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판 서문 서문 1장 이끄는 말: 문화 융합의 양식1.1 역사에 의해 망각된 과제 1.2 사상 변천의 장기적 양식은 있는가? 1.3 일체화 구조 속의 이데올로기 1.4 도덕가치 일원론과 천인합일의 구조 1.5 ‘당위’의 확장 중국 문화의 연속성이라는 수수께끼 1.6 외부의 충격이 중국 문화에 영향을 미치는 방식 도덕의 바람직성 파괴 1.7 가치의 역전은 외래문화를 선택적으로 흡수하고 창조적으로 재건했다 1.8 상식이성, 문화 융합, 그리고 이 책의 내용과 구조 2장 제1차 융합2.1 ‘당위’ 세계가 직면한 세 가지 큰 충격 고문경, 자연재해, 소수민족의 침입 2.2 가치 역전 및 ‘천도 무위天道無爲’ 2.3 도덕의 형이상학화, 그리고 제멋대로 하는 기풍放誕風氣 2.4 수신修身과 불교 2.5 중국 문화의 불교에 대한 선택적 흡수와 창조적 재구성 2.6 위진 현학의 세 단계 2.7 현상식 도덕의 기원과 초월의식의 형성 2.8 상식이성常識理性은 어떻게 성숙되었는가? 2.9 중국 문화의 상이한 세 층위 3장 이성화 그리고 이데올로기 재설계3.1 수·당 시기의 문화3.2 유학의 사회적 기능에 대한 상식이성의 지지와 모순 3.3 관념 정합과 이성화 3.4 유학은 불교의 사변과 수신 방법을 어떻게 이용했나? 3.5 이성화의 첫째 경로 정주이학 3.6 이성화의 두 번째 경로 육왕심학陸王心學 3.7 송명이학 제3계열과 단절형 3.8 중국 문화의 이성 구조 4장 외래 충격과 중국 근대 전통4.1 서양의 두 차례 확장 4.2 사공을 강화하는 변이 4.3 경세치용과 청초 사상의 계보 4.4 왕선산 철학의 구조 4.5 황종희의 기론과 『명이대방록』 4.6 대진은 어떻게 기론으로 ‘이리살인’을 비판했나? 4.7 중국 현대사상과 ‘유학이 사공을 강화하는 변이’의 관계 5장 청대 사상 변천의 내재적 동력5.1 고증과 박학의 성행 5.2 중국 ‘과학주의’의 원천 5.3 청대 사상 변천의 큰 추세 5.4 왜 중국 근대 전통은 서양 현대화의 도전에 대처할 수 없었나? 5.5 유가 이데올로기의 현대적 전환이 마주친 문제 6장 경세치용의 흥기와 실패6.1 경세치용의 세 단계 6.2 태평천국 농민 전쟁과 이학 경세파 6.3 양무운동의 한계 6.4 서양의 영향이 가진 주변부적 성질 6.5 판결적 검증의 추세로 나아가다 6.6 전환기의 시작 7장 혁명 유토피아의 기원7.1 중국 현대사상의 발단 7.2 첫 번째 가치 역전 혁명 인생관과 혁명 도의 7.3 두 번째 가치 역전 중국식 진보관 7.4 유기론, 상력설尙力說, 변증법적 유물론 7.5 세 번째 가치 역전 대동 이상과 공산주의 7.6 무정부주의의 유형 7.7 혁명 유토피아, 포퓰리즘, 의사불학 7.8 두 차례 가치 역전의 구조적 비교 8장 제2차 융합의 논리8.1 서양 근현대 사상 변천의 큰 추세 8.2 왜 과학일원론이 이원론을 대체했는가? 8.3 도덕과 다른 종류의 정당성 권리의 기원 8.4 경험주의, 이성주의, 사회주의 8.5 국가의 독립과 개인의 자주 8.6 권리의 도덕화 과정 8.7 중국 문화는 어떻게 서양 근현대 사상을 선택했나?8.8 제2차 융합의 세 단계역자 후기부록: 오늘날 사회사상 위기의 근원을 논함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