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정책건의 3
01. 서론 13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4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7
3. 선행연구 검토 19
02. 산업구조 변화와 첨단산업 분야 고용 변화 28
1. 디지털 전환과 산업구조 변화 29
2. 노동시장 구조 변화 및 미래 인재 역량과 교육 수요 변화 34
1) 미래 노동시장 구조 변화 34
2) 미래 인재 역량과 교육 수요 변화 38
3. 국내 디지털 전환과 인재 수급 구조 변화 42
1) 분석 프레임워크 42
2) 분석방법 및 분석모형 49
3) 분석결과 51
4) 시사점 55
03. 국내외 인재양성 정책 현황 및 프로그램 사례 56
1. 국내외 정책 현황 57
1) 미국 57
2) 일본 61
3) 유럽 64
4) 한국 69
2. 국내외 교육프로그램 사례 76
1) 미국 올린 공과대학교(Olin College of Engineering) 76
2) 독일 미텔슈탄트대학교(Fachhochschule der Mittelstantds) 85
3) 미네르바 대학교(Minerva University) 90
4) 에꼴42(École42) 98
5) 42서울 106
6) 한국반도체아카데미 115
3. 소결 및 시사점 118
04. 산업계 기술인재 양성 정책 수요조사 125
1. 조사개요 126
2. 분석결과 128
3. 분석결과 종합 및 시사점 158
05. 미래 인재양성 정책방향 수립 163
1. 연구결과 종합 및 정책방향 도출 164
1) 연구결과 종합 164
2) 5대 정책방향 도출 167
2. 정책목표 및 방향 169
1) [정책방향1] 첨단 산업 분야 고급 인재 양성 169
2) [정책방향2] 산업체 수요 기반 현장 중심 교육 프로그램 설계 170
3) [정책방향3] 재직자 및 중숙련(정형업무) 근로자 대상 역량 개발 171
4) [정책방향4] 글로벌 우수 고급 인재 유치 및 양성 174
5) [정책방향5] 지역 혁신클러스터 산업기술 인재 육성 및 활용 175
06. '(가칭)미래 혁신인재 아카데미' 설립 및 운영 방안 177
1. 인재상 및 기본 방향 178
2. 설립 주체, 교육 대상 및 선발 방법 182
3. 교육프로그램 184
참고문헌 188
Abstract 192
[부록] 설문지 194
판권기 2
[표 1-1] 중소기업 R&D 인력 재교육 혁신방안 27
[표 2-1] AI 시대에 요구되는 스킬(역량) 유형 40
[표 2-2] 주요 변수의 의미 44
[표 2-3] 산업별 기본 통계량 : 변수별 평균 45
[표 2-4] 본 연구에서의 첨단산업과 비첨단산업의 구분 46
[표 2-5] 기초통계량 48
[표 2-6] 변수의 측정방법 50
[표 2-7] 4차 산업혁명 기술 개발ㆍ활용과 기업고용 : 첨단산업 51
[표 2-8] 4차 산업혁명 기술 개발ㆍ활용과 기업고용 : 비첨단산업 52
[표 2-9] 4차 산업혁명 기술 개발ㆍ활용과 숙련노동 고용 비율 : 첨단산업 53
[표 2-10] 4차 산업혁명 기술 개발ㆍ활용과 숙련노동 고용 비율 : 비첨단산업 54
[표 3-1] 미국 혁신경쟁법의 주요 내용 58
[표 3-2] AI 전략 2019의 4대 목표 및 추가된 AI 전략 2022 61
[표 3-3] AI 전략 2022의 세부 이행과제 62
[표 3-4] 특별 고급 인력 확보제도 63
[표 3-5] 글로벌 인재ㆍ자금 유치를 위한 액션플랜 인재양성 과제 64
[표 3-6] 유럽혁신기술연구소의 4대 기능 65
[표 3-7] HEI 이니셔티브 운영 지침 66
[표 3-8] 하이테크 전략이 강조한 인재 양성 과제 67
[표 3-9] 5대 핵심 분야 인재 양성 정책 주요 내용 70
[표 3-10] 지역주도 인재양성 정책 주요 내용 71
[표 3-11] 100만 디지털 인재 양성의 주요 내용 74
[표 3-12] 올린 공대 2023~2024 SCOPE 프로젝트 81
[표 3-13] 미텔슈탄트대 기술분야 5개 교육과정 89
[표 3-14] 미네르바 대학교의 핵심역량 92
[표 3-15] 미네르바 대학교의 전공분야별 주요 학습 내용 93
[표 3-16] 미네르바 대학교의 평가 결과 및 주요 내용 97
[표 3-17] 에꼴42의 학습 프로그램 주요 내용 101
[표 3-18] 42서울 교육기관 이노베이션 아카데미의 목표 및 전략 106
[표 3-19] 42서울 교육생 운영 제도 107
[표 3-20] 42서울의 차별화 요소 110
[표 3-21] Codyssey의 특징 113
[표 3-22] 2024년 Codyssey 시범운영 현황 114
[표 3-23] 2024년 반도체 아카데미 교육 프로그램 116
[표 3-24] 주요 목표별 각 국가의 인재 정책 119
[표 3-25] 한국과 일본의 외국인 전문 인력 숫자 비교 120
[표 4-1] 미래 인재양성 정책방향 수립을 위한 기업체 설문조사 설계 126
[표 4-2] 미래 인재양성 정책방향 수립을 위한 기업체 설문조사 내용 127
[표 4-3] 조사 대상 기업의 전체 고용 인력 현황 128
[표 4-4] 조사 대상 기업의 R&D 관련직(기술기획, 기술개발 등) 고용 인력 현황 129
[표 4-5] 향후 5년 후 가장 중요해질 것으로 예상되는 스킬(산업별ㆍ규모별) 135
[표 4-6] 산업 분야별 기술인력 채용시 가장 선호하는 학력 수준 140
[표 4-7] 기술인력의 현재 부족 역량 VS. 미래 필요 역량 비교(산업별ㆍ규모별) 142
[표 4-8] 재직자 대상 교육훈련 프로그램 운영 방식(산업별ㆍ규모별) 149
[표 4-9] 교육 대상별 프로그램 방식에 따른 효과 157
[표 4-10] 설문조사 분석결과 요약 160
[표 5-1] Amazon의 Upskilling 2025 프로그램 172
[표 5-2] MS와 Intel의 재직 근로자 대상 멘토링 네트워크 프로그램 사례 173
[표 5-3] 일본의 Global Startup Campus 이니셔티브 주요 내용 175
[그림 1-1] 연구의 주요 내용 및 방법 18
[그림 2-1] 산업의 디지털 전환 개념도 30
[그림 2-2] 디지털 전환에 따른 생산현장 및 산업 간 영향 파급경로 31
[그림 2-3] 디지털 전환 시나리오에 따른 한국 경제사회 영향 전망 33
[그림 2-4] 매크로 트렌드별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 전망(2023~2027) 34
[그림 2-5] 기술도입이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 전망(2023~2027) 35
[그림 2-6] 생성형 AI 도입에 따른 직종별 업무의 자동화 비중의 변동성 37
[그림 2-7] 기업들이 요구하는 근로자의 핵심 스킬의 변화 전망(2023~2027) 38
[그림 2-8] 기업활동조사의 4차 산업혁명 기술 개발 및 활용 설문문항 42
[그림 3-1] 첨단산업 분야의 인력 수급 특성의 변화 69
[그림 3-2] 5대 핵심분야 22대 신기술 70
[그림 3-3] 대학 지원 조직 체계의 변화 71
[그림 3-4] 디지털 인재 양성 정책 추진방향 73
[그림 3-5] 올린 공과대학교 설립 및 특징 76
[그림 3-6] 올린 공대의 커리큘럼 평가 및 개선을 위한 프로세스 78
[그림 3-7] 올린 공대의 단계별 교육과정(수업과 프로젝트 비중 비교) 79
[그림 3-8] 올린 공과대학교의 단계별 교육과정(수업과 프로젝트 비중 비교) 80
[그림 3-9] LINEVISION의 위성통신 개발 프로젝트 포스터 82
[그림 3-10] ForumTM 플랫폼 활용 예시 95
[그림 3-11] IT 솔루션 디자이너 및 개발자, IT 아키텍처 전문가 자격증 취득 과정 103
[그림 3-12] 에꼴42의 캠퍼스 내 개방공간 104
[그림 3-13] 에꼴42의 신축건물 및 시설 105
[그림 3-14] 42서울의 단계별 역량체계 108
[그림 3-15] 42서울의 SW 개발 영역 구분 109
[그림 3-16] 42서울의 동료학습 사진 110
[그림 3-17] 교육 효과성 분석 기준 111
[그림 3-18] 42서울 / Codyssey Two-Track 운영 112
[그림 3-19] Codyssey의 학습 프로세스 114
[그림 3-20] 한국반도체아카데미 교육 개요 117
[그림 3-21] 주요 국가의 인재 양성 및 확보 방안 118
[그림 4-1] 기술인력 신규 채용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인 130
[그림 4-2] 산업 분야별ㆍ기업 규모별 인력 채용시 학력ㆍ전공, 경력에 대한 중요도 131
[그림 4-3] 기술인력 실제 채용후 가장 만족스러운 역량 요인 132
[그림 4-4] 산업 분야별ㆍ기업 규모별 인력 채용후 학력ㆍ전공, 경력에 대한 만족도 133
[그림 4-5] 기술인력 채용시 기대 역량 대비 실제 수준 차이 비교 134
[그림 4-6] 향후 5년 후 가장 중요해질 것으로 예상되는 스킬 135
[그림 4-7] 산업별ㆍ규모별 기술분야 '부족인원 있음' 응답 비중 136
[그림 4-8] 기술인력 부족인원 발생 이유(좌 : 전체, 우 : 산업별ㆍ규모별 Top3 이유) 137
[그림 4-9] 기술인력 부족 문제 해결 노력(좌 : 전체, 우 : 산업별ㆍ규모별 주요 이유) 138
[그림 4-10] 향후 기술인력 운용 전략(좌 : 전체, 우 : 산업별ㆍ규모별 주요 전략) 139
[그림 4-11] 기술인력 육성ㆍ유지ㆍ채용 전략별 선호 비중 139
[그림 4-12] 경력직 기술인력 채용시 가장 선호하는 경력 기간 141
[그림 4-13] 기술인력의 현재 부족 역량 VS. 미래 필요 역량 비교 141
[그림 4-14] 기술인력의 현재 업무 수행 역량(상 : 전체, 하 : 산업별ㆍ규모별) 143
[그림 4-15] 기술인력의 퇴사 후 진로(좌) 및 평균 근속기간(우) 144
[그림 4-16] 일자리 증가와 감소에 가장 영향을 크게 미칠 기술 145
[그림 4-17] 디지털 전환 및 산업환경 변화 대응을 위한 인재육성 및 확보 노력 146
[그림 4-18] 디지털 전환 대응 인재활용 방법 : 비용절감(좌) VS. 기술혁신(우) 147
[그림 4-19] 교육훈련 필요성 인식 및 교육훈련 실시 기업 현황 147
[그림 4-20] 재직자 대상 교육훈련 프로그램 운영 방식 148
[그림 4-21] 디지털 전환 및 산업구조 변화 대응 재직자 직무전환 경험 및 계획 150
[그림 4-22] 재직자 직무전환 필요성 인식 및 직무전환 평균 인력 150
[그림 4-23] 디지털 전환 및 산업환경 변화 대응 기술인력 교육훈련 투자 계획 151
[그림 4-24] 산업 분야별 기술인력 교육훈련 비용 및 기간(현황 VS. 적정) 152
[그림 4-25] 기술인력 교육훈련 프로그램 및 기관 선정시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인 153
[그림 4-26] 현재 추진 중인 정부의 기술인력 교육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 154
[그림 4-27]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기술인재 양성 프로그램 제공 방식 155
[그림 4-28] 정부지원 기술인재 양성 프로그램 운영 필요성 156
[그림 4-29] 가장 시급하게 추진되어야 할 정부 인재양성 프로그램 157
[그림 5-1] 연구 내용 종합 166
[그림 5-2] 연구결과 시사점 및 정책방향 도출 168
[그림 5-3] 정책 목표 및 5대 정책방향 169
[그림 5-4] 지역 혁신클러스터 산업기술 인재 육성 및 활용 추진체계 176
[그림 6-1] '(가칭)미래 혁신인재 아카데미'의 인재상 및 교육 목표 178
[그림 6-2] '(가칭)미래 혁신인재 아카데미'의 전공분야, 교육구성, 파트너 기업 네트워크 예시 180
[그림 6-3] '(가칭)미래 혁신인재 아카데미'의 선발 과정 및 특징 184
[그림 6-4] '(가칭)미래 혁신인재 아카데미'의 강의 개설 절차 및 산학 연계 1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