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01. 연구의 개요 8
1. 연구배경 9
2. 연구의 주요내용 10
02. 농어촌 패러다임 및 정책 분석 11
1. 농어촌 패러다임 변화 12
2. 농어촌 활성화 관련 정책 조사 14
3. 농어촌 활성화 관련 사례 조사 30
가. 수도권지역 지방정부의 농정 관련 해외사례 조사 30
나. 농어촌의 새로운 가치 창출 관련 사례 조사 40
다. 농어촌 활성화를 위한 경관농업 사례 조사 46
4. 시사점 53
03. 경기도 농어촌 마을사업 실태분석 55
1. 농어촌 마을 기본개념 56
2. 경기도 농어촌 마을 현황 64
3. 경기도 농어촌 마을사업 실태분석 89
가. 농어촌 마을사업 및 활성화 89
나. 경기도 농어촌 마을 관련 사업 현황조사 91
다. 경기도 농어촌 마을 주요 사업 96
4. 시사점 105
04. 경기도형 농어촌 마을 활성화 방안 110
1. 농어촌 마을 활성화 방향 111
2. 사업 제안(가칭: 경기도형 농어촌 마을 사업) 123
3. 경기도형 중간지원조직 구축 131
가. 중간지원조직 구축 배경 131
나. 중간지원조직 관련 사례 136
다. 시사점 및 조직 구성(안) 144
[부록] 153
1. 경기도 농어촌 마을사업 현황 154
2. 경기도 농어촌 마을 LQ 분석 173
3. 경기도형 농어촌 마을 활성화 사업(안) 190
판권기 205
〈표 1〉 농촌활성화정책 추진체계 16
〈표 2〉 농촌공간 전략계획 수립지침 16
〈표 3〉 농촌활성화정책 실행계획 수립지침 18
〈표 4〉 농촌활성화정책 거버넌스 체계 18
〈표 5〉 1~4차 농어업인 삶의 질 기본계획 비교 19
〈표 6〉 경기도 마을기초조사 추진 관련 전략목표 및 전략과제 27
〈표 7〉 2019~2021년 3년간 경기도 마을공동체 사업 성과(2022년 1월 기준) 28
〈표 8〉 푸드바래 프로젝트 주요내용 39
〈표 9〉 네덜란드의 치유농장 운영 사례 41
〈표 10〉 빗돌배기 마을 농촌체험 프로그램 43
〈표 11〉 농촌경관의 시각적 요소 46
〈표 12〉 농촌경관의 유형 47
〈표 13〉 마을의 특징 58
〈표 14〉 마을의 종류 58
〈표 15〉 농촌지역 유형화에 관한 선행연구 62
〈표 16〉 경기도형 전략 수립 시 고려 사항 63
〈표 17〉 인구 및 농가인구 변화 추이 64
〈표 18〉 농가호수 및 농가인구 현황 65
〈표 19〉 2018년~2022년 어가인구 개황 66
〈표 20〉 연령별 어가인구 변화 추이 66
〈표 21〉 경기도 어업종사 가구원 개황 67
〈표 22〉 농가교역조건 현황 68
〈표 23〉 농업경영비 현황 69
〈표 24〉 농가소득 현황 71
〈표 25〉 농가 및 도시근로자 소득 72
〈표 26〉 농가소득 5분위 현황 73
〈표 27〉 전업 및 겸업농 현황 74
〈표 28〉 경기도 농어촌 마을 개황 75
〈표 29〉 경기도 농어촌 마을의 주요 특징 76
〈표 30〉 종류별 인증 현황 80
〈표 31〉 시ㆍ군별 인증마을 현황 80
〈표 32〉 마을 유형화 및 마을 활성화 방안 81
〈표 33〉 농어촌 마을 분류 82
〈표 34〉 데이터별 주요 지역 특성 83
〈표 35〉 마을단위 사업의 특징 89
〈표 36〉 마을 활성화 구성요소 90
〈표 37〉 2024년 경기도 농어촌 마을 사업 92
〈표 38〉 부서별 예산 개요 95
〈표 39〉 경기도 자원순환마을 추진실적 100
〈표 40〉 경기도 자원순환마을 사업 유형별ㆍ연도별 추진 현황(2012~2018년) 101
〈표 41〉 경기도 자원순환마을 사업 유형별ㆍ연도별 추진 현황(2019~2021년) 101
〈표 42〉 경기도 마을공동체 사업 추진체계의 변천 102
〈표 43〉 경기도 마을공동체 지원사업의 분류 103
〈표 44〉 경기도 마을종합지원사업의 목적 및 지원현황 103
〈표 45〉 경기도 경제적 활성화 주요 사업 112
〈표 46〉 경기도 사회적 활성화 주요 사업 115
〈표 47〉 경기도 물리적 활성화 주요 사업 117
〈표 48〉 경기도 환경적 활성화 주요 사업 119
〈표 49〉 경기도 문화적 활성화 주요 사업 121
〈표 50〉 사업 개요 123
〈표 51〉 사업 범위 123
〈표 52〉 평가 기준 124
〈표 53〉 단계별 사업 추진 체계 125
〈표 54〉 중간지원조직의 개념적 특성 132
〈표 55〉 설립 및 운영 주체에 따른 중간지원조직의 유형 134
〈표 56〉 행정위계에 따른 마을사업 중간지원조직 역할체계 135
〈표 57〉 경기어촌특화지원센터 사업소개 141
〈표 58〉 중간지원조직 사례 비교 144
〈표 59〉 중간지원조직 운영주체별 장단점 149
〈그림 1〉 농어촌의 미래전망 12
〈그림 2〉 농어촌 정주체계 변화 전망 13
〈그림 3〉 삶의 질 정책의 패러다임 전환 20
〈그림 4〉 농촌진흥사업 기본계획의 연계 구조 22
〈그림 5〉 추진협력체계 22
〈그림 6〉 비전 및 추진전략 24
〈그림 7〉 경기도 마을공동체 기본계획 25
〈그림 8〉 근린생활권 계획 대상 12개 후보 지역 32
〈그림 9〉 뉘른베르크 대도시지역(NMR) 경계 33
〈그림 10〉 뉘른베르크 대도시지역(NMR) 거버넌스 구조 35
〈그림 11〉 에가오 팜 36
〈그림 12〉 호쿠토시 푸드바래 협의회 활동 영역 38
〈그림 13〉 일본 쿄마루엔 장애인 재활 농장 42
〈그림 14〉 질울고래실 마을 전경 44
〈그림 15〉 질울고래실 마을 사계절 체험 프로그램 45
〈그림 16〉 농촌경관계획 수립 목적 47
〈그림 17〉 농촌경관계획의 절차 48
〈그림 18〉 농촌경관계획의 기본내용 49
〈그림 19〉 일본 홋카이도 비에이조(美瑛町)의 경관농업 50
〈그림 20〉 네덜란드 잔세스칸스 경관농업 51
〈그림 21〉 한국 경관농업 사례 53
〈그림 22〉 연령별 어가인구 변화 추이 67
〈그림 23〉 농가교역조건 추이 68
〈그림 24〉 활성화 분야별 사업 개황 95
〈그림 25〉 부서별 사업 개황 96
〈그림 26〉 단계별 사업 추진체계 97
〈그림 27〉 추진 일정 98
〈그림 28〉 경기도 자원순환마을만들기의 단계별 목표 99
〈그림 29〉 경기도 자원순환마을 100
〈그림 30〉 전북특별자치도농촌융복합산업지원센터 137
〈그림 31〉 강원농촌융복합산업지원센터 138
〈그림 32〉 경기어촌특화지원센터 139
〈그림 33〉 군산시농어촌종합지원센터 143
〈그림 34〉 중간지원조직 구축 151
스마트 농업 클러스터 구축 사업 개요 191
사업 단계별 가이드라인 192
문화와 자연을 결합한 친환경 관광사업 개요 193
사업 단계별 가이드라인 195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마을 개발사업 개요 196
사업 단계별 가이드라인 197
스마트 빌리지 프로젝트 개요 198
사업 단계별 가이드라인 200
로컬 푸드 프로세싱 개요 200
사업 단계별 가이드라인 202
도농 교류 플랫폼 사업 개요 203
사업 단계별 가이드라인 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