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서문 6
제1장 서론: 코로나19와 KIHASA 10
제1절 코로나19(COVID-19)의 발생과 사회정책 10
제2절 코로나19와 KIHASA의 연구 14
제2장 코로나19 관련 보건의료 영역의 연구 19
제1절 감염병 확산 통제를 위한 단기 정책과제 19
제2절 위드(with) 코로나 시기 보건의료체계 혁신 과제 24
제3절 보건의료체계의 대응성 강화를 위한 과제 30
제3장 코로나19 관련 사회복지 영역의 연구 34
제1절 사회복지 영역에 대한 코로나19의 영향 34
제2절 사회복지제도를 통한 위기 대응 노력과 결과 41
제3절 사회서비스 영역의 정책적 대응과 결과 52
제4장 미래 대비를 위한 보건의료ㆍ사회복지 정책의 방향성과 정책과제 67
제1절 미래 변화 예측 67
제2절 코로나19 위기의 교훈과 미래질병 대응 과제 70
제3절 미래 대응을 위한 사회복지정책의 방향성과 주요 내용 76
참고문헌 83
판권기 2
〈표 1-1〉 코로나19 관련 보건의료 영역의 연구과제 목록 15
〈표 1-2〉 코로나19 관련 사회(복지)서비스 영역의 연구과제 목록 16
〈표 1-3〉 코로나19 관련 사회복지 정책ㆍ제도 영역의 연구과제 목록 18
〈표 2-1〉 감염병 수준별 위기 소통 전략도 제안 23
〈표 4-1〉 유형별, 영역별 미래 사건과 변화의 발생 가능성과 파급 효과 68
〈표 4-2〉 에코챔버 사회의 동인ㆍ양상 및 사회복지에 미칠 영향 69
[그림 2-1] K-방역 3T(Test-Trace-Treat) 국제표준화 분야(18종) 19
[그림 2-2] 한국형 상병수당(건강보험 상병휴업급여) 설계의 기본 틀 25
[그림 2-3] 비대면 의료의 확장성 26
[그림 2-4] 코로나19 유행에 대한 정부 대응 방향과 미충족 필요 공백지점 발생 28
[그림 3-1] 코로나19 이후 사회적 위험 변화 양상 35
[그림 4-1] 미래 변화ㆍ사건의 유형: 발생 가능성, 파급 효과 67
[그림 4-2] 미래 사회변화에 대비하기 위한 질병관리청의 정책 목표 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