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15
제1절 배경 및 필요성 16
제2절 목표 및 내용 17
제3절 추진전략ㆍ방법 및 추진체계 18
1. 연구개발의 추진전략ㆍ방법 18
2. 연구개발의 추진체계 19
제2장 국가전략기술 R&D 인력 실태조사 20
제1절 국가전략기술 산업ㆍ연구인력 규모 및 현황 21
1. 첨단바이오 21
2. 인공지능 30
제2절 국가전략기술 핵심연구자 현황 분석 35
1. 추진 개요 35
2. 인공지능 분야 연구인력 현황 분석 36
제3절 국가전략기술 핵심인재 확보 정책 이슈 발굴 조사 78
제3장 연구개발과제의 수행 결과 245
제1절 주요 결과 요약 246
제2절 연구개발성과의 관련 분야에 대한 기여 정도 257
제3절 연구개발성과의 관리 및 활용 계획 257
〈표 2-1〉 제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 기준 21
〈표 2-2〉 첨단바이오 분야 주요 지표 및 분석 자료원 22
〈표 2-3〉 첨단바이오 유관 학과 졸업자 현황(2021년~2023년) 23
〈표 2-4〉 첨단바이오 유관 학과의 취업 현황(2020년~2022년) 23
〈표 2-5〉 첨단바이오 분야 전체 종사자 현황(2023년) 25
〈표 2-6〉 첨단바이오 분야 학위×전공별 종사자 현황(2023년) 26
〈표 2-7〉 첨단바이오 분야 학위×직종별 종사자 현황(2023년) 26
〈표 2-8〉 첨단바이오 분야 직종×전공별 종사자 현황(2023년) 27
〈표 2-9〉 첨단바이오 분야 연구원 현황(2022년) 28
〈표 2-10〉 바이오 관련 사업체 종사자 현황 29
〈표 2-11〉 바이오 관련 사업체 연구원 현황 29
〈표 2-12〉 인공지능 분야별 주요 지표 및 분석 자료원 30
〈표 2-13〉 인공지능 유관 학과 졸업자 현황(2021년~2023년) 31
〈표 2-14〉 인공지능 유관 학과의 취업 현황(2020년~2022년) 31
〈표 2-15〉 인공지능 관련 사업체 전체 종사자 현황 32
〈표 2-16〉 인공지능 관련 직종 종사자 현황 33
〈표 2-17〉 인공지능 관련 직종 종사자 현재 인력, 부족 인력, 채용예정 인력 34
〈표 2-18〉 인공지능 분야 전 세계 주요 연구주제('18~'23)('24.5.기준) 39
〈표 2-19〉 인공지능 분야 국내 주요 연구주제('18~'23)('24.5.기준) 46
〈표 2-20〉 인공지능 분야 미국 주요 연구주제('18~'23)('24.5.기준) 52
〈표 2-21〉 인공지능 분야 중국 주요 연구주제('18~'23)('24.5.기준) 58
〈표 2-22〉 인공지능 분야 인도 주요 연구주제('18~'23)('24.5.기준) 64
〈표 2-23〉 인공지능 분야 영국 주요 연구주제('18~'23)('24.5.기준) 70
〈표 2-24〉 인공지능 분야 일본 주요 연구주제('18~'23)('24.5.기준) 76
〈표 2-25〉 설문응답자 수 78
〈표 2-26〉 첨단바이오 분야 설문문항 설계 79
〈표 2-27〉 인공지능 분야 설문문항 설계 79
〈표 2-28〉 첨단바이오 분야 응답자별 성별 분포 80
〈표 2-29〉 첨단바이오 분야 응답자별 연령대 분포 80
〈표 2-30〉 첨단바이오 분야 응답자별 소속기관 유형 분포 80
〈표 2-31〉 첨단바이오 분야 응답자별 최종학위 분포 81
〈표 2-32〉 첨단바이오 분야 응답자별 최종학위 전공 분포 81
〈표 2-33〉 첨단바이오 분야 응답자별 중점기술 관련 주요 연구 분야(복수응답) 81
〈표 2-34〉 첨단바이오 분야 응답자별 연구분야와 최종학위 전공 간 연관성 82
〈표 2-35〉 첨단바이오 분야 응답자별 연구 경력기간 분포 82
〈표 2-36〉 첨단바이오 분야 석사 학위 전공 분포 83
〈표 2-37〉 첨단바이오 분야 석사 과정 연구 분야 84
〈표 2-38〉 첨단바이오 분야 박사 학위 전공 86
〈표 2-39〉 첨단바이오 분야 박사 과정 연구 분야 87
〈표 2-40〉 첨단바이오 분야 공동연구 참여 경험(1) - 공동연구 협력 대상 99
〈표 2-41〉 첨단바이오 분야 공동연구 참여 경험(2) - 공동연구 유형별 협력대상 101
〈표 2-42〉 첨단바이오 분야 국제협력 참여 경험(1) - 협력 기관 106
〈표 2-43〉 첨단바이오 분야 국제협력 참여 경험(2) - 협력 형태 107
〈표 2-44〉 첨단바이오 분야 국제협력 참여 경험(3) - 협력 기관별 협력 형태 109
〈표 2-45〉 첨단바이오 분야 국제협력 참여 경험(4) - 협력 기관별 협력 경로(계속) 110
〈표 2-46〉 첨단바이오 분야 국제협력 참여 경험(5) - 협력 형태별 협력 경로 112
〈표 2-47〉 첨단바이오 분야 박사학위 취득자에 대한 산ㆍ학ㆍ연 내 진출 경로의 충분성 116
〈표 2-48〉 첨단바이오 분야 박사학위 취득 후 주요 진출 경로 118
〈표 2-49〉 첨단바이오 분야 인재의 해외 유출 완화 및 국내 경력 유지를 위해 해결해야 할 우선과제 120
〈표 2-50〉 첨단바이오 분야 특화 교육ㆍ연구거점의 필요성 122
〈표 2-51〉 인공지능 분야 응답자별 성별 분포 124
〈표 2-52〉 인공지능 분야 응답자별 연령대 분포 124
〈표 2-53〉 인공지능 분야 응답자별 소속기관 유형 분포 124
〈표 2-54〉 인공지능 분야 응답자별 최종학위 분포 125
〈표 2-55〉 인공지능 분야 응답자별 최종학위 전공 분포 125
〈표 2-56〉 인공지능 분야 응답자별 중점기술 관련 주요 연구 분야(복수응답) 125
〈표 2-57〉 인공지능 분야 응답자별 연구분야와 최종학위 전공 간 연관성 126
〈표 2-58〉 인공지능 분야 응답자별 연구 경력기간 분포 126
〈표 2-59〉 인공지능 분야 석사 학위 전공 127
〈표 2-60〉 인공지능 분야 석사 과정 연구 분야 128
〈표 2-61〉 인공지능 분야 박사 학위 전공 130
〈표 2-62〉 인공지능 분야 박사 과정 연구 분야 131
〈표 2-63〉 인공지능 분야 공동연구 참여 경험(1) - 공동연구 협력 대상 144
〈표 2-64〉 인공지능 분야 공동연구 참여 경험(2) - 공동연구 유형별 협력대상(계속) 145
〈표 2-65〉 인공지능 분야 국제협력 참여 경험 및 경력(1) - 협력 기관 151
〈표 2-66〉 인공지능 분야 국제협력 참여 경험(2) - 협력 형태 152
〈표 2-67〉 인공지능 분야 국제협력 참여 경험(3) - 협력 기관별 협력 형태 154
〈표 2-68〉 인공지능 분야 국제협력 참여 경험(4) - 협력 기관별 협력 경로(계속) 155
〈표 2-69〉 인공지능 분야 국제협력 참여 경험(5) - 협력 형태별 협력 경로 157
〈표 2-70〉 AI+X 대비 X+AI의 효과성 161
〈표 2-71〉 타 분야 전문인재의 AI 연구역량 개발을 위한 정부 지원의 충분성 163
〈표 2-72〉 타 분야 전문인재의 AI 연구역량 개발을 위한 정부 지원의 필요성 165
〈표 2-73〉 첨단바이오 분야 교육ㆍ연구 인프라가 충분하지 못한 이유 및 개선방안: 세부 의견 168
〈표 2-74〉 첨단바이오 분야 국내 산ㆍ학ㆍ연 연구기반이 부족한 이유 및 개선방안: 세부 의견 170
〈표 2-75〉 첨단바이오 분야 공동연구 수행과정에서의 애로사항: 세부 의견 173
〈표 2-76〉 첨단바이오 분야 공동연구 확대 필요 유형 및 방식: 세부 의견 175
〈표 2-77〉 첨단바이오 분야 국제협력 수행과정에서의 애로사항: 세부 의견 177
〈표 2-78〉 첨단바이오 분야 국제협력의 효과적인 방식 및 방안: 세부 의견 179
〈표 2-79〉 첨단바이오 분야 박사학위 취득자의 산ㆍ학ㆍ연 진출경로가 부족한 이유: 세부 의견 183
〈표 2-80〉 첨단바이오 분야 특화 교육ㆍ연구거점의 효과적인 추진 및 운영 방안: 세부 의견 185
〈표 2-81〉 첨단바이오 분야 기타 정책적 개선의견: 키워드 분석 및 의견 유형 190
〈표 2-82〉 인공지능 분야 교육ㆍ연구 인프라가 충분하지 못한 이유 및 개선방안: 세부 의견 194
〈표 2-83〉 인공지능 분야 '데이터 과학자'가 부족한 이유 및 개선방안: 세부 의견 196
〈표 2-84〉 인공지능 분야 '데이터 분석가'가 부족한 이유 및 개선방안: 세부 의견 199
〈표 2-85〉 인공지능 분야 '데이터 기술자'가 부족한 이유 및 개선방안: 세부 의견 201
〈표 2-86〉 인공지능 분야 공동연구 수행과정에서의 애로사항: 세부 의견 204
〈표 2-87〉 인공지능 분야 공동연구 확대 필요 유형 및 방식: 세부 의견 206
〈표 2-88〉 인공지능 분야 국제협력 수행과정의 애로사항: 세부 의견 209
〈표 2-89〉 인공지능 분야 향후 국제협력 미참여 이유: 세부 의견 211
〈표 2-90〉 인공지능 분야 국제협력의 지속적 확대가 불필요한 이유: 세부 의견 213
〈표 2-91〉 AI 연구거점의 효과적인 추진 방안: 세부 의견 215
〈표 2-92〉 인공지능 분야 효과적인 국제협력 방식 및 방안: 세부 의견 218
〈표 2-93〉 인공지능 분야 인재양성을 위해 AI+X가 더 효과적인 이유: 세부 의견 221
〈표 2-94〉 인공지능 분야 인재양성을 위해 X+AI가 더 효과적인 이유: 세부 의견 223
〈표 2-95〉 인공지능 분야 정부 지원이 부족하다고 생각하는 이유: 세부 의견 225
〈표 2-96〉 X+AI 인재양성을 위한 적절한 교육ㆍ훈련 과정 및 지원방안: 세부 의견 227
〈표 2-97〉 타 분야 전문인재에게 요구되는 인공지능 분야 지식 및 역량: 세부 의견 230
〈표 2-98〉 X+AI 양성을 위한 효과적인 방안: 세부 의견 233
〈표 2-99〉 인공지능 분야 주요 이슈와 연구 분야 전망: 세부 의견 239
〈표 2-100〉 인공지능 분야 기타 정책적 개선의견: 세부 의견 242
[그림 2-1] 첨단바이오 분야 종사자 현황(2023년) 24
[그림 2-2] 첨단바이오 분야 연구원 현황(2022년) 28
[그림 2-3] 주요국별 인공지능 분야 논문 수 및 연구자 수 36
[그림 2-4] 전 세계 상위 10개 학술ㆍ연구기관별 논문 및 연구자 수 37
[그림 2-5] 인공지능 분야 전 세계 연구자의 연구협력 현황 37
[그림 2-6] 전 세계 상위 100위 및 500위 연구자 그룹의 지리적 연구협력 현황 38
[그림 2-7] 전 세계 상위 100위 및 500위 연구자 그룹의 부문별 연구협력 현황 38
[그림 2-8] 전 세계 상위 100위 연구자 그룹의 연구키워드 예시 40
[그림 2-9] 전 세계 상위 500위 연구자 그룹의 연구키워드 예시 40
[그림 2-10] 인공지능 분야에서 새롭게 떠오른 연구키워드('21) 41
[그림 2-11] 인공지능 분야 연구트렌드를 주도하는 핵심 연구자 수 및 발간논문 수 41
[그림 2-12] 인공지능 분야 국내 연구자의 논문 수 42
[그림 2-13] 국내 상위 10개 학술ㆍ연구기관별 논문 및 연구자 수 42
[그림 2-14] 인공지능 분야 국내 연구자의 연구협력 현황 43
[그림 2-15] 인공지능 분야 국내 연구자의 지리적 연구협력 현황 43
[그림 2-16] 인공지능 분야 국내 연구자의 부문별 연구협력 현황 44
[그림 2-17] 인공지능 분야 국내 연구자의 협력국가 현황 44
[그림 2-18] 국내 상위 100위 및 500위 연구자 그룹의 지리적 연구협력 현황 45
[그림 2-19] 국내 상위 100위 및 500위 연구자 그룹의 부문별 연구협력 현황 45
[그림 2-20] 국내 상위 100위 연구자 그룹의 연구키워드 예시 47
[그림 2-21] 국내 상위 500위 연구자 그룹의 연구키워드 예시 47
[그림 2-22] 인공지능 분야 미국 연구자의 논문 수 48
[그림 2-23] 미국 상위 10개 학술ㆍ연구기관별 논문 및 연구자 수 48
[그림 2-24] 인공지능 분야 미국 연구자의 연구협력 현황 49
[그림 2-25] 인공지능 분야 미국 연구자의 지리적 연구협력 현황 49
[그림 2-26] 인공지능 분야 미국 연구자의 부문별 연구협력 현황 50
[그림 2-27] 인공지능 분야 미국 연구자의 협력국가 현황 50
[그림 2-28] 미국 상위 100위 및 500위 연구자 그룹의 지리적 연구협력 현황 51
[그림 2-29] 미국 상위 100위 및 500위 연구자 그룹의 부문별 연구협력 현황 51
[그림 2-30] 미국 상위 100위 연구자 그룹의 연구키워드 분석 53
[그림 2-31] 미국 상위 500위 연구자 그룹의 연구키워드 분석 53
[그림 2-32] 인공지능 분야 중국 연구자의 논문 수 54
[그림 2-33] 중국 상위 10개 학술ㆍ연구기관별 논문 및 연구자 수 54
[그림 2-34] 인공지능 분야 중국 연구자의 연구협력 현황 55
[그림 2-35] 인공지능 분야 중국 연구자의 지리적 연구협력 현황 55
[그림 2-36] 인공지능 분야 중국 연구자의 부문별 연구협력 현황 56
[그림 2-37] 인공지능 분야 중국 연구자의 협력국가 현황 56
[그림 2-38] 중국 상위 100위 및 500위 연구자 그룹의 지리적 연구협력 현황 57
[그림 2-39] 중국 상위 100위 및 500위 연구자 그룹의 부문별 연구협력 현황 57
[그림 2-40] 중국 상위 100위 연구자 그룹의 연구키워드 분석 59
[그림 2-41] 중국 상위 500위 연구자 그룹의 연구키워드 분석 59
[그림 2-42] 인공지능 분야 인도 연구자의 논문 수 60
[그림 2-43] 인도 상위 10개 학술ㆍ연구기관별 논문 및 연구자 수 60
[그림 2-44] 인공지능 분야 인도 연구자의 연구협력 현황 61
[그림 2-45] 인공지능 분야 인도 연구자의 지리적 연구협력 현황 61
[그림 2-46] 인공지능 분야 인도 연구자의 부문별 연구협력 현황 62
[그림 2-47] 인공지능 분야 인도 연구자의 협력국가 현황 62
[그림 2-48] 인도 상위 100위 및 500위 연구자 그룹의 지리적 연구협력 현황 63
[그림 2-49] 인도 상위 100위 및 500위 연구자 그룹의 부문별 연구협력 현황 63
[그림 2-50] 인도 상위 100위 연구자 그룹의 연구키워드 분석 65
[그림 2-51] 인도 상위 500위 연구자 그룹의 연구키워드 분석 65
[그림 2-52] 인공지능 분야 영국 연구자의 논문 수 66
[그림 2-53] 영국 상위 10개 학술ㆍ연구기관별 논문 및 연구자 수 66
[그림 2-54] 인공지능 분야 영국 연구자의 연구협력 현황 67
[그림 2-55] 인공지능 분야 영국 연구자의 지리적 연구협력 현황 67
[그림 2-56] 인공지능 분야 영국 연구자의 부문별 연구협력 현황 68
[그림 2-57] 인공지능 분야 영국 연구자의 협력국가 현황 68
[그림 2-58] 영국 상위 100위 및 500위 연구자 그룹의 지리적 연구협력 현황 69
[그림 2-59] 영국 상위 100위 및 500위 연구자 그룹의 부문별 연구협력 현황 69
[그림 2-60] 영국 상위 100위 연구자 그룹의 연구키워드 분석 71
[그림 2-61] 영국 상위 500위 연구자 그룹의 연구키워드 분석 71
[그림 2-62] 인공지능 분야 일본 연구자의 논문 수 72
[그림 2-63] 일본 상위 10개 학술ㆍ연구기관별 논문 및 연구자 수 72
[그림 2-64] 인공지능 분야 일본 연구자의 연구협력 현황 73
[그림 2-65] 인공지능 분야 일본 연구자의 지리적 연구협력 현황 73
[그림 2-66] 인공지능 분야 일본 연구자의 부문별 연구협력 현황 74
[그림 2-67] 인공지능 분야 일본 연구자의 협력국가 현황 74
[그림 2-68] 일본 상위 100위 및 500위 연구자 그룹의 지리적 연구협력 현황 75
[그림 2-69] 일본 상위 100위 및 500위 연구자 그룹의 부문별 연구협력 현황 75
[그림 2-70] 일본 상위 100위 연구자 그룹의 연구키워드 분석 77
[그림 2-71] 일본 상위 500위 연구자 그룹의 연구키워드 분석 77
[그림 2-72] 첨단바이오 분야 석사 학위 취득 국가 85
[그림 2-73] 첨단바이오 분야 박사 학위 취득 국가 88
[그림 2-74] 첨단바이오 분야 연구경력 횟수 88
[그림 2-75] 첨단바이오 분야 연구 경력 경로 89
[그림 2-76] 첨단바이오 분야 연구경력 직급/직위 90
[그림 2-77] 첨단바이오 분야 연구경력 기간 90
[그림 2-78] 첨단바이오 분야 연구경력 국가 91
[그림 2-79] 첨단바이오 분야 핵심연구자로 성장하는 과정에서의 교육ㆍ연구 인프라 충분성 91
[그림 2-80] 첨단바이오 분야 교육ㆍ연구 인프라 충분성 92
[그림 2-81] 첨단바이오 분야 국내 산ㆍ학ㆍ연 연구기반 충분성 93
[그림 2-82] 첨단바이오 분야 연구비 수준의 충분성 94
[그림 2-83] 첨단바이오 분야 연구활동 수행을 위한 연구비 재원 구성(1) - 정부 연구비 94
[그림 2-84] 첨단바이오 분야 연구활동 수행을 위한 연구비 재원 구성(2) - 정부 외 연구비 95
[그림 2-85] 첨단바이오 분야 연구활동 수행 항목별 만족도(1) - 연구비 규모 95
[그림 2-86] 첨단바이오 분야 연구활동 수행 항목별 만족도(2) - 수행 참여 인력의 규모 및 수준 96
[그림 2-87] 첨단바이오 분야 연구활동 수행 항목별 만족도(3) - 인프라ㆍ환경 96
[그림 2-88] 첨단바이오 분야 연구활동 수행 항목별 만족도(4) - 정부 지원 수준 97
[그림 2-89] 첨단바이오 분야 공동연구 참여 여부 97
[그림 2-90] 첨단바이오 분야 공동연구 참여 경험 횟수 98
[그림 2-91] 첨단바이오 분야 공동연구 참여 경험(1) - 공동연구 유형 98
[그림 2-92] 첨단바이오 분야 공동연구 참여 경험(2) - 공동연구 협력 대상 99
[그림 2-93] 첨단바이오 분야 공동연구 참여 경험(3) - 공동연구 유형별 협력대상 100
[그림 2-94] 첨단바이오 분야 향후 공동연구 참여 의향 102
[그림 2-95] 첨단바이오 분야 공동연구 활성화 여부 102
[그림 2-96] 첨단바이오 분야 공동연구 지속 확대 필요성 103
[그림 2-97] 첨단바이오 분야 국제협력 참여 여부 104
[그림 2-98] 첨단바이오 분야 국제협력 참여 경험 횟수 104
[그림 2-99] 첨단바이오 분야 국제협력 참여 경험(1) - 협력 국가 105
[그림 2-100] 첨단바이오 분야 국제협력 참여 경험(2) - 협력 기관 105
[그림 2-101] 첨단바이오 분야 국제협력 참여 경험(3) - 협력 형태 107
[그림 2-102] 첨단바이오 분야 국제협력 참여 경험(4) - 협력 경로 108
[그림 2-103] 첨단바이오 분야 국제협력 참여 경험(5) - 협력 기관별 협력 형태 109
[그림 2-104] 첨단바이오 분야 국제협력 참여 경험(6) - 협력 기관별 협력 경로 110
[그림 2-105] 첨단바이오 분야 국제협력 참여 경험(7) - 협력 형태별 협력 경로 111
[그림 2-106] 첨단바이오 분야 향후 국제협력 참여 의향 113
[그림 2-107] 첨단바이오 분야 국제협력 활성화 여부 113
[그림 2-108] 첨단바이오 분야 국제협력 지속 확대 필요성 114
[그림 2-109] 첨단바이오 분야 박사학위 취득자에 대한 산ㆍ학ㆍ연 내 진출 경로의 충분성 115
[그림 2-110] 첨단바이오 분야 박사학위 취득 후 주요 진출 경로 117
[그림 2-111] 첨단바이오 분야 인재의 해외 유출 완화 및 국내 경력 유지를 위해 해결해야 할 우선과제 119
[그림 2-112] 첨단바이오 분야 특화 교육ㆍ연구거점의 필요성 121
[그림 2-113] 첨단바이오 분야 정부 정책 지원의 전반적인 효과 123
[그림 2-114] 첨단바이오 분야 정부 정책 지원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 123
[그림 2-115] 인공지능 분야 석사 학위 취득 국가 129
[그림 2-116] 인공지능 분야 박사 학위 취득 국가 132
[그림 2-117] 인공지능 분야 연구 경력 횟수 132
[그림 2-118] 인공지능 분야 연구 경력 경로 133
[그림 2-119] 인공지능 분야 연구경력 직급/직위 134
[그림 2-120] 인공지능 분야 연구경력 기간 134
[그림 2-121] 인공지능 분야 연구경력 국가 135
[그림 2-122] 인공지능 분야 핵심연구자로 성장하는 과정에서의 교육ㆍ연구 인프라 충분성 135
[그림 2-123] 인공지능 분야 교육ㆍ연구 인프라 충분성 136
[그림 2-124] 산업계에서 필요로 하는 주요 직종별 핵심 연구자 공급 현황(1) - 데이터과학자 136
[그림 2-125] 산업계에서 필요로 하는 주요 직종별 핵심 연구자 공급 현황(2) - 데이터 분석가 137
[그림 2-126] 산업계에서 필요로 하는 주요 직종별 핵심 연구자 공급 현황(3) - 데이터 기술자 137
[그림 2-127] 산업계에서 필요로 하는 주요 직종별 핵심 연구자 공급 현황(4) - 기타 138
[그림 2-128] 인공지능 분야 연구비 수준의 충분성 138
[그림 2-129] 인공지능 분야 연구활동 수행을 위한 연구비 재원 구성(1) - 정부 연구비 139
[그림 2-130] 인공지능 분야 연구활동 수행을 위한 연구비 재원 구성(2) - 정부 외 연구비 139
[그림 2-131] 인공지능 분야 연구활동 수행 항목별 만족도(1) - 연구비 규모 140
[그림 2-132] 인공지능 분야 연구활동 수행 항목별 만족도(2) - 수행 참여 인력의 규모 및 수준 140
[그림 2-133] 인공지능 분야 연구활동 수행 항목별 만족도(3) - 인프라ㆍ환경 141
[그림 2-134] 인공지능 분야 연구활동 수행 항목별 만족도(4) - 정부 지원 수준 141
[그림 2-135] 인공지능 분야 공동연구 참여 여부 142
[그림 2-136] 인공지능 분야 공동연구 참여 경험 횟수 142
[그림 2-137] 인공지능 분야 공동연구 참여 경험(1) - 공동연구 유형 143
[그림 2-138] 인공지능 분야 공동연구 참여 경험(2) - 공동연구 협력 대상 143
[그림 2-139] 인공지능 분야 공동연구 참여 경험(3) - 공동연구 유형별 협력대상 145
[그림 2-140] 인공지능 분야 향후 공동연구 참여 의향 147
[그림 2-141] 인공지능 분야 공동연구 활성화 여부 147
[그림 2-142] 인공지능 분야 공동연구 지속 확대 필요성 148
[그림 2-143] 인공지능 분야 국제협력 참여 여부 149
[그림 2-144] 인공지능 분야 국제협력 참여 경험 횟수 149
[그림 2-145] 인공지능 분야 국제협력 참여 경험(1) - 협력 국가 150
[그림 2-146] 인공지능 분야 국제협력 참여 경험(2) - 협력 기관 151
[그림 2-147] 인공지능 분야 국제협력 참여 경험(3) - 협력 형태 152
[그림 2-148] 인공지능 분야 국제협력 참여 경험(4) - 협력 경로 153
[그림 2-149] 인공지능 분야 국제협력 참여 경험(5) - 협력 기관별 협력 형태 153
[그림 2-150] 인공지능 분야 국제협력 참여 경험(6) - 협력 기관별 협력 경로 155
[그림 2-151] 인공지능 분야 국제협력 참여 경험(7) - 협력 형태별 협력 경로 156
[그림 2-152] 인공지능 분야 향후 국제협력 참여 의향 158
[그림 2-153] 인공지능 분야 국제협력 활성화 여부 158
[그림 2-154] 인공지능 분야 국제협력 지속 확대 필요성 159
[그림 2-155] AI 연구거점의 구축ㆍ운영 필요성 159
[그림 2-156] AI+X 대비 X+AI의 효과성 160
[그림 2-157] 타 분야 전문인재의 AI 연구역량 개발을 위한 정부 지원의 충분성 162
[그림 2-158] 타 분야 전문인재의 AI 연구역량 개발을 위한 정부 지원의 필요성 164
[그림 2-159] 인공지능 분야 정부 정책 지원의 전반적인 효과 166
[그림 2-160] 인공지능 분야 정부 정책 지원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 166
[그림 2-161] 첨단바이오 분야 교육ㆍ연구 인프라가 충분하지 못한 이유 및 개선방안: 키워드 분석 및 의견 유형 167
[그림 2-162] 첨단바이오 분야 국내 산ㆍ학ㆍ연 연구기반이 부족한 이유 및 개선방안: 키워드 분석 및 의견 유형 169
[그림 2-163] 첨단바이오 분야 공동연구 수행과정에서의 애로사항: 키워드 분석 및 의견 유형 172
[그림 2-164] 첨단바이오 분야 공동연구 확대 필요 유형 및 방식: 키워드 분석 및 의견 유형 174
[그림 2-165] 첨단바이오 분야 국제협력 수행과정에서의 애로사항: 키워드 분석 및 의견 유형 176
[그림 2-166] 첨단바이오 분야 국제협력의 효과적인 방식 및 방안: 키워드 분석 및 의견 유형 178
[그림 2-167] 첨단바이오 분야 박사학위 취득자의 산ㆍ학ㆍ연 진출경로가 부족한 이유: 키워드 분석 및 의견 유형 182
[그림 2-168] 첨단바이오 분야 특화 교육ㆍ연구거점의 효과적인 추진 및 운영 방안: 키워드 분석 및 의견 유형 184
[그림 2-169] 첨단바이오 분야 정부 정책 지원에 대한 만족도가 낮은 이유 및 개선방안: 키워드 분석 및 의견 유형 187
[그림 2-170] 첨단바이오 분야 정부 정책 지원에 대한 만족도가 낮은 이유: 키워드 분석 및 의견 유형 188
[그림 2-171] 첨단바이오 분야 기타 정책적 개선의견: 키워드 분석 및 의견 유형 189
[그림 2-172] 인공지능 분야 교육ㆍ연구 인프라가 충분하지 못한 이유 및 개선방안: 키워드 분석 및 의견 유형 193
[그림 2-173] 인공지능 분야 '데이터 과학자'가 부족한 이유 및 개선방안: 키워드 분석 및 의견 유형 195
[그림 2-174] 인공지능 분야 '데이터 분석가'가 부족한 이유 및 개선방안: 키워드 분석 및 의견 유형 198
[그림 2-175] 인공지능 분야 '데이터 기술자'가 부족한 이유 및 개선방안: 키워드 분석 및 의견 유형 200
[그림 2-176] 인공지능 분야 공동연구 수행과정에서의 애로사항: 키워드 분석 및 의견 유형 203
[그림 2-177] 인공지능 분야 공동연구 확대 필요 유형 및 방식: 키워드 분석 및 의견 유형 205
[그림 2-178] 인공지능 분야 국제협력 수행과정의 애로사항: 키워드 분석 및 의견 유형 208
[그림 2-179] 인공지능 분야 향후 국제협력 미참여 이유: 키워드 분석 및 의견 유형 210
[그림 2-180] 인공지능 분야 국제협력의 지속적 확대가 불필요한 이유: 키워드 분석 및 의견 유형 212
[그림 2-181] AI 연구거점의 효과적인 추진 방안: 키워드 분석 및 의견 유형 214
[그림 2-182] 인공지능 분야 효과적인 국제협력 방식 및 방안: 키워드 분석 및 의견 유형 217
[그림 2-183] 인공지능 분야 인재양성을 위해 AI+X가 더 효과적인 이유: 키워드 분석 및 의견 유형 220
[그림 2-184] 인공지능 분야 인재양성을 위해 X+AI가 더 효과적인 이유: 키워드 분석 및 의견 유형 222
[그림 2-185] 인공지능 분야 정부 지원이 부족하다고 생각하는 이유: 키워드 분석 및 의견 유형 224
[그림 2-186] X+AI 인재양성을 위한 적절한 교육ㆍ훈련 과정 및 지원방안: 키워드 분석 및 의견 유형 226
[그림 2-187] 타 분야 전문인재에게 요구되는 인공지능 분야 지식 및 역량: 키워드 분석 및 의견 유형 229
[그림 2-188] X+AI 양성을 위한 효과적인 방안: 키워드 분석 및 의견 유형 232
[그림 2-189] 정부 정책 지원의 전반적인 효과가 적다고 생각하는 이유 및 개선방안: 키워드 분석 및 의견 유형 236
[그림 2-190] 인공지능 분야 정부 정책 지원에 대한 만족도가 낮은 이유: 키워드 분석 및 의견 유형 237
[그림 2-191] 인공지능 분야 주요 이슈와 연구 분야 전망: 키워드 분석 및 의견 유형 238
[그림 2-192] 인공지능 분야 기타 정책적 개선의견: 키워드 분석 및 의견 유형 2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