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요약 11
제1장 서론 25
제1절 연구의 배경 26
제2절 연구의 목적과 구성 30
제2장 관련 논의 검토 33
제1절 경험적으로 보고된 한국사회의 세대 간, 세대 내 불평등 34
제2절 불평등과 차별적 인구 행위 36
제3절 저출산 현상과 인구학적 논쟁 40
1. 제2차 인구변천 41
2. 초저출산의 등장과 템포효과 42
3. 성평등주의와 젠더혁명 이론 44
제3장 불평등과 불안정성, 그리고 차별적 인구 행위 48
제1절 분기하는 흐름과 불평등 49
제2절 불확실성의 확대와 새로운 논의 52
1. 경제위기와 불안정성 54
2. 코로나19 팬데믹과 불확실성: 미래에 대한 서사 56
제3절 한국의 불평등과 불안정성 59
1. 한국 사회의 불평등 59
2. 청년 세대의 불평등과 불평등의 인식 61
3. 불평등과 출산율의 새로운 전개 62
제4절 소결 66
제4장 불안정성의 기제와 특성 탐색: 최근 세대 간, 세대 내 사회경제적 불평등, 가치관 69
제1절 세대 간 소득, 자산 불평등 최근 추세 71
제2절 세대 내 사회경제적 불평등 현황 84
1. 경제 지표로 보는 세대 내 불평등 84
2. 사회 지표로 보는 세대 내 격차와 불평등 93
제3절 세대 내 불평등과 미혼자의 결혼ㆍ출산 관련 특성 분석 97
1. 분석 자료와 분석 대상자의 일반 특성 97
2. 세대 내의 경제적 격차와 결혼ㆍ출산 의향 103
3. 세대 내의 사회적 격차와 결혼ㆍ출산 의향 111
제4절 세대 간, 세대 내 결혼, 출산 등에 대한 가치관 차이 특성 116
1. 세대 간 가치관 차이 주요 특성 117
2. 세대 내 가치관 차이 주요 특성 120
3. 사회의 안전과 신뢰 124
제5절 소결 126
제5장 노동시장 지위 이동으로 본 세대 간 불평등 특성과 함의 130
제1절 연구배경 및 목적 131
제2절 관련 선행연구 검토 132
제3절 자료와 분석방법 136
제4절 분석결과 143
1. 결합노동시장 지위의 연령 분포 143
2. 시기별 비교: 2000, 2010, 2020 145
3. 출생 코호트 비교: 1960년대생 148
4. 출생 코호트 비교: 1990년대생 153
5. 연령별 이행률 분석 156
6. 확률효과 다항로짓(Random-effect multi-nomial logit) 분석 161
제5절 소결 173
제6장 출생코호트별 출산 이행과 사회경제적 불평등 간 연관성 175
제1절 분석의 배경 176
제2절 분석자료와 방법 178
1. 분석자료 178
2. 분석방법 183
제3절 사회경제적 불평등과 출산 이행 간 연관성: 출생코호트 간 차이 탐색 190
1. 한국노동패널 원시자료 활용 분석 190
2. 가족과 출산조사((구)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 실태조사) 원시자료 활용 분석 196
제4절 소결 213
제7장 결론 215
제1절 주요 연구내용 요약 216
제2절 정책적 함의 220
참고문헌 224
Abstract 242
판권기 2
〈표 4-1〉 출생코호트별 젊은 층의 노동시장 집계 특성 비교 73
〈표 4-2〉 청년층 10분위배율, 일반화 엔트로피 지수, 지니계수(2009-2016) 85
〈표 4-3〉 청년층(만 19-34세) 소득 수준(소득 1분위 대 소득 5분위) 86
〈표 4-4〉 청년취업자의 임금 관련 지표(2015-2019) 87
〈표 4-5〉 청년층(만 19-34세) 자산 수준(소득 1분위 대 소득 5분위) 90
〈표 4-6〉 미혼자의 일반 특성 99
〈표 4-7〉 미혼자의 경제활동 특성 101
〈표 4-8〉 연령별 미혼자의 결혼 의향과 평균 희망 결혼 연령 102
〈표 4-9〉 연령별 미혼자의 출산 의향과 희망 자녀 수 103
〈표 4-10〉 연도별 미혼자의 소득수준 104
〈표 4-11〉 연도별 성별 미혼자의 소득수준별 결혼 의향 106
〈표 4-12〉 연도별 성별 미혼자의 소득수준별 출산 의향 107
〈표 4-13〉 경제적 특성에 따른 연도별 성별 미혼자의 결혼 의향(있음) 109
〈표 4-14〉 경제적 특성에 따른 연도별 성별 미혼자의 출산 의향(있음) 110
〈표 4-15〉 연도별 성별 미혼자의 거주지역별 결혼 및 출산 의향 111
〈표 4-16〉 연도별 성별 미혼자의 교육수준별 결혼 및 출산 의향 112
〈표 4-17〉 연도별 성별 미혼자의 가치관별 결혼 의향 114
〈표 4-18〉 연도별 성별 미혼자의 가치관별 출산 의향 115
〈표 4-19〉 결혼, 가족에 대한 가치관 차이: 세대 간 117
〈표 4-20〉 결혼 결정 시 중요 요인 차이: 세대 간 118
〈표 4-21〉 자녀 출산 결정 시 중요 요인 차이: 세대 간 119
〈표 4-22〉 자녀에 대한 시각 차이: 세대 간 120
〈표 4-23〉 결혼, 가족에 대한 가치관 차이: 세대 내 121
〈표 4-24〉 결혼 결정 시 중요 요인 차이: 세대 내 122
〈표 4-25〉 자녀 출산 결정 시 중요 요인 차이: 세대 내 123
〈표 4-26〉 자녀에 대한 시각 차이: 세대 내 124
〈표 4-27〉 사회의 안전과 신뢰에 대한 태도 차이: 세대 간 125
〈표 4-28〉 사회의 안전과 신뢰에 대한 태도 차이: 세대 내 125
〈표 5-1〉 결합노동시장 지위 구분 137
〈표 5-2〉 출생 코호트별 20세 이후 관측 연령대(노동패널 1-25차 기준) 139
〈표 5-3〉 확률효과 다항로짓 모형, 전체 남성 164
〈표 5-4〉 확률효과 다항로짓 모형, 전체 여성 166
〈표 5-5〉 확률효과 다항로짓 모형, 남성 40대 168
〈표 5-6〉 확률효과 다항로짓 모형, 여성 40대 169
〈표 5-7〉 확률효과 다항로짓 모형, 남성 20대 171
〈표 5-8〉 확률효과 다항로짓 모형, 여성 20대 172
〈표 6-1〉 모형에 투입한 최종변인에 대한 설명: 한국노동패널 원시자료 가공 180
〈표 6-2〉 모형에 투입한 최종변인에 대한 설명: 가족과 출산 조사((구)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 실태조사) 원시자료 가공 182
〈표 6-3〉 각 출생코호트 구분 및 각 범주별 표본 수: 한국노동패널 원시자료 가공 184
〈표 6-4〉 각 출생코호트 구분 및 각 범주별 표본 수: 가족과 출산 조사((구)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 실태조사) 원시자료 가공 189
〈표 6-5〉 모형에 투입한 최종변인의 평균에 대한 집단별 차이 190
〈표 6-6〉 출생아 수 평균에 대한 집단 간 차이 분해(decomposition) 결과 192
〈표 6-7〉 출산 확률 평균에 대한 집단 간 차이 분해(decomposition) 결과 193
〈표 6-8〉 출생아 수 평균에 대한 기간(시점) 및 집단 간 차이 분해(decomposition) 결과 195
〈표 6-9〉 모형에 투입한 최종변인의 평균에 대한 집단별 차이 196
〈표 6-10〉 출생아 수 평균에 대한 집단 간 차이 분해(decomposition) 결과: 2000년 198
〈표 6-11〉 출생아 수 평균에 대한 집단 간 차이 분해(decomposition) 결과: 2021년 199
〈표 6-12〉 출생아 수 평균에 대한 집단 간 차이 분해(decomposition) 결과: 2000년 201
〈표 6-13〉 출생아 수 평균에 대한 집단 간 차이 분해(decomposition) 결과: 2021년 202
〈표 6-14〉 출생아 수 평균에 대한 기간(시점) 및 집단 간 차이 분해(decomposition) 결과 204
〈표 6-15〉 출생아 수 평균에 대한 기간(시점) 및 집단 간 차이 분해(decomposition) 결과 205
[요약 그림 1] 본 연구의 구성 12
[그림 1-1] 연구의 구성 32
[그림 2-1] 여성의 교육과 출산율의 관계 변화에 관한 가설적 모형 39
[그림 4-1] 전체 전체 근로자 월임금총액 평균 대비 20-39세의 평균 월임금총액 비중(2001-2023년) 74
[그림 4-2] 고용형태에 따른 연령대별 평균임금(2007-2023년) 75
[그림 4-3] 소득분위(5분위)에 따른 가구주 연령대별 특성(2007, 2023년) 78
[그림 4-4] 가구주 연령대별 2018년 대비 2021년 소득 증감률 81
[그림 4-5] 가구주 연령대별 2018년 대비 2021년 소득 구성별 증감률 81
[그림 4-6] 가구주 연령대별 2018년 대비 2021년 부채 증감률 82
[그림 4-7] 가구주 연령대별 2018년 대비 2021년 자산, 순자산 증감률 82
[그림 4-8] 가구주 연령대별 2018년 대비 2021년 금융자산 중 전월세 보증금 비중의 증감 83
[그림 4-9] 청년층(25-39세)의 노동시장 결과물: 평균과 불평등지수 87
[그림 4-10] 청년층(만 19-39세)의 정규직 비율(2008-2022) 88
[그림 4-11] 연령별 '매우 불안정'한 집단의 변화 경향 89
[그림 4-12] 가구소득 대비 주택가격의 비율(PIR) 91
[그림 4-13] 청년(만 40세 미만)의 가구유형별 주택 점유형태와 주거불안 경험(2022) 92
[그림 4-14] 가구소득에 따른 월평균 사교육비 및 주 평균 사교육 시간 93
[그림 4-15] 가구소득과 성적에 따른 월평균 사교육비 및 주 평균 사교육 시간 94
[그림 4-16] 청년층(만 19-39세)의 정치성향 변화(2003, 2013, 2023) 95
[그림 4-17] 청년층(만 19-39세)의 남녀 갈등에 대한 인식(2017, 2020, 2023) 96
[그림 4-18] 연도별 성별 미혼자의 가치관 분포: 남편이 할 일은 돈을 버는 것이고 아내가 할 일은 가정과 가족을 돌보는 것이다 113
[그림 5-1] 결합노동시장 지위 연령분포(1998-2022) 144
[그림 5-2] 결합노동시장 지위 연령분포의 변화(2000, 2010, 2020) 147
[그림 5-3] 결합노동시장 지위 연령분포, 1960년대생과 인접 출생 코호트 비교(남성) 149
[그림 5-4] 연령별 결합노동시장 지위 분포, 1960년대생과 인접 출생 코호트 비교(여성) 151
[그림 5-5] 출생 코호트별 연령별 결합노동시장 지위 분포, 40대 152
[그림 5-6] 출생 코호트별 연령별 결합노동시장 지위 분포, 20대 154
[그림 5-7] 연령별 이행률, 전체 157
[그림 5-8] 연령별 이행률 출생 코호트 비교, 40대 159
[그림 5-9] 연령별 이행률 출생 코호트 비교, 20대 160
[그림 6-1] 출산에 대한 미시, 거시적 인과 체계 177
[그림 6-2] 연도별 출생아 수와 주요 변인 간 연관성 도식 206
[그림 6-3] 연도별 상대소득, 상대자산과 자녀의 필요성 변인 간 연관성 도식 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