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요약 3
제1장 연구 개요 10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11
1. 연구 배경 11
2. 연구 목적 14
제2절 연구 범위 및 방법 15
1. 연구 범위 15
2. 연구 방법 및 기대효과 15
제2장 데이터 산업 현황 분석 17
제1절 데이터 가치 평가의 개념 18
1. 데이터 가치 평가의 정의 및 절차 18
2. 데이터 가치 평가의 중요성 23
3. 데이터 가치 평가의 쟁점 25
제2절 산업 동향 27
1. 시장 규모 27
2. 분야별 데이터 활용 동향 34
3. 데이터 기반 스타트업 동향 38
제3절 정책ㆍ법ㆍ제도 동향 및 인증 사례 42
1. 주요 정책 동향 42
2. 관련 법 동향 48
3. 관련 제도 동향 51
4. 데이터 가치 평가 인증 사례 54
제4절 시사점 57
제3장 지역 여건 및 경쟁력 분석 58
제1절 데이터 산업 여건 분석 59
1. 국내 데이터 산업 여건 59
2. 지역 데이터 산업 여건 64
제2절 지역 경쟁력 분석 67
1. 정책적 측면 67
2. 산업적 측면 68
3. 지역적 측면 69
제3절 SWOT 분석 70
제4절 시사점 72
제4장 기본방향 및 추진사업 73
제1절 기본방향 74
제2절 추진사업 76
제5장 종합 및 정책제언 82
제1절 종합 83
제2절 정책제언 85
참고문헌 87
판권기 89
〈표 1-1〉 해외 데이터 이전 자유도 비교 12
〈표 2-1〉 KDX데이터거래소 목록형 데이터 상품의 용량 및 가격 분포 21
〈표 2-2〉 데이터 가치 평가 방법론 22
〈표 2-3〉 데이터 가치 기반 보증 상품 비교 23
〈표 2-4〉 유럽연합 데이터 전문인력 분야별 규모('20~'23) 29
〈표 2-5〉 데이터 산업 수요처별 시장 규모 31
〈표 2-6〉 국내 주요 산업별 시장규모 추이 33
〈표 2-7〉 국내 인공지능 기반 소프트웨어 의료기기 허가 품목 현황 35
〈표 2-8〉 디지털 교육 관련 개념 비교 36
〈표 3-1〉 신기술분야 인력수급 전망('23~'27년) 60
〈그림 1-1〉 데이터 가치평가기관 지정에 따른 운영기관 13
〈그림 1-2〉 연구 수행 체계 16
〈그림 2-1〉 데이터 산업 비즈니스 유형과 대표기업 19
〈그림 2-2〉 데이터거래사 주요 업무 25
〈그림 2-3〉 주요국 데이터 시장 규모('20~'23) 27
〈그림 2-4〉 주요국 데이터 공급기업 규모('20~'23) 28
〈그림 2-5〉 데이터 산업 시장규모('12~'22) 30
〈그림 2-6〉 데이터 산업 부문별 인력 현황 추이('16~'22) 32
〈그림 2-7〉 데이터 산업 직군별 인력 비중('22) 32
〈그림 2-8〉 데이터ㆍAI 경제 활성화 계획 비전 및 목표 43
〈그림 2-9〉 제1차 데이터산업 진흥 기본계획 비전 및 목표 45
〈그림 2-10〉 신(新) 디지털 제조혁신 추진전략 47
〈그림 2-11〉 데이터 산업 정책의 중점 추진과제 비교 47
〈그림 2-12〉 데이터산업법과 산업디지털전환법 비교 50
〈그림 2-13〉 데이터가치평가 지원사업 추진절차 51
〈그림 2-14〉 신지식재산권의 분류 52
〈그림 2-15〉 데이터 바우처 지원사업 추진체계 53
〈그림 2-16〉 애드의 보유 유저 데이터 현황과 화물차를 활용한 디지털 사이니지 54
〈그림 2-17〉 유클리드 소프트의 대전본사-광주지사 체제 구축과 AI 행동 인식 솔루션 55
〈그림 2-18〉 동해에코에너지의 자가발전형 관개장비 원격 제어시스템 구성도 56
〈그림 3-1〉 One-window 구축 추진체계 61
〈그림 3-2〉 데이터 거래 시스템 개념도 62
〈그림 3-3〉 경북 업종별 창ㆍ폐업 사업체수(2023년) 65
〈그림 3-4〉 SWOT 분석 71
〈그림 4-1〉 목표 및 전략 74
〈그림 4-2〉/〈그림 4-3〉 경북형 수도권 기업 지사 유치 사업 개념도 77
〈그림 4-3〉/〈그림 4-4〉 특허 분석 평가 시스템 구상도 79
〈그림 4-4〉/〈그림 4-5〉 서울 유니콘 창업허브 조성 사업 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