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요약 3
제1장 연구개요 19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20
2. 연구 방법 22
제2장 케어팜과 사회서비스 24
1. 케어팜의 개념 및 특성 25
2. 사회서비스의 개념 및 유형 36
3. 주요 사회서비스 정책 39
4. 소결 50
제3장 국외 케어팜 동향 및 사례 52
1. 유럽의 소셜파밍 지원 정책 53
2. 네덜란드 실천 사례 59
3. 소결 68
제4장 국내 케어팜 정책 현황 72
1. 케어팜 관련 법률과 조례 73
2. 중앙정부 및 주요 지자체 정책 81
3. 충청남도 정책 현황 92
4. 소결 96
제5장 케어팜 실천 사례 97
1. 조사개요 98
2. 케어팜 실천 사례 99
3. 소결 123
제6장 케어팜에 대한 수요조사 125
1. 심층면접 조사 126
2. 시범프로그램 운영 및 설문조사 165
3. 소결 178
제7장 결론 및 제언 180
1. 케어팜의 사회서비스 적용방안 181
2. 케어팜 활성화를 위한 과제 203
3. 연구의 한계 207
참고문헌 208
설문지 213
판권기 218
〈표 2-1〉 케어팜 관련 법률 및 주요 정책적 정의 25
〈표 2-2〉 국내외 학술 문헌에 나타난 케어팜 관련 용어의 의미 26
〈표 2-3〉 케어팜의 목적 및 참여대상에 따른 유형 28
〈표 2-4〉 국내 케어팜 프로그램의 유형별 특성 28
〈표 2-5〉 의식주 주제별 활동 개념과 구성요소 30
〈표 2-6〉 회기별 활동 및 주요 내용 30
〈표 2-7〉 사회적농업 추진사례 32
〈표 2-8〉 케어팜과 연계 가능한 주요 사회서비스(예시) 39
〈표 2-9〉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사업현황 41
〈표 2-10〉 제공기관 등록기준 42
〈표 2-11〉 발달장애인 주간활동서비스 지원의 주요 내용 44
〈표 2-12〉 제공기관 시설 및 인력기준 46
〈표 2-13〉 청소년 방과후 돌봄서비스 지원 47
〈표 2-14〉 제공기관 시설 및 인력기준 48
〈표 2-15〉 노인맞춤돌봄서비스 내용 49
〈표 2-16〉 본 연구의 주안점 50
〈표 3-1〉 네덜란드 케어파밍의 발전(2007~2018) 60
〈표 3-2〉 주요 이용자 유형 별 케어팜의 비율 60
〈표 3-3〉 네덜란드 케어팜의 관련법 62
〈표 3-4〉 네덜란드 케어팜에서 활용가능한 보건복지관련 제도 63
〈표 3-5〉 네덜란드 케어팜 이용 절차 65
〈표 3-6〉 네덜란드 케어팜의 품질인증 워크북 항목 재구성 67
〈표 4-1〉 「치유농업 연구개발 및 육성에 관한 법률」 주요 내용 73
〈표 4-2〉 「충청남도 사회적농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조례」 주요 내용 76
〈표 4-3〉 「충청남도 치유농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조례」 주요 내용 78
〈표 4-4〉 충청남도 도내 시군 치유농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조례 제정 현황 79
〈표 4-5〉 사회적 농업 및 치유농업 관련 조례 현황 80
〈표 4-6〉 농림축산식품부 「사회적농업 활성화 지원」 사업 주요 내용 81
〈표 4-7〉 2023년 사회적 농업 활성화 지원사업 내용 84
〈표 4-8〉 2022년 충청북도 치유농업 연구개발 및 육성 시행계획 주요 내용 89
〈표 4-9〉 충청남도 농촌치유농장 현황 92
〈표 4-10〉 충청남도 농촌치유농장 연도별 현황 92
〈표 4-11〉 충청남도 치유농업센터 구축내용 94
〈표 4-12〉 충청남도 2022년 지역별 개발 기술보급 시행계획 내용 95
〈표 5-1〉 사례조사 참여기관 98
〈표 5-2〉 전북 완주군 「드림뜰 힐링팜」 일반적 현황 99
〈표 5-3〉 프로그램 진행과정 101
〈표 5-4〉 충북 진천군 「생거진천 케어팜」 일반적 현황 104
〈표 5-5〉 마을단위 돌봄 유사 사례(충남 홍성군 '행복농장') 110
〈표 5-6〉 충남지역사회서비스지원단 「마음챙김 바우처프로그램」 일반적 현황 112
〈표 5-7〉 회기별 프로그램 구성 및 세부 진행내용 115
〈표 5-8〉 조사도구 구성 119
〈표 5-9〉 서비스 참여 이후 이용자들의 변화 120
〈표 6-1〉 연구참여자(농장 관계자) 127
〈표 6-2〉 연구참여자(농장 이용자) 127
〈표 6-3〉 연구참여자(케어팜 관련 전문가) 127
〈표 6-4〉 심층면접 주요 연구질문 128
〈표 6-5〉 케어팜 농장주 대상의 주요 연구질문과 내용(요약) 129
〈표 6-6〉 케어팜 이용자 대상의 주요 연구질문과 내용(요약) 156
〈표 6-7〉 케어팜 전문가 대상의 주요 연구질문과 내용 159
〈표 6-8〉 시범프로그램 진행과정 165
〈표 6-9〉 일반적 사항 166
〈표 6-10〉 프로그램 만족도 167
〈표 6-11〉 참여경험 168
〈표 6-12〉 참여의향 168
〈표 6-13〉 적정 참여 횟수 169
〈표 6-14〉 적정 참여 기간 169
〈표 6-15〉 가장 선호하는 프로그램(사회서비스 종사자) 170
〈표 6-16〉 1회당 적정 본인부담금(사회서비스 종사자) 171
〈표 6-17〉 서비스 필요정도 171
〈표 6-18〉 가장 적합한 서비스 영역(사회서비스 이용자) 172
〈표 6-19〉 적정 기간 173
〈표 6-20〉 1회당 적정 시간 173
〈표 6-21〉 적정 횟수와 본인인부담금(서비스 이용자) 174
〈표 6-22〉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되는 정도 174
〈표 6-23〉 프로그램 참여 소감 175
〈표 6-24〉 프로그램 진행과정의 개선점 176
〈표 6-25〉 희망하는 프로그램 및 사업 제안 176
〈표 6-26〉 케어팜 활성화를 위한 제안 177
〈표 7-1〉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적용방안 184
〈표 7-2〉 사회적농장의 장애인 일자리ㆍ돌봄 제공 사례(사회적기업 콩세알) 187
〈표 7-3〉 탈시설 장애인 자립지원사업 적용방안 188
〈표 7-4〉 케어팜을 통한 탈시설 장애인 자립지원 모형(안) 189
〈표 7-5〉 분야별 돌봄서비스의 세부 내용 191
〈표 7-6〉 치매예방관리사업과 연계한 치유농업 프로그램 사례(서천군) 191
〈표 7-7〉 사회적 농업 네트워크를 통한 서비스 제공 예시(홍성군 장곡면 사례) 193
〈표 7-8〉 돌봄 파트너십 구축 방안 195
〈표 7-9〉 돌봄 파트너십 단계별 추진과정 195
〈표 7-10〉 2022년 충남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 구분 197
〈표 7-11〉 서비스 기준정보(안) 예시 198
〈표 7-12〉 주간활동 프로그램 예시 199
〈표 7-13〉 주간활동서비스 제공 사례 200
〈표 7-14〉 발달장애인이 참여하는 케어팜 프로그램 사례 201
[그림 2-1] 사회서비스의 개념 36
[그림 2-2] 사회서비스 전략적 선택에 따른 유형화 기제 38
[그림 3-1] 스위스농업장애인재단(Lub)의 역할 59
[그림 4-1] 제1차 치유농업 연구개발 및 육성 종합계획('22~'26) 비전 및 목표 86
[그림 4-2] 2022년도 경기도 치유농업 육성 기본계획 추진방향 88
[그림 4-3] 2022년도 경상남도 치유농업 육성 기본계획 추진방향 91
[그림 4-4] 충청남도 치유농업 육성계획 95
[그림 5-1] 드림뜰 힐링팜 농장환경 100
[그림 5-2]/[그림 5-3] 드림뜰 힐링팜 주요 프로그램 102
[그림 5-3]/[그림 5-4] 케어팜과 사회서비스, 사회적 경제조직의 연계 현황 105
[그림 5-4]/[그림 5-5] 서비스 제공 절차 106
[그림 5-5]/[그림 5-6] 진천군 사회적 농업 실천을 위한 업무협약 내용 107
[그림 5-6]/[그림 5-7] 마을 단위 케어팜 프로그램 진행 장면 및 조성 과정 109
[그림 5-7]/[그림 5-8] 프로그램 홍보 및 신청 안내문 113
[그림 5-8]/[그림 5-9] 프로그램 구성 내용 114
[그림 5-9]/[그림 5-10] 사업 추진체계 및 기관 별 역할 118
[그림 5-10]/[그림 5-11] 사전-사후 검사 결과 119
[그림 6-1] 충남 홍성 O농장의 '기록농사' 144
[그림 6-2] 적정 참여 횟수 169
[그림 6-3] 적정 참여 기간 169
[그림 6-4] 가장 선호하는 프로그램(사회서비스 종사자) 170
[그림 6-5] 1회당 적정 본인부담금 171
[그림 6-6] 가장 적합한 서비스 영역(사회서비스 이용자) 172
[그림 6-7] 적정 기간 173
[그림 6-8] 적정 시간 173
[그림 6-9] 적정 횟수와 본인부담금 174
[그림 7-1] 영역 간 연계ㆍ협력 방안 181
[그림 7-2] 노인맞춤돌봄서비스-케어팜 연계 추진 체계 185
[그림 7-3] 탈시설 장애인 지역사회 자립지원 시범사업(충남 서산시) 186
[그림 7-4] 생거진천 케어팜 지역사회 네트워크 192
[그림 7-5] 홍성군 장곡면 사회적 농업 네트워크 194
[그림 7-6] 발달장애인 주간활동서비스 바우처 제공 체계 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