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요약 3
제1장 연구개요 30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1
2. 연구의 내용 34
제2장 사회적 고립과 은둔 청년 문헌검토 41
1. 사회적 고립 청년의 개념 및 선행연구 고찰 42
2. 은둔 청년의 개념 및 선행연구 고찰 45
제3장 청년 사회적 고립 및 은둔 실태 48
1. 청년 사회적 고립 실태와 사회적 고립 청년의 정의 49
2. 1인 가구 청년과 미혼 니트(NEET) 청년 규모 비교 53
3. 사회적 고립 위험 청년의 주관적 의식 72
4. 소결 82
제4장 국내 사회적 고립 및 은둔 청년 정책 85
1. 중앙정부의 사회적 고립 청년 지원정책 86
2. 지자체의 사회적 고립 청년 지원정책 93
3. 민간의 사회적 고립 청년 지원정책 103
제5장 해외 사회적 고립 청년 정책 105
1. 일본 106
2. 미국 111
3. 핀란드 117
제6장 사회적 고립 은둔 청년 실태조사 121
1. 조사개요 122
2. 조사 결과 125
3. 소결 168
제7장 사회적 고립 은둔 청년 지원정책 제언 174
1. 사회적 고립 은둔 청년 지원정책 방향 175
2. 지속가능한 지원체계 구축 183
참고문헌 190
[부록] 193
판권기 201
〈표 1-1〉 사회적 고립의 정의 34
〈표 1-2〉 자문회의 개최 38
〈표 1-3〉 정책간담회 개최 39
〈표 1-4〉 연구추진체계 40
〈표 2-1〉 국외 연구자의 사회적 고립 개념 43
〈표 2-2〉 국내 선행연구기반으로 한 사회적 고립 구분 43
〈표 3-1〉 지역별 가족 형태에 따른 미혼 청년 인구 55
〈표 3-2〉 지역별 니트(NEET) 청년 인구 57
〈표 3-3〉 지역별 '쉬었음' 청년 규모와 비중 61
〈표 3-4〉 지역별 은둔 청년 규모 68
〈표 3-5〉 충청남도 은둔 청년 은둔 기간 70
〈표 3-6〉 은둔 이유 70
〈표 3-7〉 은둔 상태에 따른 청년들의 생활만족도 73
〈표 3-8〉 은둔 상태에 따른 청년들의 건강실태 74
〈표 3-9〉 교육 수준 75
〈표 3-10〉 주관적 만족감 76
〈표 3-11〉 성취 만족도 76
〈표 3-12〉 주관적 계층의식 77
〈표 3-13〉 음주 횟수 78
〈표 3-14〉 항후 늘려야 한다고 생각하는 공공시설 79
〈표 3-15〉 향후 늘려야 할 복지 서비스 80
〈표 3-16〉 선호하는 직장 81
〈표 4-1〉 「청년기본법」 취약계층 지원 관련 개정내용 86
〈표 4-2〉 청년 관련 법안 사회적 고립ㆍ은둔 관련 조항 87
〈표 4-3〉 2023년 제1차 청년정책기본계획 시행계획 사회적 고립ㆍ은둔 청년 관련 과제(중앙) 89
〈표 4-4〉 여성가족부 후기청소년 자립지원 사업 92
〈표 4-5〉 광역시 사회적 고립ㆍ은둔 청년 관련 지자체 조례 93
〈표 4-6〉 광역도 청년 은둔ㆍ고립 관련 지자체 조례 97
〈표 4-7〉 2023년 제1차 청년정책기본계획 시행계획 사회적 고립ㆍ은둔 청년 관련 과제(지자체) 100
〈표 5-1〉 미국의 연방 청년지원 실무단 참여 기관 111
〈표 6-1〉 사회적 고립 은둔 청년 설문조사 일정 122
〈표 6-2〉 조사 영역 및 내용 124
〈표 6-3〉 응답자 일반 현황 126
〈표 6-4〉 생활권별 은둔 정도 세 집단 비율 129
〈표 6-5〉 생활권별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사람 있음 비율 130
〈표 6-6〉 스스로 사회적 고립에 대한 인식: 응답자 특성별 비교 132
〈표 6-7〉 사회적 고립(은둔) 생활에 대한 자발적 선택 여부: 응답자 특성별 비교 134
〈표 6-8〉 생활권별 타인과의 대화 빈도 140
〈표 6-9〉 생활권별 모임 및 단체 참여 비율 142
〈표 6-10〉 충남에서 시행하고 있는 청년 일자리정책 162
〈표 6-11〉 충남 청년 일자리정책 필요도, 우선순위(필요도) 은둔정도 집단별 비교 163
〈표 6-12〉 충남 청년 마음건강 및 소득지원 정책 164
〈표 6-13〉 충남 청년 마음건강 및 소득지원 정책 필요도, 우선순위(시급성) 은둔 정도 집단 비교 164
〈표 6-14〉 충남에서 시행하고 있는 청년문화ㆍ교육정책 165
〈표 6-15〉 충남 청년문화ㆍ교육정책 필요도, 우선순위(시급성) 은둔정도 집단별 비교 166
〈표 6-16〉 충남 청년정책 필요도, 우선순위(시급성) 생활권별 비교 167
[그림 1-1] 충청남도 연령별 자살 현황 33
[그림 1-2] 실태조사 유형 및 주요내용 37
[그림 1-3] 사회적 고립 은둔 청년 정책 과제 도출 38
[그림 3-1] 미혼 청년 인구 중 1인 가구 비율 54
[그림 3-2] 지역별 1인 가구 청년 중 니트(NEET) 청년 비중 55
[그림 3-3] 지역별 미혼 청년 중 니트(NEET) 청년 비중 57
[그림 3-4] 니트(NEET) 청년 중 사회활동 참여 없음 청년 비중 60
[그림 3-5] 전체 청년 중 사회활동이 없는 니트(NEET) 청년 비중 60
[그림 3-6] 청년 남성의 '쉬었음' 비중 62
[그림 3-7] 30-39세 청년의 '쉬었음' 비율 63
[그림 3-8] 전문대학 이상 학력 청년 중 '쉬었음' 비중 64
[그림 3-9] '쉬었음' 청년 중 1인가구 비율 65
[그림 3-10] '쉬었음' 청년 중 취업 경험이 있는 청년 비율 66
[그림 3-11] 퇴직 기간이 1년 이상인 청년 비율 67
[그림 3-12] 은둔 기간 1년 이상 청년 비율 69
[그림 3-13] 은둔 청년 비취업 비율 71
[그림 4-1] 청년도전지원 사업 운영 모형 91
[그림 4-2] 서울시와 사단법인 씨즈의 두더지땅굴 홈페이지 101
[그림 4-3] 광주시 은둔형 외톨이 지원 센터 홈페이지 102
[그림 4-4] 니트생활자 홈페이지 104
[그림 5-1] 일본의 청년정책 전달체계 107
[그림 5-2] 일본의 니트 청년 지원 기관 홈페이지 108
[그림 5-3] 일본의 은둔형 외톨이 지원 홈페이지 110
[그림 5-4] 미국 중앙정부 청년정책협의체 홈페이지(youth.gov) 112
[그림 5-5] 미국 노동부의 잡 콥스 홈페이지 114
[그림 5-6] 미국 유스빌드 홈페이지 116
[그림 5-7] 핀란드 청년센터 오흐야모 홈페이지 118
[그림 5-8] 핀란드 청년센터 오흐야모 운영체계 119
[그림 6-1] 평소 외출 빈도 127
[그림 6-2] 평소 외출 빈도에 따른 은둔 정도 세 집단 구분 결과 128
[그림 6-3]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사람 있음(전체) 129
[그림 6-4]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사람 있음(은둔 수준별 비교) 131
[그림 6-5] 스스로가 사회적으로 고립되어 있다고 생각하는 경우 133
[그림 6-6] 사회적으로 고립된 시기 135
[그림 6-7] 현재 생활(사회적 고립/은둔)이 지속되면서 삶의 변화에 대한 인식 136
[그림 6-8] 가장 크게 변화된 부분(1순위, 2순위 합계) 137
[그림 6-9] 타인과의 대화 빈도: 1) 가족(부모/형제/자매)과의 대화(같이 살고 있는 사람 제외) 138
[그림 6-10] 타인과의 대화 빈도: 친구(이성/동성)과의 대화 138
[그림 6-11] 타인과의 대화 빈도: 학교나 회사 동료, 사회에서 관계를 맺은 사람들과 대화(업무상 접촉은 제외) 139
[그림 6-12] 타인과의 대화 빈도 - 타인에게 자신의 이야기를 하는 빈도 139
[그림 6-13] 모임 및 단체 참여 비율 141
[그림 6-14] 현재와 같은 생활이 지속된 기간 143
[그림 6-15] 현재와 같은 생활을 하게 된 계기 144
[그림 6-16] 최근 3개월 학교나 직장생활 외 가장 많이 시간을 보낸 활동 1, 2순위 합계 145
[그림 6-17] 현재 생활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 주관적 건강상태 은둔 정도별 비교 146
[그림 6-18] 일상에서 가장 많이 대화하는 사람 147
[그림 6-19] 주로 사용하는 대화 방식 148
[그림 6-20] 지난주에 수입을 목적으로 1시간 이상 일을 한 비율: 은둔 정도 집단별 비교 149
[그림 6-21] 지난 일주일 동안 직장(학교)/아르바이트, 취업준비를 위해 보낸 시간 150
[그림 6-22] 생활비 마련 방식 151
[그림 6-23] 경제활동에 참여하기 위해 가장 필요한 정책(1, 2순위 합계) 152
[그림 6-24] 향후 구직활동 계획 있다는 응답 비율 153
[그림 6-25] 취/창업 등 구직활동을 하는데 가장 방해가 되는 요인 154
[그림 6-26] 현재까지 가장 길게 경제활동(취업/아르바이트 등)을 한 기간 155
[그림 6-27] 월 평균 생활비 156
[그림 6-28] 월 평균 가장 많이 지출한 내역: 1, 2순위 합계(중복응답) 157
[그림 6-29] 살아있는 가족 유무(있음 비율) 158
[그림 6-30] 부모님과의 관계 159
[그림 6-31] 정서상태 160
[그림 6-32] 부정적 사회적 관계 1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