기준 및 방법 197
[표 3-19] 단절지역 분석을 위한 개념설정 및 대상유형 197
[표 3-20] 행정구역별 산림축의 분포 199
[표 3-21] 행정구역별 도로의 분포 201
[표 3-22] 행정구역별 산림축 단절지점의 분포 203
[표 3-23] 단절지점 유형분류 기준표 204
[표 3-24] 유형에 따른 단절지점 개소수 204
[표 3-25] 만경강 하천별 보 현장조사 종합평가 결과 209
[표 3-26] 동진강 하천별 보 현장조사 종합평가 결과 210
[표 3-27] 섬진강 하천별 보 현장조사 종합평가 결과 211
[표 3-28] 전라북도 보 및 어도현황(2021년) 211
[표 3-29] 전라북도 광역생태축 평가항목 선정 216
[표 3-30] 국토환경성평가지도 및 연계성 평가항목의 등급에 따른 평가기준 217
[표 3-31] 광역생태축 평가방법 218
[표 3-32] 전라북도 광역생태축의 등급별ㆍ시군별 면적 220
[표 3-33] 단절지점 유형분류 기준표 225
[표 4-1] 전라북도 광역생태축 추진과제 로드맵 249
[그림 1-1] 연구의 공간적 범위 18
[그림 1-2] 연구 추진 체계 22
[그림 2-1] 생태축 구성요소 25
[그림 2-2] 제4차 충청남도 종합계획(2021~2040)의 공간환경계획 구상안 28
[그림 2-3] 범유럽생태네트워크의 자연 지역 및 주요종 지표지도(중부 및 동부 유럽) 30
[그림 2-4] EEA 회원국 및 협력국가 지도 31
[그림 2-5] 영국 서부의 자연성 회복 파트너십(WENP) 32
[그림 2-6] 영국 서부의 생태 네트워크(자연성 회복 네트워크) 34
[그림 2-7] 에코시스템 맵(산림, 초원, 습지, 복합 생태) 36
[그림 2-8] 에코시스템 맵(수질, 수량, 다중생태계 서비스) 37
[그림 2-9] 주연부 효과와 고립된 패치간의 잠재적인 교환 모식도 38
[그림 2-10] 국가 생태 네트워크 지도 41
[그림 2-11] 독일의 국가 수준 그린인프라스트럭쳐 43
[그림 2-12] 한반도 핵심 생태축 45
[그림 2-13] 국토생태축 기본구상 46
[그림 2-14] 영산강 호남권 목표 및 기본방향, 주요 과제 49
[그림 2-15] 한반도 생태축 구축 방안에서 제시된 5대 권역 광역생태축 56
[그림 2-16] 환경부 탄소중립 이행계획 체계도 58
[그림 2-17] 제5차 국토종합계획의 기조: 버전, 목표, 전략 60
[그림 2-18] 제6차 산림기본계획의 비전, 목표, 전략과제 66
[그림 2-19] 제2차 산지관리 기본계획의 비전, 목표, 전략 69
[그림 2-20] 제2차 백두대간보호 기본계획의 비전, 목표, 추진전략 72
[그림 2-21] 충청남도 통합생태네트워크 79
[그림 2-22] 전라북도 생태축 설정(안) 81
[그림 2-23] 전라북도 제2차 산지관리지역계획 비전 및 목표 85
[그림 2-24] 제4차 전라북도 종합계획의 비전 및 추진전략 88
[그림 2-25] Myers 등(2000)이 제시한 전 세계 생물다양성 핫스팟 분포 91
[그림 2-26] 해양생태계 보전을 위한 CBD의 EBSA 검색 포털 92
[그림 2-27] Maxent모형 기반의 포유류 멸종위기종의 종풍부도와 희귀도 분석 예시 93
[그림 2-28] 조류 종풍부도와 희귀도 분석 예시 94
[그림 2-29] 미국 EPA의 생태지역 96
[그림 2-30] 호주 정부의 생물지리지역(IBRA) 97
[그림 2-31] 시흥시 도시생태현황지도 중 식생도와 비오톱유형도 구축 예시 98
[그림 2-32] 베를린 환경정보지도 제공 정보 100
[그림 2-33] 캘리포니아에 서식하는 오소리(Badger)에 대한 연결성 분석 사례 103
[그림 2-34] 신산경표에 따른 산줄기와 유역 구분 105
[그림 2-35] 산줄기별 길이 분포 106
[그림 2-36] 생태계가 주는 다양한 생태계서비스 사례 107
[그림 2-37] 라트비아 LIFE Viva Grass의 생태계서비스 트레이드오프 평가 사례 108
[그림 2-38] 복합 생태 네트워크(산림, 초원, 습지네트워크)의 방법론 111
[그림 2-39] 산림, 초지, 습지 네트워크 모델링 및 핵심 연결성 격차 지도 112
[그림 2-40] 독일 보호구역과 국가 자연유산 지도 113
[그림 2-41] 독일의 국가 생태 네트워크, 서식지 네트워크, 축과 코리더 115
[그림 2-42] 서식지 네트워크 병목 현상 발생 지역 116
[그림 2-43] 교통량이 적은 지역(100㎢ 이상) 118
[그림 2-44] 하천 범람원과 이탄지 분포 119
[그림 2-45] 환경부 광역생태축 관리지역의 구축 방법론(환경부, 2009) 122
[그림 2-46] 국가생태축 대안별 도면 비교 125
[그림 2-47] 지역생태축의 기능적 연결 모식도 126
[그림 2-48] 서산시의 지역생태축 구축 결과 126
[그림 2-49] 충남 산림-하천-해안-내륙습지-연안의 통합생태네트워크 구축 결과 128
[그림 2-50] 충남 지역산림생태축(위) 및 국가-광역-지역산림생태축 중첩 결과(아래) 130
[그림 2-51] 정원만들기 및 유지관리 사업 139
[그림 2-52] 초록정원사(시민 대상) 교육 139
[그림 2-53] 정원특강 및 정원공모전 139
[그림 2-54] 도시생활권 수준 그린인프라 계획 개념도 140
[그림 2-55] 독일 에센시(Essen) 녹지-수계 그린인프라 계획 141
[그림 3-1] 전라북도 보호지역의 시군별, 유형별 면적 비율 146
[그림 3-2] 전라북도 법정보호지역 분포 146
[그림 3-3] 보호지역(수원함양보호구역)의 파편화 사례 148
[그림 3-4] 고창군 동림저수지 야생생물보호구역 경계부 특성 149
[그림 3-5] 운장산 전경 157
[그림 3-6] 신천습지 현황사진 163
[그림 3-7] 섬진강 천담교습지와 우평습지의 현존식생도 164
[그림 3-8] 전라북도 도시공원 분포 현황 172
[그림 3-9] 우리나라 보호지역 지정 현황 184
[그림 3-10] 군산시 도시생태현황지도의 비오톱 유형 분류도 193
[그림 3-11] 산림축의 분포현황 199
[그림 3-12] 도로의 분포현황 200
[그림 3-13] 도로에 의한 산림축 단절지점 202
[그림 3-14] 산림축 위계에 따른 단절지점 유형별 분포현황 205
[그림 3-15] 신광재 경관 현황 207
[그림 3-16] 옥정호-호남정맥 블루-그린 네트워크 복원사업 개념도 208
[그림 3-17] 탄천 미금보 철거 및 자연형 여울 212
[그림 3-18] 경천보(여울) 설치계획 213
[그림 3-19] 전라북도 광역생태축 분석 결과 221
[그림 3-20] 평가지표별 주제도 구축 결과 224
[그림 3-21] 생태축1~2등급에 해당하는 2급 산림축 단절지점 분포현황 226
[그림 4-1] 전라북도 광역생태축 구축 기본방향 도출 237
[그림 4-2] 전라북도 광역생태축 구축 비전-목표-추진전략-추진과제 239
[그림 4-3] 전북의 광역생태축과 연계할 수 있는 충남 및 전남지역 광역생태축 2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