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례머리말1부 차 문화1장 중국의 차――차죽의 시대: 당 이전――『다경』의 시대: 당1) 전다와 다기2) 암다와 다기3) 점다와 다기――투다와 각양각색의 다기: 송1) 화려하고 격렬하게 점다2) 아름다운 포말로 승부하는 투다3) 포말 위에 문양을 그리는 분다4) 흰색 거품을 위해 탄생한 흑유 다완5) 초차를 마시기 위한 다구6) 차의 맛과 기운이 뛰어난 석제 다구7) 그림 속 차를 준비하는 모습과 다구――변방으로 전파된 다례: 요·금――말차와 엽차의 과도기: 원――차의 빛깔보다 맛과 향: 명1) 다기와 차 맛의 긴밀한 관계――황제에서 평민까지 차를 즐기던 시대: 청1) 법랑채 다기를 애호한 강희제와 옹정제2) ‘차 없이는 하루도 살 수 없다’던 건륭제3) 재스민차를 세계에 알린 자희태후4) 궁중의 귀한 차, 티베트의 밀크티5) 의흥 자사호와 공부차――외세의 소용돌이에 휘말린 차: 근현대2장 한국의 차――한반도 차 문화의 시작: 삼국――『다경』을 향한 동경: 통일신라1) 통일신라 유적에서 출토된 중국 다기2) 옥벽저완과 옥환저완3) 장사요 청자――한반도 차 문화의 절정기: 고려1) 고려 문인과 스님들의 운치 있는 음다법2) 월요 청자를 능가한 고려청자3) 다양하고 세련된 고려 다구4) 중국과 대등한 고려의 차 문화5) 고려인을 매혹한 중국 다기――국제적 감각의 차 문화: 조선1) 차 문화 부흥의 주역들2) 중국·일본 교류로 부흥한 차 문화3) 조선시대에 유행한 차와 다법 그리고 다구――외부의 지배 속에 명맥을 유지하다: 근현대3장 일본의 차――견당 승려가 들여온 차 문화: 나라·헤이안――중국 점다의 유입과 일본 덴차의 시작: 가마쿠라·난보쿠조1) 무사의식을 고양시킨 투다――서원차와 와비차의 대립: 무로마치1) 리큐와 와비차의 계보 2) 와비·사비와 고려 다완3) 리큐의 한 칸 다실4) 일본 차 문화의 리더: 마치슈와 다이묘――차의 대중화와 센차의 정착: 에도1)일본 다도의 정신, 와비·사비 그리고 일기일회2부 향 문화1장 향의 종류모향 | 침향 | 용뇌향 | 용연향 | 강진향 | 소합향 | 백단향 | 자단향 | 정향 | 유향 | 사향2장 중국의 향――합향 기술의 발전――합향의 종류와 사용법향환 | 향병 | 향전 | 선향――향의 사용과 향구의 변천1) 신선 세계에 대한 동경: 전국·진한도제 훈로 | 동제 훈로 | 박산향로2) 낭만적인 향훈 문화의 유행: 삼국·위진남북조관형 향훈 | 삼족형 향훈 | 박산향로 | 두형 향훈 | 병향로3) 동서 교류를 통한 다양한 향과 향구의 유행: 수·당다족 향훈 | 향 훈구 | 병향로 | 박산향로 | 향합4) 다양한 향료의 유입과 향구의 발달: 송5) 향의 대중화와 선향의 등장: 원정형 향로 | 역형 향로 | 염형 향로 | 궤형 향로 | 향저·향시·향병 6) 고급 장식물로 자리 잡은 향구 : 명·청선덕로, 인향로 | 노병삼사3장 한국의 향――불교와 함께 시작된 향 문화: 삼국·통일신라1) 삼국시대에 유행한 박산향로2) 통일신라의 다양한 향로――향 문화의 전성기: 고려1) 격조 높은 복고풍 향구의 유행연화형 향로 | 향완 | 정형 향로 | 상형 향로 | 병향로 | 현향로 2) 수도 개경에서 유행한 송대 향로와 향합――유교 문화와 문인들의 향 취미: 조선1) 정형 향로와 향완2) 중국 향로의 유입과 유행4장 일본의 향――향 문화를 적극 수용한 일본인들: 아스카·나라·헤이안――무인들의 문향과 투향 그리고 가라모노 열풍: 가마쿠라·아즈치모모야마――다실의 주인공이 된 마키에 향구: 에도 이후3부 꽃 문화1장 중국의 꽃 문화, 병화 ――인도 불교에서 유래된 병화: 위진 남북조1) 중국 병화의 외래적 요소――병화 예술의 황금시대: 수·당·오대1) 신에게 바치는 꽃의 노래2) 감상의 대상으로 격상된 병화――연회석을 풍성하게 장식했던 병화: 송1) 차, 향, 꽃 그리고 그림2) 송대의 병화, 원체화와 이념화3) 화병을 노래한 시와 그림――병화 문화의 침체: 원――병화 문화의 부흥: 명1) 병화에 관한 인문학적 시선2) 장소와 쓰임에 따라 다양해진 화기――병화 문화의 정점: 청1) 화왕의 탄생2) 분재 예술에 담긴 상징3) 창의적인 꽃꽂이 도구, 내담2장 한국의 꽃 문화, 꽃꽂이――당나라로 간 신라의 꽃: 삼국·통일신라――호화스러운 어원, 금은화로 장식한 연회: 고려1) 불교 공화와 유가 이념화의 공존2) 꽃의 생명을 연장하는 비책: 토실과 빙화3) 꽃꽂이의 종류에 따른 화기의 사용――꽃꽂이 이론과 기술의 향상: 조선1) 화훼 재배 기술에 눈뜨다2) 글과 그림에 나타난 조선의 꽃꽂이3장 일본의 꽃 문화, 이케바나――꽃에 깃든 신의 영역: 아스카――노래로 전해지는 이케바나: 헤이안――카라모노의 유행과 이케바나의 융성: 가마쿠라·난보쿠조1) 실내에 장식된 이케바나2) 가라모노 취미와 이케바나3) 불화에 나타난 이케바나와 화기4) 신화와 역사적 인물이 즐긴 이케바나와 화기――이케바나의 정점: 무로마치1) 종교의 경계를 넘어 예술적 양식으로2) 그림 속에 보이는 이케바나와 화기――이케바나와 차노유의 결합: 모모야마·에도1) 리카와 유예의 등장2) 차노유와 이케바나의 절묘한 결합――전통과 혁신의 모색: 근현대주 | 참고문헌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