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지] 1
제출문 2
목차 3
제1장 계획의 개요 18
01. 수립배경 및 경과 20
가. 수립 배경 20
나. 수립 경과 20
02. 부산광역시 환경보건계획의 법적 근거 22
03. 부산광역시 환경보건계획의 성격과 역할 24
가. 계획의 성격 24
나. 계획의 역할 25
04. 계획의 범위 및 수립체계 26
가. 계획 범위 26
나. 계획 수립 체계 27
제2장 환경보건 관련 국내·외 여건 28
01. 국내·외 동향 30
가. 국내 동향 30
나. 국외 동향 32
02. 관련계획 34
가. 국가환경종합계획 34
나. 환경보건종합계획 39
다. 충청남도 환경보건계획 54
라. 공공보건의료 기본계획 63
마. 어린이 환경보건정책 66
바. 타지역 환경보건 관련 연구 69
사. 요약 및 시사점 75
03. 부산지역 환경보건 이슈 및 의견수렴 76
가. 환경보건 관련 키워드 분석 76
나. 부산광역시 주요 환경보건 이슈 77
다. 부산시민 환경보건에 관한 인식도 설문조사 79
라. 전문가 자문회의 126
마. 구·군 담당자 간담회 131
바. 전문가 및 구·군 담당자 의견 요약정리 133
제3장 부산광역시 환경보건 현황 및 여건분석 136
01. 일반현황 138
가. 인문환경 138
나. 기상 및 기후 145
다. 시사점 146
02. 환경유해인자 현황 147
가. 기후변화 147
나. 대기 148
다. 수질 161
라. 소음·진동 166
마. 토양오염 171
바. 생활 속 유해인자 173
사. 빛공해 178
아. 악취 179
03. 취약·민감계층 현황 181
가. 취약계층 181
나. 민감계층 185
다. 취약지역 지역 대비 VOCs 189
04. 환경유해인자 노출 건강영향 현황 190
가. 지역별 사망자 현황 190
나. 환경성질환별 발생 현황 208
05. 환경보건 현황 요약 및 시사점 221
가. 환경유해인자 221
나. 환경유해인자 건강 노출 영향 222
06. 환경유해인자 노출 건강영향 취약지역 선정 223
가. 통계자료 223
나. 환경부 기준 224
다. 취약지역 선정 225
제4장 환경오염 우려지역 환경노출 조사 및 건강영향 조사 226
01. 환경오염도 조사 228
가. 조사개요 228
나. 조사결과 237
다. 시사점 255
02. 주민 건강영향 조사 256
가. 조사개요 256
나. 조사결과 263
03. 환경노출 및 건강영향 분석 269
가. 설문조사 269
나. 건강검진 277
다. 생체시료 분석 방법 283
라. 생체시료 분석 결과 291
04. 요약 및 시사점 306
가. 환경오염도 조사 306
나. 환경노출 및 건강영향 분석 306
제5장 환경유해인자와 건강영향 분석 308
01. 부산광역시 환경성질환 현황 310
가. 자료 수집 310
나. 표본 코호트 DB 311
02. 건강영향 분석 315
가. 환경유해인자 315
나. 환경유해인자 노출 건강영향 평가 321
제6장 환경보건계획 기본방향 및 추진 목표 설정 338
01. SWOT 분석 340
가. 강점(Strength) 340
나. 약점(Weakness) 341
다. 기회(Opportunity) 342
라. 위협(Threat) 342
02. 환경보건계획 수립 설정 근거 344
가. 설정 근거 344
나. 수행방법 344
03. 비전 및 목표, 핵심전략 346
가. 비전 및 목표 설정 346
나. 핵심전략 346
04. 추진 전략별 핵심과제 348
가. 핵심과제 348
나. 연차별 로드맵 350
다. 소요재원 352
05. 전략별 사업 우선순위 354
가. 전략별 사업 우선순위 선정 354
나. 전략별 사업 우선순위 355
06. 전략 사업 도출 및 계획 359
가. 전략1 : 환경유해인자 사전 감시 체계 구축 359
나. 전략2 : 환경유해인자 노출 저감 및 관리 강화 379
다. 전략3 : 환경유해인자 피해대응 및 복구 401
라. 전략4 : 환경보건 기반 시스템 강화 412
참고문헌 428
부록 432
01. 환경보건 관련 의견조사 설문지 434
02. 중금속 및 PAHs 분석 과정 442
03. 부산광역시 환경보건계획 관련 건강검진 대상자 설문지 456
판권기 474
[표 I-1] 환경보건법 주요 개정 사항 23
[표 II-1] 설문 응답자 특성 80
[표 II-2] 설문 응답자 성별 80
[표 II-3] 설문 응답자 연령대 81
[표 II-4] 설문 응답자 직업 81
[표 II-5] 설문 응답자 월평균 가구소득 81
[표 II-6] 설문 응답자 최종학력 82
[표 II-7] 설문 응답자 가구 구성원 수 82
[표 II-8] 환경보건 영향 평가 항목별 부산지역과 거주 지역 5점 평균 비교 84
[표 II-9] 환경보건 영향 평가(부산지역 전체) 86
[표 II-10] 환경보건 영향 평가(거주 지역) 88
[표 II-11] 부산의 다양한 정책분야 대비 환경보건 관련 정책 분야의 중요성 90
[표 II-12] 지역 간 격차에 따른 환경보건 문제에 대한 인식 영향 90
[표 II-13] 환경보건 문제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 91
[표 II-14] 환경보건 문제로 인해 본인 또는 가족(동거인)이 병원을 방문한 경험 92
[표 II-15] (환경보건 문제로 인한 병원 방문 경험자) 진단받은 질환(중복응답) 93
[표 II-16] (환경보건 문제로 인한 병원 방문 경험자) 현재 건강상태 95
[표 II-17] 부산시의 환경보건정책 수행 평가 95
[표 II-18] 환경보건문제 대응 정책별 시급성 및 중요성 5점 평균 비교 97
[표 II-19] 환경보건문제 대응 정책 시급성과 중요성 IPA 분석 결과 98
[표 II-20] 환경보건문제 대응 정책 시급성 100
[표 II-21] 환경보건문제 대응 정책 중요성 103
[표 II-22] 부산시에서 가장 우선적으로 추진해야할 환경보건정책 분야 105
[표 II-23] 부산시의 환경보건정책 비전으로 적절한 표현 106
[표 II-24] 부산시의 환경보건정책에 필요한 재원 조달 방안 107
[표 II-25] 환경보건 문제 관련 정보를 알기 위해 검색, 검토, 문의 등을 한 경험 108
[표 II-26] 환경보건 문제의 정보를 확인한 이유 108
[표 II-27] 환경보건 정보를 알게 된 후 환경보건 문제에 대한 걱정과 두려움의 변화 109
[표 II-28] 관심 있는 환경보건 문제 관련 정보 110
[표 II-29] 알고 싶은 환경보건 정보(중복응답) 111
[표 II-30] 거주/생활지역에서 발생하는 부정적인 환경보건 문제가 공개되는 것에 대한 동의 정도 112
[표 II-31] 거주/생활지역과 관련한 부정적 환경보건 문제 공개에 대한 입장 113
[표 II-32] 환경보건 문제해결에 도움이 되는 일상적인 행동을 실천할 의향 114
[표 II-33] 신뢰도 높은 환경보건 정보가 부산시민에게 적절하게 제공되고 있는 지 여부 115
[표 II-34] 환경보건 정보 취득 경로(중복응답) 116
[표 II-35] 환경보건 정보 취득 경로별 신뢰도 117
[표 II-36] 선호하는 환경보건 정보 형태 119
[표 II-37] 정책 참여 의사 120
[표 II-38] 부산광역시 환경보건정책 관련 기타의견 123
[표 II-39] 환경 분야 전문가 자문회의 주요내용 126
[표 II-40] 의료보건 분야 전문가 자문회의 주요내용 127
[표 II-41] 핵심과제 도출 전문가(공공보건의료지원단) 자문회의 주요내용 129
[표 II-42] 구·군 담당자 간담회 주요내용 131
[표 III-1] 부산광역시 행정구역 138
[표 III-2] 부산광역시 주택현황 141
[표 III-3] 부산광역시 노후주택 수 및 비율 142
[표 III-4] 전국 지역별 요양기관 수 현황 143
[표 III-5] 부산 구·군별 요양기관 수 현황 144
[표 III-6] 부산시 기상기후 자료 145
[표 III-7] 기후변화에 따른 폭염, 열대야, 한파 발생일 수 147
[표 III-8] 부산광역시 구·군별 SO₂ 농도 149
[표 III-9] 부산광역시 구·군별 NO₂ 농도 150
[표 III-10] 부산광역시 구·군별 O₃ 농도 151
[표 III-11] 부산광역시 구·군별 CO 농도 152
[표 III-12] 부산광역시 구·군별 PM₁₀ 농도 153
[표 III-13] 부산광역시 구·군별 PM₂.₅ 농도 154
[표 III-14] 대기중금속 연평균 농도 155
[표 III-15] 부산광역시 구·군별 대기 중 중금속 농도 155
[표 III-16] 수도꼭지 검사 결과 162
[표 III-17] 연도별 평균 소음도 167
[표 III-18] 교통소음 관리기준 168
[표 III-19] 도로교통 소음도 168
[표 III-20] 연도별 토양오염 실태 조사결과 171
[표 III-21] 항목별 토양오염 실태조사 기준초과 내역 172
[표 III-22] 연도별 환경 중 석면 174
[표 III-23] 부산시 지하역사 호선별 평균 라돈 농도 176
[표 III-24] 역사별 평균 라돈 농도 177
[표 III-25] 2019~2021년 부산시 빛공해 관련 유형별 민원 수 178
[표 III-26] 부산광역시 구·군별 요보호 아동 181
[표 III-27] 우리나라 독거노인 현황 182
[표 III-28] 부산광역시 구·군별 독거노인 183
[표 III-29] 부산광역시 구·군별 기초수급자 수 184
[표 III-30] 부산광역시 구·군별 기초수급자 비 184
[표 III-31] 부산광역시 구·군별 유아인구 수 186
[표 III-32] 부산광역시 구·군별 유아인구 비 186
[표 III-33] 부산광역시 구·군별 노인인구 수 187
[표 III-34] 부산광역시 구·군별 노인인구 비 188
[표 III-35] 7대 특·광역시 사망자 수 및 사망률 190
[표 III-36] 부산광역시 구·군별 사망자 수 및 사망률 191
[표 III-37] 7대 특·광역시 고혈압성 질환 사망자 수 및 사망률 193
[표 III-38] 부산광역시 구·군별 고혈압성 질환 사망자 수 및 사망률 194
[표 III-39] 7대 특·광역시 뇌혈관 질환 사망자 수 및 사망률 196
[표 III-40] 부산광역시 구·군별 뇌혈관 질환 사망자 수 및 사망률 197
[표 III-41] 7대 특·광역시 심장 질환 사망자 수 및 사망률 199
[표 III-42] 부산광역시 구·군별 심장 질환 사망자 수 및 사망률 200
[표 III-43] 7대 특·광역시 폐렴 질환 사망자 수 및 사망률 202
[표 III-44] 부산광역시 구·군별 폐렴 질환 사망자 수 및 사망률 203
[표 III-45] 7대 특·광역시 만성하기도 질환 사망자 수 및 사망률 205
[표 III-46] 부산광역시 구·군별 만성하기도 질환 사망자 수 및 사망률 206
[표 III-47] 7대 특·광역시 천식 환자 수 208
[표 III-48] 7대 특·광역시 피부염 환자 수 210
[표 III-49] 7대 특·광역시 비염 환자 수 212
[표 III-50] 7대 특·광역시 만성폐쇄성 폐질환 환자 수 214
[표 III-51] 7대 특·광역시 뇌경색 환자 수 216
[표 III-52] 7대 특·광역시 온열질환 환자 수 218
[표 III-53] 7대 특·광역시 석면질환 환자 수 219
[표 IV-1] 환경오염도 조사 일자 228
[표 IV-2] 폭염취약성평가를 바탕으로 선정된 환경오염 노출조사지점 현황 229
[표 IV-3] ICP-MS 분석조건 232
[표 IV-4] 각 성분별 방법검출한계 233
[표 IV-5] PAHs 분석을 위해 사용된 시약의 종류와 사용량 234
[표 IV-6] GC 분석조건 236
[표 IV-7] PAHs의 성분별 검출한계 및 정밀도 236
[표 IV-8] 시료채취기간 중의 부산시 기상현황 237
[표 IV-9] 녹음광장 측정결과와 연산동 대기자동측정망 분산분석 결과 241
[표 IV-10] 측정 대상지점과 부산시 전체의 PM₂.₅ 농도 비교 241
[표 IV-11] 측정 대상지점에서의 월별 PM₂.₅ 중금속 성분 농도 245
[표 IV-12] 측정 대상지점에서의 평균 PM₂.₅ 중금속 성분 농도 246
[표 IV-13] 측정 대상지점에서의 PM₂.₅ 입자상 PAHs 농도분석 결과 249
[표 IV-14] 주민 건강영향 조사 추진 일정 256
[표 IV-15] 환경오염 노출조사지점을 바탕으로 선정된 주민 건강영향 조사 지역 현황 257
[표 IV-16] 주민 건강영향 조사 항목 258
[표 IV-17] 주민 건강영향 조사 홍보를 위한 현수막 설치 정보 259
[표 IV-18] 주민 건강영향 조사 홍보를 위한 해당 지역별 통장 회의 참여 여부 260
[표 IV-19] 성인 설문조사 269
[표 IV-20] 설문조사에 참여한 성인의 성별 및 연령별 분포 270
[표 IV-21] 남·여 연령별 직/간접흡연 여부 271
[표 IV-22] 남·여 연령별 음주자 여부 272
[표 IV-23] 남·여 연령별 신체활동 여부 272
[표 IV-24] 직업 분포 273
[표 IV-25] 최종학력 274
[표 IV-26] 월평균 가구소득 274
[표 IV-27] 가족 구성원 수 275
[표 IV-28] 주거 건물형태 275
[표 IV-29] 주거지와 도로와의 거리 276
[표 IV-30] 주변의 대기오염 276
[표 IV-31] 폐기능 정상 예측식 278
[표 IV-32] 폐기능 검사 판정 결과 279
[표 IV-33] 성별 FVC와 FEV₁ 279
[표 IV-34] 구별 FVC와 FEV1 280
[표 IV-35] 환경요인에 따른 폐기능 282
[표 IV-36] 생체시료 분석항목 및 분석방법 283
[표 IV-37] 요 중 mHA, PGA, MA 표준물질 제조 284
[표 IV-38] 요 중 mHA, PGA, MA 시료 전처리 및 분석장비 284
[표 IV-39] 요 중 mHA, PGA, MA 검출한계와 정량한계 285
[표 IV-40] 요 중 mHA, PGA, MA 정확도 적합여부 285
[표 IV-41] 요 중 o-Cresol 표준물질 제조 285
[표 IV-42] 요 중 o-Cresol 시료 전처리 및 분석장비 286
[표 IV-43] 요 중 o-Cresol 검출한계와 정량한계 286
[표 IV-44] 요 중 o-Cresol 정확도 적합여부 286
[표 IV-45] 혈 중 Pb, Cd 표준물질 제조 287
[표 IV-46] 혈 중 Pb, Cd 시료 전처리 및 분석장비 288
[표 IV-47] 혈 중 Pb, Cd 검출한계와 정량한계 288
[표 IV-48] 혈 중 Pb, Cd 정확도 적합여부 289
[표 IV-49] 요 중 Pb, Cd, Cr 표준물질 제조 289
[표 IV-50] 요 중 Pb, Cd, Cr 시료 전처리 및 분석장비 290
[표 IV-51] 요 중 Pb, Cd, Cr 검출한계와 정량한계 290
[표 IV-52] 성별에 따른 혈·요 중 납 농도 291
[표 IV-53]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인체 내 납 농도 294
[표 IV-54] 성별에 따른 혈·요 중 카드뮴 농도 295
[표 IV-55]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인체 내 카드뮴 농도 297
[표 IV-56] 성별에 따른 요 중 크롬 농도 298
[표 IV-57]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인체 내 크롬 농도 299
[표 IV-58] 성별에 따른 요 크레졸 농도 301
[표 IV-59]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인체 내 크레졸 농도 302
[표 IV-60] 성별에 따른 요 중 나프톨 농도 303
[표 IV-61]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인체 내 나프톨 농도 304
[표 V-1] 부산광역시 환경성질환 진료 현황 312
[표 V-2] 연령별 환경성질환 진료 인원 313
[표 V-3] 연령군별 인구 1만명당 환경성질환 진료 인원 314
[표 V-4] 권역별 대기오염물질 평균 농도 현황 316
[표 V-5] 연도별 수돗물 평균 농도 현황 319
[표 V-6] 권역별 평균 소음 크기 320
[표 V-7] GAM 모형 주요 연구 방법 323
[표 V-8] 질환별 GAM 모형 분석결과 325
[표 V-9] 권역별 GAM 모형 분석결과 327
[표 V-10] 환경성질환 변수중요도 332
[표 V-11] 심혈관질환 변수중요도 333
[표 V-12] 호흡기질환 변수중요도 333
[표 V-13] 암 변수중요도 334
[표 V-14] Cox 비례위험모형 주요 연구 방법 335
[표 V-15] Cox 비례위험모형 분석결과 336
[표 VI-1] 추진 전략별 핵심과제 349
[표 VI-2] 전략사업 연차별 로드맵 350
[표 VI-3] 전략사업 연차별 소요재원 352
[표 VI-4] 전략 1 사업 우선순위 355
[표 VI-5] 전략 2 사업 우선순위 355
[표 VI-6] 전략 3 사업 우선순위 356
[표 VI-7] 전략 4 사업 우선순위 356
[그림 I-1] 부산광역시 환경보건계획의 성격 24
[그림 I-2] 부산광역시 환경보건계획 수립 추진체계 27
[그림 II-1] 환경보건 정책의 법적 기반 마련(2006년 이후) 31
[그림 II-2] 환경보건 관련 국내정책(2006년 이후) 31
[그림 II-3] 2022~2026 EPA Strategic Plan 33
[그림 II-4] 국가환경종합계획과 타 계획 간 관계 34
[그림 II-5] 제5차 국가 환경종합계획의 비전, 목표 및 추진전략 36
[그림 II-6] 환경보건 10개년 종합계획의 비전, 전략 및 원칙 41
[그림 II-7] 환경보건 10개년 종합계획의 추진전략 42
[그림 II-8] 제1차 환경보건종합계획의 비전, 목표 및 추진전략 45
[그림 II-9] 제1차 환경보건종합계획(수정)의 비전, 목표 및 추진전략 48
[그림 II-10] 제2차 환경보건종합계획의 비전, 목표 및 추진전략 51
[그림 II-11] 제1차 충청남도 환경보건종합계획의 비전, 목표 및 추진전략 54
[그림 II-12] 제2차 충청남도 환경보건종합계획의 비전, 목표 및 추진전략 58
[그림 II-13] 제3차 충청남도 환경보건종합계획의 비전, 목표 및 추진전략 61
[그림 II-14] 제2차 공공보건의료 기본계획의 비전, 목표 및 추진전략 65
[그림 II-15] 어린이 환경보건정책 세부 시행계획과 관련 계획 간 관계 66
[그림 II-16] 어린이 환경보건정책 전략 및 세부 시행계획의 비전, 목표 및 추진전략 67
[그림 II-17] 서울시 환경보건정책 추진체계 70
[그림 II-18] 「아토피 없는 경기도 종합계획」 전략 및 사업 73
[그림 II-19] 제2기 아토피 종합계획 비전 및 목표 75
[그림 II-20] 환경토픽동향 및 워드 클라우드 76
[그림 II-21] 부산의 환경보건 관련 연관검색어 및 워드 클라우드 78
[그림 II-22] 환경보건에 대한 인지도 82
[그림 II-23] 환경보건 문제의 심각성 83
[그림 II-24] 환경보건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유해인자(부산지역 전체) 87
[그림 II-25] 환경보건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유해인자(거주지역) 89
[그림 II-26] 부산의 다양한 정책분야 대비 환경보건 관련 정책성의 중요성 89
[그림 II-27] 지역 간 격차에 따른 환경보건 문제에 대한 인식 영향 91
[그림 II-28] 환경보건 문제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 92
[그림 II-29] 환경보건 문제로 병원에서 진단받은 질환(본인) 94
[그림 II-30] 환경보건 문제로 병원에서 진단받은 질환(가족) 94
[그림 II-31] 부산시 환경보건 관련 정책 수행 여부 96
[그림 II-32] 환경보건문제 대응 정책별 시급성 및 중요성 5점 평균 비교 97
[그림 II-33] 환경보건문제 대응 정책의 시급성과 중요성 IPA 분석 결과 98
[그림 II-34] 환경보건문제 대응 정책 시급성 101
[그림 II-35] 환경보건문제 대응 정책 시급성(3분류) 101
[그림 II-36] 환경보건문제 대응 정책 중요성 104
[그림 II-37] 환경보건문제 대응 정책 중요성(3분류) 104
[그림 II-38] 부산시 환경보건 관련 정책 수행 여부 105
[그림 II-39] 부산시 환경보건정책 비전 106
[그림 II-40] 환경보건정책에 필요한 재원 조달 방안 107
[그림 II-41] 환경보건 정보를 알게 된 후 환경보건 문제에 대한 걱정과 두려움의 변화 109
[그림 II-42] 관심 있는 환경보건 문제 관련 정보(중복응답) 111
[그림 II-43] 알고 싶은 환경보건 문제 112
[그림 II-44] 거주/생활지역에서 발생하는 부정적인 환경보건 문제가 공개되는 것에 대한 동의 정도 113
[그림 II-45] 환경보건 문제 관련 실천 의향 114
[그림 II-46] 신뢰도 높은 환경보건 정보가 부산시민에게 적절하게 제공되고 있는 지 여부 115
[그림 II-47] 정보 취득 경로별 신뢰도 118
[그림 II-48] 정책 참여 의사(5점 평균) 121
[그림 II-49] 정책 참여 의사(5분류) 122
[그림 II-50] 정책 참여 의사(3분류) 122
[그림 II-51] 환경 분야 전문가 자문회의 127
[그림 II-52] 의료보건 분야 전문가 자문회의 129
[그림 II-53] 핵심과제 도출 관련 전문가(공공보건의료지원단) 자문회의 130
[그림 II-54] 구·군 담당자 간담회 133
[그림 III-1] 부산광역시 인구 변화 139
[그림 III-2] 전국 1인당 도시공원 면적 변화 140
[그림 III-3] 부산시 구·군별 1인당 도시 공원 면적 140
[그림 III-4] 부산광역시 연도별 주택현황 141
[그림 III-5] 부산광역시 연도별 노후주택 비율 142
[그림 III-6] 전국 7대 특·광역시 의료기관수 143
[그림 III-7] 부산시 구·군별 의료기관 현황 144
[그림 III-8] 부산광역시 연도별·월별 기온 및 강수량 변화 145
[그림 III-9] 7대 특·광역시 폭염, 열대야, 한파 발생일 수 148
[그림 III-10] 부산시 대기오염물질 관측소 현황 148
[그림 III-11] 부산광역시 구·군별 SO₂ 농도 149
[그림 III-12] 부산광역시 구·군별 NO₂ 농도 150
[그림 III-13] 부산광역시 구·군별 O₃ 농도 151
[그림 III-14] 부산광역시 구·군별 CO 농도 152
[그림 III-15] 부산광역시 구·군별 PM₁₀ 농도 153
[그림 III-16] 부산광역시 구·군별 PM₂.₅ 농도 154
[그림 III-17] 부산광역시 구·군별 Pb 농도 157
[그림 III-18] 부산광역시 구·군별 Cd 농도 157
[그림 III-19] 부산광역시 구·군별 Cr 농도 158
[그림 III-20] 부산광역시 구·군별 Cu 농도 158
[그림 III-21] 부산광역시 구·군별 Mn 농도 158
[그림 III-22] 부산광역시 구·군별 Ni 농도 158
[그림 III-23] 부산광역시 구·군별 As 농도 159
[그림 III-24] 부산광역시 구·군별 Al 농도 159
[그림 III-25] 부산광역시 구·군별 Ca 농도 159
[그림 III-26] 부산광역시 구·군별 Mg 농도 159
[그림 III-27] 초미세먼지 오염원별 기여도 160
[그림 III-28] PM₂.₅ 화학성분 노출로 인한 사망자 지역별 발생 비교 161
[그림 III-29] 4대강 주요지점 연도별 수질 현황 163
[그림 III-30] 부산시 하천 수질 현황 164
[그림 III-31] 7대 특·광역시 폐수배출시설 및 폐수방류량 연도별 변화 165
[그림 III-32] 7대 특·광역시 소음도 연도별 변화 166
[그림 III-33] 연도별 도로교통소음 170
[그림 III-34] 토양오염도 현황 172
[그림 III-35] 2021년 7대 특·광역시 슬레이트 현황 175
[그림 III-36] 부산시 용도별 슬레이트 비율 175
[그림 III-37] 부산시 슬레이트 현황 175
[그림 III-38] 역사별(대합실, 승강장) 라돈농도 분포 176
[그림 III-39] 계절별(대합실, 승강장) 라돈농도 분포 177
[그림 III-40] 2019~2021년 부산시 구·군별 빛공해 관련 민원 수 179
[그림 III-41] 최근 10년간 공단 공업지역 복합악취 180
[그림 III-42] 최근 10년간 기타지역 복합악취 180
[그림 III-43] 부산광역시 연도별 독거노인 변화 182
[그림 III-44] 부산광역시 기초수급자 및 독거노인 비 185
[그림 III-45] 부산광역시 유아인구 및 노인인구 비 189
[그림 III-46] 부산광역시 구·군별 및 행정구역 대비 VOCs 배출량 189
[그림 III-47] 7대 특·광역시 10년 평균 사망자 수 및 사망률 190
[그림 III-48] 부산광역시 사망자 수 및 사망률 191
[그림 III-49] 7대 특·광역시 10년 평균 고혈압성 질환 사망자 수 및 사망률 193
[그림 III-50] 부산광역시 연도별 고혈압성 질환 사망자 수 및 사망률 194
[그림 III-51] 부산광역시 고혈압성 질환 사망자 수 및 사망률 195
[그림 III-52] 7대 특·광역시 10년 평균 뇌혈관 질환 사망자 수 및 사망률 196
[그림 III-53] 부산광역시 연도별 뇌혈관 질환 사망자 수 및 사망률 197
[그림 III-54] 부산광역시 뇌혈관 질환 사망자 수 및 사망률 198
[그림 III-55] 7대 특·광역시 10년 평균 심장 질환 사망자 수 및 사망률 199
[그림 III-56] 부산광역시 연도별 심장 질환 사망자 수 및 사망률 200
[그림 III-57] 부산광역시 심장 질환 사망자 수 및 사망률 201
[그림 III-58] 7대 특·광역시 10년 평균 폐렴 질환 사망자 수 및 사망률 202
[그림 III-59] 부산광역시 연도별 폐렴 질환 사망자 수 및 사망률 203
[그림 III-60] 부산광역시 폐렴 질환 사망자 수 및 사망률 204
[그림 III-61] 7대 특·광역시 10년 평균 만성하기도 질환 사망자 수 및 사망률 205
[그림 III-62] 부산광역시 연도별 만성하기도 질환 사망자 수 및 사망률 206
[그림 III-63] 부산광역시 만성하기도 질환 사망자 수 및 사망률 207
[그림 III-64] 부산광역시 천식 환자 수 및 발생률 209
[그림 III-65] 부산광역시 피부염 환자 수 및 발생률 211
[그림 III-66] 부산광역시 비염 환자 수 및 발생률 213
[그림 III-67] 부산광역시 만성폐질환 환자 수 및 발생률 215
[그림 III-68] 부산광역시 뇌경색 환자 수 및 발생률 217
[그림 III-69] 부산광역시 온열질환 환자 수 및 발생률 219
[그림 III-70] 부산광역시 석면질환 환자 수 및 발생률 220
[그림 III-71] 통계기반 취약지역 선정 223
[그림 III-72] 읍면동 단위의 3~4등급 지점 수 224
[그림 III-73] 환경오염 건강영향 우려지역 현황도 224
[그림 III-74] 환경유해인자 노출 취약지역 선정 방법 225
[그림 IV-1] 환경오염 노출 조사지점의 위치현황 및 측정장비 229
[그림 IV-2] 각 조사지점별 시료채취 장비 현황 230
[그림 IV-3] PM₂.₅ 질량농도 분석 231
[그림 IV-4] 중금속 분석장비 232
[그림 IV-5] PAHs 분석장비 235
[그림 IV-6] 시료채취 기간 동안의 바람장미 239
[그림 IV-7] 녹음광장 측정결과와 연산동 대기자동측정망 결과의 1차 선형회귀분석 결과 240
[그림 IV-8] 각 측정지점별 PM₂.₅ 농도와 부산시 평균농도의 비교 243
[그림 IV-9] 각 측정지점의 월별 PM₂.₅ 농도와 부산시 월별 평균농도의 비교 244
[그림 IV-10] 각 측정지점별 PM₂.₅ 중금속 성분 농도 246
[그림 IV-11] 각 측정지점별 PM₂.₅ 중금속 성분의 월별 농도 247
[그림 IV-12] 각 측정지점별 PM₂.₅ 중금속 성분의 월별 농도(Fe, Zn 제외) 247
[그림 IV-13] 각 측정지점별 PM₂.₅ 중금속 농도와 부산시 평균 농도의 비교 248
[그림 IV-14] 입자상 PAHs 성분들의 각 지점별 농도 분석 결과 250
[그림 IV-15] 입자상 PAHs 성분 중 7종의 환경학적 관심성분들의 농도분포 251
[그림 IV-16] 입자상 PAHs 성분 중 7종의 환경학적 관심성분들의 타 지역과의 농도비교 253
[그림 IV-17] 초미세먼지 농도 대비 중금속 농도 비 254
[그림 IV-18] 초미세먼지 농도 대비 저분자 및 고분자 PAHs 농도 비 254
[그림 IV-19] 환경오염 노출조사지점을 바탕으로 선정된 주민 건강영향 조사 지점 257
[그림 IV-20] 2023년 1월 3일 중구 지역주민 건강검진 진행 사진 261
[그림 IV-21] 2023년 1월 31일 서구 지역주민 건강검진 진행 사진 261
[그림 IV-22] 주민 건강영향 조사 검진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예시 262
[그림 IV-23] 주민 건강영향 조사 검진자 총 인원 263
[그림 IV-24] 주민 건강영향 조사 날짜별 검진 인원 263
[그림 IV-25] 검진자 총 남녀 인원 264
[그림 IV-26] 검진 지역별 총 남녀 인원 264
[그림 IV-27] 검진자 연령별 총 인원 265
[그림 IV-28] 서구 검진자의 거주지별 인원 265
[그림 IV-29] 동구 검진자의 거주지별 인원 266
[그림 IV-30] 서구 검진자 종합 분석 266
[그림 IV-31] 동구 검진자 종합 분석 267
[그림 IV-32] 연제구 검진자 종합 분석 268
[그림 IV-33] 중구 검진자 종합 분석 268
[그림 IV-34] 각 구별 FVC, FCV₁, FVC%와 표준편차 280
[그림 IV-35] 전국과 부산지역의 혈 중 납 농도 292
[그림 IV-36] 구별과 성별에 따른 납 농도 293
[그림 IV-37] 전국과 부산지역의 요 중 카드뮴 농도 296
[그림 IV-38] 구별과 성별에 따른 카드뮴 농도 296
[그림 IV-39] 구별과 성별에 따른 크롬 농도 299
[그림 IV-40] 구별과 성별 크레졸 농도 301
[그림 IV-41] 전국과 부산지역의 요 중 나프톨 농도 303
[그림 IV-42] 구별과 성별에 따른 나프톨 농도 304
[그림 V-1] 건강보험공단 자료 사용 승인 진행 과정 310
[그림 V-2] 부산시 연도별 환경성질환 진료인원 및 진료비 311
[그림 V-3] 부산시 연도별 환경성질환 진료 건 수 및 1인당 진료비 313
[그림 V-4] 권역별 대기오염 물질 현황 318
[그림 V-5] 연도별 수돗물 평균 농도 319
[그림 V-6] 권역별 낮 소음 크기 320
[그림 V-7] 권역별 밤 소음 크기 321
[그림 V-8] 권역별 환경성질환 GAM 모형 분석 결과 328
[그림 V-9] 권역별 심혈관질환 GAM 모형 분석 결과 329
[그림 V-10] 권역별 호흡기질환 GAM 모형 분석 결과 330
[그림 V-11] 권역별 암 GAM 모형 분석 결과 331
[그림 VI-1] 부산광역시 환경보건 관련 담당부서 341
[그림 VI-2] 부산광역시 환경보건계획 수립을 위한 SWOT 분석 343
[그림 VI-3] 부산광역시 환경보건계획 수립 설정 수행방법 345
[그림 VI-4] 부산광역시 환경보건계획 비전 및 목표, 핵심전략 347
[그림 VI-5] 전략별 우선순위 사업 도출 357
[그림 VI-6] 전략별 우선순위 사업 358
[그림 VI-7] 환경유해인자 환경모니터링 조사 강화 사업 362
[그림 VI-8] IoT 기반 스마트 환경유해인자 모니터링 강화 사업 364
[그림 VI-9] IoT 기반 환경유해인자 관제 시스템 운영 367
[그림 VI-10] 환경유해인자와 환경성질환 의료정보화 네트워크 구축 370
[그림 VI-11] 스마트밴드 활용 비대면 환경성질환 인지 모니터링 370
[그림 VI-12] 환경유해인자 관련 환경성질환 코호트 구축 376
[그림 VI-13] 맞춤형 주민건강영향조사 지속 및 확대 378
[그림 VI-14] 취약계층 생활(실내) 환경 개선과 컨설팅 사업 381
[그림 VI-15] 건강나누리 캠프 예시 384
[그림 VI-16] 환경오염 취약지역 환경유해인자 저감 사업 387
[그림 VI-17] 환경유해인자별 저감 사업 강화 389
[그림 VI-18] 새뜰마을사업 마스터플랜 예시 391
[그림 VI-19] 환경유해인자 노출 저감 기술개발 지원 및 실증화 사업 393
[그림 VI-20] 잠재적 환경유해인자 추적 및 모니터링 395
[그림 VI-21] 기후변화 연관 환경성질환 관리 시스템 구축 397
[그림 VI-22] 트라이포트 전자동 유해화학물질 시스템 구축 및 운영 399
[그림 VI-23] 스마트 그린산단 마스터플랜 예시 400
[그림 VI-24] 부산형 환경성질환 건강센터 예시 405
[그림 VI-25] 슬레이트 철거 및 지붕개량 사업 예시 407
[그림 VI-26] 우리마을 치유 쉼터 운영 409
[그림 VI-27] 우리마을 갈등관리 힐링 행복 추진단 411
[그림 VI-28] 부산광역시 환경보건 조례 413
[그림 VI-29] B-환경보건 협의체 418
[그림 VI-30] 환경보건기술 R&D 거버넌스 시스템 구축 420
[그림 VI-31] 시민참여형 환경보건교육 프로그램 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