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요약 8
제1장 서론 / 김대용;김상기;정한나 12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2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구성, 기대효과 14
제2장 지속가능개발목표(SDGs)와 ESG 간의 연계성 분석 / 김상기 15
제1절 ESG의 개괄 및 정의, 최근 변화 15
제2절 ESG와 SDGs의 연계가능성 분석 20
참고문헌 51
제3장 무역을 위한 원조(AfT)와 ESG의 연계성 분석 / 정한나 53
제1절 AfT와 ESG 간의 상호연계성 검토 53
제2절 AfT와 ESG 간의 상호연계성(인과성) 분석 59
제3절 AfT와 글로벌 기업의 대(對)개도국 ESG 사례 발굴 74
참고문헌 82
[부록] 84
제4장 무역을 위한 원조(AfT)와 ESG가 성장에 미치는 영향 / 김대용;이충원 86
제1절 분석개요 및 선행연구 검토 87
제2절 분석 자료 및 방법론 90
1. 모형 및 방법론 91
2. 분석자료 및 기초통계량 94
제3절 분석 결과: ESG를 고려한 AfT의 경제성장 효과 97
1. AfT가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 97
2. ESG를 고려한 AfT가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 99
제4절 소결 및 시사점 101
참고문헌 103
[부록] 106
제5장 SDGs-AfT-ESG 연계성을 고려한 정책제언 / 김대용;김상기;정한나 116
제1절 SDGs-AfT-ESG 경로 및 연계성 측면에서의 함의 117
제2절 SDGs-AfT 연계 측면에서의 정책제언 119
제3절 SDGs-ESG 연계 측면에서의 정책제언 121
제4절 AfT-ESG 연계 측면에서의 정책제언 122
제6장 결론 및 시사점 / 김대용;김상기;정한나 125
ABSTRACT 127
판권기 130
〈표 2-1〉 K-ESG의 P(정보공시) 항목 21
〈표 2-2〉 K-ESG의 E(환경) 항목 22
〈표 2-3〉 E(환경) 항목과 지속가능개발목표(SDGs)의 매칭 27
〈표 2-4〉 K-ESG의 S(사회) 항목 32
〈표 2-5〉 S(사회) 항목과 지속가능개발목표(SDGs)의 매칭 40
〈표 2-6〉 K-ESG의 G(지배구조) 항목 47
〈표 2-7〉 G(지배구조) 항목과 지속가능개발목표(SDGs) 간 매칭 48
〈표 3-1〉 무역을 위한 원조(AfT)와 매칭되는 E(환경) 변수들 54
〈표 3-2〉 무역을 위한 원조(AfT)와 매칭되는 S(사회) 변수들 56
〈표 3-3〉 무역을 위한 원조(AfT)와 매칭되는 G(지배구조) 변수들 58
〈표 3-4〉 분석 대상 국가의 변수별 기초 통계량 61
〈표 3-5〉 ODA (광의의 AfT)와 E 변수 간의 관계 64
〈표 3-6〉 ODA (광의의 AfT)와 S의 일자리와 산업 변수 간 관계 65
〈표 3-7〉 ODA (광의의 AfT)와 S의 양성평등 관련 변수 간 관계 67
〈표 3-8〉 ODA (광의의 AfT)와 S의 교육과학기술 관련 변수 간 관계 68
〈표 3-9〉 ODA (광의의 AfT)와 S의 가치사슬 관련 변수 간의 관계 70
〈표 3-10〉 ODA (광의의 AfT)와 G 변수 간 관계 73
〈표 4-1〉 무디스 국가별 ESG 평가 결과(2021년 ESG 신용영향점수 기준) 95
〈표 4-2〉 주요 변수의 기초통계량(2000~2019년, 133개국) 96
〈표 4-3〉 패널 성장회귀모형 추정 결과: 전체 표본, FE 추정 98
〈표 4-4〉 패널 성장회귀모형 추정 결과: 전체 표본, GMM 추정 98
〈표 4-5〉 패널 성장회귀모형 추정 결과: ESG 고평가 표본(ESG-High) 100
〈표 4-6〉 패널 성장회귀모형 추정 결과: ESG 저평가 표본(ESG-Low) 100
[그림 3-1] AfT의 개념화: 협의 vs. 광의의 AfT 60
[그림 5-1] SDGs-AfT-ESG 경로 및 연계성 117
[그림 5-2] PRI-ESG-SDGs 연계 및 흐름 118
〈부표 3-1〉 실증분석 시 사용된 변수명 및 목록 84
〈부표 4-1〉 OECD의 AfT 관련 CRS 코드 분류표 106
〈부표 4-2〉 2021년 국가별 Moody's ESG 신용영향점수 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