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요약 및 정책함의 3
Ⅰ. 서론 9
1. 연구 배경 및 목적 9
2. 연구 범위 및 방법 11
3. 연구 수행 절차 12
Ⅱ. 사회적 농업과 취약계층 지원 13
1. 사회적 농업 개념 및 근거 13
2. 사회적 농업과 취약계층 지원 24
3. 사회적 농업 사례 연구 29
4. 시사점 37
Ⅲ. 경남 사회적 농업의 취약계층지원 실태 39
1. 경남 사회적 농장 및 돌봄공동체 기본현황 39
2. 농촌돌봄농장 현황 조사 54
3. 농촌 주민생활돌봄공동체 현황 조사 61
4. 경남 사회적 농업 운영 실태 66
5. 시사점 100
Ⅳ. 취약계층 지원을 위한 사회적 농업 활성화 방안 103
1. 취약계층 지원을 위한 사회적 농업 활성화 방향 103
2. 사회적 농업 활성화 방안 107
3. 사회적 농업 활성화를 위한 네트워크 구축 114
4. 향후 과제 115
참고문헌 117
판권기 120
〈표 2-1〉 사회적 농업 유형 예시 21
〈표 2-2〉 주민생활돌봄공동체 지역서비스 제공 예시 22
〈표 2-3〉 농촌돌봄농장 사업추진절차(신규사업자) 23
〈표 2-4〉 농촌 돌봄서비스 활성화 지원 사업대상자 선정 기준 24
〈표 2-5〉 전국 농촌돌봄농장 및 농촌주민생활돌봄공동체 수 26
〈표 3-1〉 경남 농촌돌봄농장 및 농촌 주민생활돌봄공동체 현황 39
〈표 3-2〉 다온영농조합 프로그램 현황(2023년 기준) 41
〈표 3-3〉 그리운순이 프로그램 계획 현황(2024년 기준) 42
〈표 3-4〉 농업회사법인 한길(주) 프로그램 계획 현황(2024년 기준) 42
〈표 3-5〉 남해상주 동고동락협동조합 프로그램 계획 현황(2024년 기준) 43
〈표 3-6〉 아침마당 영농조합법인 프로그램 현황(2023년 기준) 44
〈표 3-7〉 지리산해뜨네 농원 프로그램 현황(2023년 기준) 45
〈표 3-8〉 예쁜마을 사회적협동조합 프로그램 현황(2023년 기준) 46
〈표 3-9〉 진양호힐링센터(주) 프로그램 현황(2023년 기준) 47
〈표 3-10〉 클라우드베리(주) 프로그램 현황(2023년 기준) 48
〈표 3-11〉 호미랑 프로그램 현황(2023년 기준) 49
〈표 3-12〉 수승대발효마을 프로그램 현황(2023년 기준) 50
〈표 3-13〉 협동조합 미래를키우는농부들 프로그램 현황(2023년 기준) 51
〈표 3-14〉 김해시 농촌공동체활성화협의회 프로그램 계획 현황(2024년 기준) 51
〈표 3-15〉 생림사랑 협동조합 프로그램 현황(2023년 기준) 52
〈표 3-16〉 (주)누리 프로그램 현황(2023년 기준) 53
〈표 3-17〉 (사)청년농창업생태계관리지원센터 프로그램 현황(2023년 기준) 54
〈표 3-18〉 농촌돌봄농장 조사 개요 55
〈표 3-19〉 농촌돌봄농장 기본현황 55
〈표 3-20〉 농촌돌봄농장의 평균 시설 면적 56
〈표 3-21〉 농촌돌봄농장의 종사자 수 57
〈표 3-22〉 농촌돌봄농장의 취약계층 종사자 수 57
〈표 3-23〉 농촌돌봄농장의 총수입 및 총지출 58
〈표 3-24〉 사회적 농장 운영에 있어서 어려운 점 58
〈표 3-25〉 사회적 농장의 발전을 위해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사항 59
〈표 3-26〉 사회적 농장이 지원받은 보조 사업에 대해 개선이 필요한 점 60
〈표 3-27〉 사회적 농장 활성화 관련 정책 중요도 60
〈표 3-28〉 농촌 주민생활돌봄공동체 조사 개요 62
〈표 3-29〉 농촌 주민생활돌봄공동체 기본현황 62
〈표 3-30〉 농촌 주민생활돌봄공동체의 종사자 및 조합원 현황 63
〈표 3-31〉 농촌돌봄농장 기본현황 67
〈표 3-32〉 농촌주민생활돌봄공동체 F.G.I 참석자 94
(그림 1-1) 연구 수행 절차 12
(그림 2-1) 치유농업 지원 체계 17
(그림 2-2) 사회적 농업과 치유농업의 관계 18
(그림 2-3) 사회적 농업의 세 가지 편익 범주 28
(그림 2-4) 사토니쿠라스의 조직체계 33
(그림 2-5) 큐진 팜 메무로의 조직 체계 35
(그림 3-1) 농촌돌봄농장의 주요 생산 작목 56
(그림 3-2) 돌봄반장의 주요 활동별 역할 비중 및 활동내용 64
(그림 3-3) 공동체 조직이 실현하려고 노력하는 사회적 가치와 실현 방법 64
(그림 3-4) 농촌 주민생활돌봄공동체 운영에 있어서 어려운 점 65
(그림 4-1) 취약계층 지원을 위한 사회적 농장 운영 절차(안) 109
(그림 4-2) 사회적 농장 자립모형1: 연계자립모형 110
(그림 4-3) 사회적 농장 자립모형2: 소득기반자립모형 112
(그림 4-4) 경남 사회적 농업 네트워크 구축 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