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요약문 5
제1장 서론 20
제1절 추진 배경 21
제2절 추진 목표 및 내용 24
제2장 정보수집 및 현황조사ㆍ분석 26
제1절 개요 27
제2절 해외 산업ㆍ기술ㆍ정책 동향 조사ㆍ분석 28
제3절 국내 기술경쟁력ㆍ이슈 조사ㆍ분석 54
제4절 소결 91
제3장 전략로드맵 수립 92
제1절 개요 93
제2절 거대과학 분야 전략로드맵 94
제3절 필수기반 분야 전략로드맵 103
제4절 소결 115
제4장 프로젝트 후보 선정 117
제1절 개요 118
제2절 프로젝트 후보 선정 경과 120
제3절 프로젝트 후보 선정(안) 122
제4절 향후 계획(안) 130
제5장 종합 육성전략 수립 132
제1절 정부 투자방향 133
제2절 생태계 구축 방안 136
제6장 결론 139
참고문헌 142
〈표 2-1〉 주요 국가ㆍ기업의 SMR 시장 전망 28
〈표 2-2〉 주요국별 SMR 실증동향 29
〈표 2-3〉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관리 주요국 현황 30
〈표 2-4〉 주요국별 연구용 지하연구시설(URL) 운영 현황 30
〈표 2-5〉 기존 미국의 원전 규제현황 및 보완방향 31
〈표 2-6〉 항공 연구개발 관련 주요국 동향 34
〈표 2-7〉 미국 우주분야 제도 및 정책 주요 동향 34
〈표 2-8〉 중국 우주분야 정책 주요 동향 35
〈표 2-9〉 유럽 우주분야 제도 및 정책 주요 동향 35
〈표 2-10〉 일본 우주분야 제도 및 정책 주요 동향 35
〈표 2-11〉 일본 및 노르웨이의 해양 분야 주요 정책 36
〈표 2-12〉 주요국 차세대 통신 산업 현황 38
〈표 2-13〉 주요 통신서비스 기업 및 제시 기술 41
〈표 2-14〉 사이버보안 글로벌 기업 시가총액 순위 48
〈표 2-15〉 주요 국가별 '정보보안' 수출 비중 49
〈표 2-16〉 글로벌 AI 기술 동향 49
〈표 2-17〉 사이버안보 재조정 51
〈표 2-18〉 주요국의 우주발사체 개발 및 운용 기술수준 평가 결과 58
〈표 2-19〉 엑체엔진 개발 관련 주요 개발 내용 58
〈표 2-20〉 우주발사체 산업 관련 주요국 동향 59
〈표 2-21〉 kg당 우주발사체 발사비용 변화 추이 59
〈표 2-22〉 주요국의 우주환경 관측ㆍ감시ㆍ분석 기술수준 평가 결과 59
〈표 2-23〉 미국의 우주교통관리를 위한 조직별 임무 60
〈표 2-24〉 주요국의 우주 탐사ㆍ활용 기술수준 평가 결과 61
〈표 2-25〉 다누리 주요 탑재체 종류 및 주요 임무 내용 61
〈표 2-26〉 국가별 달 탐사선 주요 임무수행 현황 62
〈표 2-27〉 아르테미스 계획의 민간 협력 및 국제협력 주요 내용 62
〈표 2-28〉 첨단엔진 기술수준 평가 결과 63
〈표 2-29〉 전략광물의 종류 및 주요 산업 수요처 65
〈표 2-30〉 주요국별 채광ㆍ제련 기술 수준(TRL) 65
〈표 2-31〉 6G 분야 경쟁력(SWOT 분석) 66
〈표 2-32〉 5G-Adv 분야 경쟁력(SWOT 분석) 68
〈표 2-33〉 위성통신 분야 경쟁력(SWOT 분석) 69
〈표 2-34〉 고효율 통신부품 분야 경쟁력(SWOT 분석) 72
〈표 2-35〉 로봇 부품의 종류와 구조도 73
〈표 2-36〉 로봇 부품ㆍSW 분야 경쟁력(SWOT 분석) 74
〈표 2-37〉 로봇 자율 이동 분야 경쟁력(SWOT 분석) 75
〈표 2-38〉 고난도 자율조작 분야 경쟁력(SWOT 분석) 77
〈표 2-39〉 인간-로봇 상호작용 분야 경쟁력(SWOT 분석) 79
〈표 2-40〉 가상제조 분야 경쟁력(SWOT 분석) 80
〈표 2-41〉 데이터ㆍAI 분야 경쟁력(SWOT 분석) 82
〈표 2-42〉 디지털 취약점 분석ㆍ대응 분야 경쟁력(SWOT 분석) 84
〈표 2-43〉 네트워크ㆍ클라우드 보안 분야 경쟁력(SWOT 분석) 87
〈표 2-44〉 산업ㆍ가상융합 보안 분야 경쟁력(SWOT 분석) 89
〈표 3-1〉 차세대 원자력 중점기술 및 목표 선정 배경 94
〈표 3-2〉 우주항공ㆍ해양 중점기술 및 목표 선정 배경 98
〈표 3-3〉 차세대통신 중점기술 및 목표 선정 배경 103
〈표 3-4〉 첨단로봇ㆍ제조 중점기술 및 목표 선정 배경 107
〈표 3-5〉 사이버 보안 중점기술 및 목표 선정 배경 111
〈표 4-1〉 「국가전략기술 프로젝트」 주요 검토 기준(안) 120
〈표 4-2〉 부처에서 신청한 프로젝트 목록 120
〈표 4-3〉 「국가전략기술 프로젝트」 주요 검토 기준(안) 121
〈표 4-4〉 종합 검토 121
〈표 4-5〉 AI반도체를 활용한 K-클라우드 기술개발 개요 122
〈표 4-6〉 AI반도체를 활용한 K-클라우드 기술개발 내용 123
〈표 4-7〉 반도체 첨단패키징 선도기술개발 개요 123
〈표 4-8〉 전략과제명 및 주요 내용(기술선도형) 124
〈표 4-9〉 전략과제명 및 주요 내용(기술자립형) 125
〈표 4-10〉 무기발광 디스플레이 기술개발 및 생태계 구축 개요 125
〈표 4-11〉 바이오파운드리 인프라 및 활용 기반 구축 128
〈표 4-12〉 바이오파운드리 관련 주요국 동향 128
〈표 5-1〉 차세대 원자력 중점기술별 중점 투자 방향 133
〈표 5-2〉 우주항공ㆍ해양 중점기술별 중점 투자 방향 133
〈표 5-3〉 차세대통신 중점기술별 중점 투자 방향 133
〈표 5-4〉 첨단로봇ㆍ제조 중점기술별 중점 투자 방향 134
〈표 5-5〉 사이버보안 중점기술별 중점 투자 방향 134
[그림 1-1] 필수기반 기술의 연계 및 융합 23
[그림 2-1] 2050 탄소중립을 위한 주요 전망(국제에너지기구, '23) 28
[그림 2-2] 글로벌 SMR 개발 현황도 29
[그림 2-3] 글로벌 우주ㆍ위성산업 시장 규모 32
[그림 2-4] 글로벌 이동통신 서비스 시장 규모 37
[그림 2-5] 이동통신산업 가치사슬 39
[그림 2-6] 이동통신 국제 표준화 절차 40
[그림 2-7] 로봇 세계시장 규모 43
[그림 2-8] 사람과 로봇의 구성요소 비교 45
[그림 2-9] '22-'27 글로벌 사이버보안 시장규모 및 전망 47
[그림 2-10] 주요 빅테크기업의 사이버보안 분야 M&A 현황 48
[그림 2-11] 항공기용 엔진 산업구조 64
[그림 2-12] 6G 주요기술 개념도 66
[그림 2-13] 5G-Advanced 주요기술 68
[그림 2-14] 위성통신 개념도 69
[그림 2-15] 오픈랜 네트워크 장비 구성 70
[그림 2-16] 고효율 통신부품 기술 72
[그림 2-17] 완전 자율이동 개념도 75
[그림 2-18] 고난도 자율조작 기술 77
[그림 2-19] 인간ㆍ로봇 상호작용 핵심 요소 기술 78
[그림 2-20] 가상 제조 개념도 80
[그림 2-21] 신뢰가능한 AI 주요 국제 표준 83
[그림 2-22] 보안관제 단계별 대응 85
[그림 3-1] 임무중심 전략로드맵 수립 방향 93
[그림 3-2] R&D 정책ㆍ투자 연계 및 조성방안 93
[그림 3-3] 차세대 원자력 분야 핵심이슈 기반 임무ㆍ목표 도출 94
[그림 3-4] 차세대 원자력 분야 세부 목표 96
[그림 3-5] 우주항공ㆍ해양 분야 핵심이슈 기반 임무ㆍ목표 도출 98
[그림 3-6] 우주항공ㆍ해양 분야 세부 목표 101
[그림 3-7] 차세대통신 분야 핵심이슈 기반 임무ㆍ목표 도출 103
[그림 3-8] 첨단로봇ㆍ제조 분야 핵심이슈 기반 임무ㆍ목표 도출 107
[그림 3-9] 사이버 보안 분야 핵심이슈 기반 임무ㆍ목표 도출 111
[그림 4-1] 12대 국가전략기술 분야 118
[그림 4-2] 국가전략기술 프로젝트 선정을 위한 전문가 검토 절차(안) 119
[그림 4-3] 무기발광 디스플레이 기술개발 및 생태계 구축 추진 내용 및 단계 127
[그림 4-4] 스마트모듈러센터 127
[그림 4-5] 합성생물학의 타산업 파급 분야 및 게임체인저 역할 128
[그림 4-6] 3대 중점과제 및 주요 내용 129
[그림 5-1] 전략기술 임무중심 전략로드맵 활용방안 1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