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는 말스피노자 철학과 함께 영국 소설을 읽는 기쁨 ㆍ61장 스피노자 사유의 세 마디: 존재의 일의성, 욕망과 정서의 윤리, 상상 역량의 덕(훌륭함) ㆍ 23존재의 일의성: ‘신 즉 자연’, 신의 역량 표현으로서 세계 [23]인간의 본질로서 욕망과 정서: 기쁨과 역량의 윤리 [35]상상력의 덕(훌륭함)과 공통 관념: 픽션의 역량 [50]1부 “신 즉 자연”: 스피노자와 존재의 일의성ㆍ672장 초월적 섭리의 신과 스피노자의 ‘신 즉 자연’: 『로빈슨 크루소』의 이중 리듬 ㆍ 69초기 영국 소설의 혼종성과 『로빈슨 크루소』 [69]스피노자의 존재의 일의성: “신 즉 자연” [75]역량의 존재론: 인간의 노동과 타자의 존재 [81]3장 『프랑켄슈타인』에 나타난 신과 인간의 관계: 데카르트적 신, 스피노자적 개체 ㆍ 95『프랑켄슈타인』의 이중 초점: 누구의 이야기인가 [95]제작적 신의 창조 vs 내재적 신의 표현 [100]데카르트의 기계론과 스피노자의 표현적 자연 [110]4장 “나는 히스클리프”일까?: 『워더링 하이츠』와 스피노자적 신의 사랑 ㆍ 123신은 사랑한다, 신은 사랑하지 않는다: 스피노자적 신의 두 얼굴 [127]“내가 바로 히스클리프야”: 인간 사이에 신의 사랑은 가능할까 [132]“두 마리 늑대의 친연성”: 이성애적 사랑을 넘어, 신의 사랑과 나란히 [142]2부 스피노자 윤리학: 욕망과 정서의 윤리ㆍ1495장 자유의지라는 가상과 그 해체: 『록사나』 읽기 ㆍ 151자유의지의 권능 vs 코나투스의 역량 [151]록사나의 통제 욕구는 그녀의 자유의지일까 [160]수잔 대 수잔: 록사나의 연극적 자아와 자유의지라는 가상 [169]6장 괴물과 인간: 『프랑켄슈타인』과 스피노자의 정서 모방 이론 ㆍ 179피조물의 ‘인간적’ 정서 [179]스피노자의 정서 모방 이론과 『프랑켄슈타인』의 ‘괴물’ [188]거울 구조의 정서 모방: 프랑켄슈타인과 피조물의 분신 관계 [197]7장 『 워더링 하이츠』에 나타난 고딕성과 스피노자적 욕망의 윤리 ㆍ 207스피노자적 욕망의 윤리: 선악 이분법 해체와 인간의 본질로서 욕망 [211]히스클리프: 독특한 실재의 독특한 욕망 그리고 고딕성 [221]“나의 천국”: 히스클리프의 죽음과 독특한 본질 [232]3부 상상 역량의 덕(훌륭함): 스피노자 미학과 문학 활용법ㆍ2458장 스피노자적 일의성의 뒤틀린 거울 공간: 『걸리버 여행기』의 후이늠-야후 세계 ㆍ 247후이늠의 이성: 초월적 일자성의 공허한 기표 [251]‘악은 없다’ vs ‘선도 없고 악도 없다’ [260]픽션의 역량과 걸리버라는 사건: 후이늠랜드와 야후랜드 [266]9장 사랑의 정서와 스피노자의 공통 관념: 『단순한 이야기』 읽기 ㆍ 275스피노자의 공통 관념: 상상과 이성의 분신 관계 [275]사랑의 기쁨과 공통 관념: ‘덜 보편적인 공통 관념’에서‘더 보편적인 공통 관념’으로 [286]슬픈 정념과 공통 관념: “올바른 삶의 원칙”과 상상력 [295]10장 스피노자-들뢰즈적 배움과 성장 서사: 『오만과 편견』을 중심으로 ㆍ 305스피노자의 공통 관념, 들뢰즈적 배움, 성장 서사 [309]『오만과 편견』에서의 배움과 성장 [320]소설 읽기와 공통 관념의 형성: 독자의 스피노자-들뢰즈적 배움 [330]참고문헌 ㆍ 340찾아보기 ㆍ 3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