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요약 및 정책 제언 4
1장 서론 11
1절 연구 배경과 목적 12
1. 연구 배경과 필요성 12
2. 연구 목적 및 기대효과 14
2절 연구방법 16
1. 연구방법 16
2장 취타대와 관련한 이론적 논의 17
1절 무형유산으로서 취타대 18
1. 무형유산의 개념과 유형 18
2. 취타대와 취타의 개념 20
2절 세종시 문화예술 현황과 실태 31
1. 문화예술 및 취타대 관련 연구 동향 31
3장 세종시 현황 및 주요 사례 조사 34
1절 세종시 문화예술 환경의 현황과 실태 35
1. 세종시 문화예술활동 현황 35
2. 세종시 문화예술 및 취타대 관련 정책 동향 39
2절 전통예술단 구성에 관한 주요 사례 42
1. 지자체 조례를 통해 본 '전통예술단'과 '취타대' 42
2. 내용별 취타대 사례 58
3. 시립 전통예술단 사례 64
4. 사례의 시사점 68
4장 세종시 취타대 창단을 위한 전략과 운영 방안 69
1절 비전 및 기본구상 70
1. 기본구상 수립을 위한 환경 분석 70
2. 비전과 운영전략 72
2절 운영 체계의 이해와 제안 77
1. 상임 단원 운영 방식 77
2. 비상임 단원 운영 방식 78
3. 프로젝트 운영 방식 79
3절 전통예술단 창단의 전제와 현실적 로드맵 81
1. 세종시 전통예술단 창단의 전제 81
2. 세종시 전통예술단 창단의 현실적 로드맵 82
5장 결론 84
1절 연구 결과의 종합 85
2절 정책 건의 88
참고문헌 89
[부록] 92
판권기 3
[표 2-1] 무형유산의 구분과 예시 19
[표 2-2] 군례악의 편성와 규모 비교 24
[표 3-1] 인구 10만 명당 문화예술활동 건수(2022) 36
[표 3-2] 세종특별자치시 문화예술활동 현황(2020~2022) 37
[표 3-3] 세종시 문화예술단체 현황 38
[표 3-4] 시흥시 시립예술단 설치 및 운영 조례, 시행규칙 42
[표 3-5] 인천광역시 연수구립예술단 설치 및 운영 조례, 시행규칙 45
[표 3-6] 경주시립예술단 설치 및 운영 조례, 시행규칙 47
[표 3-7] 청양군립예술단 설치 및 운영 조례 52
[표 3-8] 김천시청 대취타대 설치ㆍ운영 규정 54
[표 3-9] 김천시청 대취타대 설치ㆍ운영 규정 - 악기별 편제 57
[그림 1-1] 취타대의 구성을 통해 본 기대효과 도식화 15
[그림 1-2] 연구방법 16
[그림 2-1] 1795년 정조의 화성 능행 반차도 중 어가행렬 21
[그림 2-2] 대취타 행진 25
[그림 2-3] 대취타의 주요 악기 27
[그림 2-4] 대취타의 등채와 집사 28
[그림 2-5] 대취타 연주 29
[그림 2-6] 대취타의 복식 30
[그림 3-1] 세종특별자치시 문화예술활동 현황 37
[그림 3-2] 세종무형문화재 전수교육관 교육프로그램 39
[그림 3-3] 2022년 세종축제 취타대 공연 40
[그림 3-4] 2023년 세종축제 취타대 공연 41
[그림 3-5] 지자체 취타대 사례 - 청양군립예술단 54
[그림 3-6] 장애인 취타대 사례 - 춘천 호반취타대 59
[그림 3-7] 주민ㆍ주부 취타대 사례 60
[그림 3-8] 청소년ㆍ어린이 취타대 사례 61
[그림 3-9] 어린이 취타대 사례 - 서울어린이취타대 61
[그림 3-10] 민간 취타대 사례 - 뉴욕취타대 62
[그림 3-11] 뉴욕취타대의 대표적인 활동 사례 63
[그림 4-1] 기본구상 수립을 위한 환경 여건 검토 71
[그림 4-2] 세종시 취타대ㆍ전통예술단 구성을 위한 비전체계도 72
[그림 4-3] 세종시 취타대ㆍ전통예술단 구성을 위한 로드맵 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