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Abstract 11
연구요약 22
제1장 서론 34
제1절 연구배경 및 목적 35
제2절 연구 구성 및 방법 36
1. 연구 구성 및 내용 36
2. 연구방법 37
제2장 선행연구 39
제1절 디지털 전환 개념 40
제2절 디지털 전환에 따른 일자리 변화 예측 41
1. 디지털 전환에 따른 미래 직업 변화 41
2. 디지털 전환에 따른 근로형태 변화 48
3. 디지털 전환에 따른 인재상 변화 50
제3절 노인세대와 디지털 역량 53
1. 디지털 역량 53
2. 노인세대의 디지털 역량 55
제3장 디지털 전환기 고령자 일자리 수요적 특성 변화 59
제1절 산업구조 변화에 따른 디지털 전환 현황 60
1. 기업 디지털화 수준의 측정 60
2. 산업별 디지털 수준 비교 67
제2절 디지털 전환에 따른 고령자 근로환경 변화 74
1. 자료 및 기초 통계 74
2. 디지털 전환과 고령자 고용의 양적 변화 80
3. 디지털 전환과 고령자 고용의 질적 변화 95
제3절 소결 107
제4장 디지털 전환에 대응한 노인일자리 정책 현황 132
제1절 우리나라 디지털 전환 정책 주요 내용 133
제2절 디지털 대응 노인일자리 정책과 추진 현황 139
제3절 소결 147
제5장 노인일자리 참여자 디지털 역량 실태분석 149
제1절 분석방법 150
제2절 노인일자리 참여자 디지털 접근성 155
1. 은퇴 전 주된 일자리 특징 155
2. 일 관련 정보 획득 경로 158
3. 디지털 접근성 160
제3절 노인일자리 참여자 디지털 활용 능력 163
제4절 노인일자리 참여자 디지털 교육 경험 및 인식 175
제5절 소결 187
제6장 결론 및 제언 189
제1절 주요 연구결과 요약 190
제2절 정책 제언 193
1. 현장중심, 실무중심의 디지털 직무교육 확충 193
2. 디지털화 수준 기반 맞춤형 일자리 개발 및 지원 194
3. 고용형태 다변화에 따른 고령근로자 고용안정성 확보 196
참고문헌 198
[부록] 2024 노인일자리 참여자 디지털 역량 실태조사 202
판권기 211
표 1-1. 연구 구성 및 주요 내용 37
표 2-1. 고성장 분야별 가치 상승 직무역량 상위 10 45
표 2-2. 재택근무의 구분 48
표 2-3. 근무유형의 장단점 49
표 2-4. 미래 인재상의 직업기초능력 51
표 2-5. 고성장 분야 요구되는 직무역량 52
표 2-6. 정보취약계층 디지털정보화 수준 구성 55
표 3-1. 기업의 디지털화 측정 지표 1(Digital Index 1)에 활용된 설문 문항 61
표 3-2. 기업의 디지털화 측정 지표 2(Digital Index 2)에 활용된 설문 문항 62
표 3-3. 기업의 디지털화 수준 측정 지표 기초 통계 63
표 3-4. 기업의 디지털화 수준 측정 지표 간의 상관관계 63
표 3-5. 기업의 디지털화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결과 66
표 3-6. 산업 대분류 기준 디지털화 수준 68
표 3-7. 산업 중분류 기준 디지털화 수준 70
표 3-8. 디지털화 수준과 고령층 고용 변화 요약: 산업 대분류 기준 111
표 3-9. 디지털화 수준과 고령층 고용 변화 요약: 산업 중분류 기준 113
표 4-1. 한국판 디지털 뉴딜정책 세부 추진과제 134
표 4-2. 대한민국 디지털 전략 '100만 디지털 인재양성' 세부과제 136
표 4-3. 대한민국 디지털 전략 '디지털 경제 확장' 세부과제 137
표 4-4. 대한민국 디지털 전략 '디지털 사회 구현' 세부과제 137
표 4-5. 대한민국 디지털 전략 '디지털 문화 확산' 세부과제 138
표 4-6. 디지털 전환에 대응한 노인일자리 정책 추진 방향 141
표 4-7. 산업별 노인일자리 참여기업 비중 변화 144
표 4-8. 디지털화 수준이 높은 산업 중심 직종별 노인일자리 취업비중 변화 145
표 5-1. 응답자 특성 152
표 5-2. 디지털 활용 능력 분류 154
표 5-3. 은퇴 전 주된 일자리 근무기간 분포 156
표 5-4. 디지털 접근성 조사 항목 160
표 5-5. 디지털 접근성: 인터넷 이용 정도 161
표 5-6. 디지털 접근성 Ⅱ 161
표 5-7. 현재 업무 수행 시 디지털 기기 활용 정도: pc기기 활용 165
표 5-8. 현재 업무 수행 시 디지털 기기 활용 정도(pc기기 활용 Ⅱ) 167
표 5-9. 현재 업무 수행 시 디지털 기기 활용 정도(모바일기기 활용) 168
표 5-10. 현재 업무 수행 시 디지털 기기 활용 정도(기타 디지털 기기 활용) 170
표 5-11. 현재 업무 수행 시 디지털 기기 활용 정도(정보생산 공유 활용) 172
표 5-12. 현재 업무 수행 시 디지털 기기 활용 정도(AI 기기 및 기술 활용) 173
표 5-13. 은퇴 전 주된 일자리와 현재 일자리의 디지털 활용 역량 차이 174
표 5-14. 디지털 활용 역량과 디지털 접근성, 은퇴 전 일자리 디지털 활용 수준 간의 상관관계 174
표 5-15. 디지털 직무 역량 교육 경험 175
표 5-16. 현재 업무 수행 시 디지털 기기 활용 어려움 정도 177
표 5-17. 현재 업무 수행 시 디지털 기기 활용 어려움 해결 방법 177
표 5-18. 디지털 기기 활용 능력 추가 필요 정도 Ⅰ 178
표 5-19. 디지털 기기 활용 능력 추가 필요 정도 Ⅱ(대분류, 100점 기준) 179
표 5-20. 디지털 기기 활용 능력 추가 필요 정도 Ⅲ(대분류, 100점 기준) 180
표 5-21. 디지털 직무 역량 교육 이수 여부 Ⅰ 181
표 5-22. 디지털 직무 역량 교육 이수 여부 Ⅱ 181
표 5-23. 디지털 직무 역량 교육 이수 여부 Ⅲ 183
표 5-24. 디지털 직무 역량 교육 도움 정도 183
표 5-25. 향후 디지털 직무 능력 향상 위한 교육 필요 정도 184
표 5-26. 향후 디지털 직무 능력 향상 위한 교육 필요 정도 186
표 5-27. 디지털 역량이 고령자 소득에 미치는 영향 분석 186
그림 2-1. 디지털 시대 노동의 탈경계화 경향 42
그림 2-2. 디지털 전환 촉진 주요 요인에 대한 산업별 비교 44
그림 2-3. 디지털 역량 범위 및 구성요소 54
그림 2-4. 부문별 디지털정보화 수준 57
그림 3-1. 산업별 디지털화 수준 비교(산업 대분류 기준) 69
그림 3-2. 산업별 디지털화 수준 비교(산업 중분류 기준) 73
그림 3-3. 연령대별 임금근로자 비중 변화(산업 대분류 기준) 79
그림 3-4. 60-64세 임금근로자 규모(2021-2023년 평균): 산업 대분류 기준 83
그림 3-5. 65-69세 임금근로자 규모(2021-2023년 평균): 산업 대분류 기준 83
그림 3-6. 70-74세 임금근로자 규모(2021-2023년 평균): 산업 대분류 기준 84
그림 3-7. 75-79세 임금근로자 규모(2021-2023년 평균): 산업 대분류 기준 84
그림 3-8. 60-64세 임금근로자 고용증가율(2021-2023년 평균): 산업 대분류 기준 87
그림 3-9. 65-69세 임금근로자 고용증가율(2021-2023년 평균): 산업 대분류 기준 87
그림 3-10. 70-74세 임금근로자 고용증가율(2021-2023년 평균): 산업 대분류 기준 88
그림 3-11. 75-79세 임금근로자 고용증가율(2021-2023년 평균): 산업 대분류 기준 88
그림 3-12. 60-64세 임금근로자의 전체 대비 비중 변화(2021-2023년 평균): 산업 대분류 93
그림 3-13. 65-69세 임금근로자의 전체 대비 비중 변화(2021-2023년 평균): 산업 대분류 93
그림 3-14. 70-74세 임금근로자의 전체 대비 비중 변화(2021-2023년 평균): 산업 대분류 94
그림 3-15. 75-79세 임금근로자의 전체 대비 비중 변화(2021-2023년 평균): 산업 대분류 94
그림 3-16. 60-64세 상용직 근로자 비중(2021-2023년 평균): 산업 대분류 기준 97
그림 3-17. 65-69세 상용직 근로자 비중(2021-2023년 평균): 산업 대분류 기준 97
그림 3-18. 70-74세 상용직 근로자 비중(2021-2023년 평균): 산업 대분류 기준 98
그림 3-19. 75-79세 상용직 근로자 비중(2021-2023년 평균): 산업 대분류 기준 98
그림 3-20. 60-64세 근로자 주당 근로시간(2021-2023년 평균): 산업 대분류 기준 101
그림 3-21. 65-69세 근로자 주당 근로시간(2021-2023년 평균): 산업 대분류 기준 101
그림 3-22. 70-74세 근로자 주당 근로시간(2021-2023년 평균): 산업 대분류 기준 102
그림 3-23. 75-79세 근로자 주당 근로시간(2021-2023년 평균): 산업 대분류 기준 102
그림 3-24. 60-64세 근로자 월평균 임금(2021-2023년 평균): 산업 대분류 기준 105
그림 3-25. 65-69세 근로자 월평균 임금(2021-2023년 평균): 산업 대분류 기준 105
그림 3-26. 70-74세 근로자 월평균 임금(2021-2023년 평균): 산업 대분류 기준 106
그림 3-27. 75-79세 근로자 월평균 임금(2021-2023년 평균): 산업 대분류 기준 106
그림 4-1. 시니어디지털아카데미 교육(기초/심화) 영역 개요 142
그림 5-1. 디지털 역량 조사 항목 150
그림 5-2. 노인일자리 참여자의 은퇴 전 일자리 직종 분포 157
그림 5-3. 디지털 직무 역량 교육 경험 여부별 은퇴 전 일자리 직종 분포 158
그림 5-4. 일 관련 정보 획득 경로 159
그림 5-5. 연령별 일 관련 정보 획득 경로 159
그림 5-6. 학력ㆍ월소득별 일 관련 정보 획득 경로 160
그림 5-7. 현재 업무 수행 시 디지털 기기 활용 정도(pc기기 활용 1, 전체) 164
그림 5-8. 노인일자리 사업별 디지털 기기 활용 정도(pc기기 활용, 전체) 165
그림 5-9. 현재 업무 수행 시 디지털 기기 활용 정도(pc기기 활용 2, 전체) 166
그림 5-10. 노인일자리 사업별 디지털 기기 활용 정도(pc기기 활용 Ⅱ, 전체) 167
그림 5-11. 현재 업무 수행 시 디지털 기기 활용 정도(모바일 기기 활용) 168
그림 5-12. 현재 업무 수행 시 디지털 기기 활용 정도(기타 디지털 기기 활용) 169
그림 5-13. 노인일자리 사업별 디지털 기기 활용 정도(기타 디지털 기기 활용) 169
그림 5-14. 현재 업무 수행 시 디지털 기기 활용 정도(정보생산 공유 활용) 171
그림 5-15. 노인 일자리 사업별 디지털 기기 활용 정도(정보생산 공유 활용) 171
그림 5-16. 현재 업무 수행 시 디지털 기기 활용 정도(AI 기기 및 기술 활용) 172
그림 5-17. 노인일자리 사업별 디지털 기기 활용 정도(AI 기기 및 기술 활용) 173
그림 5-18. 향후 디지털 직무 관련 교육 필요 정도 176
표 A-1. 산업분류표(대분류 및 중분류): 산업분류 10차 기준 119
그림 A-1. 고령층 임금근로자 고용 규모(산업 중분류) 123
그림 A-2. 고령층 임금근로자 증가율(산업 중분류) 125
그림 A-3. 고령층 임금근로자 비중 변화분(산업 중분류) 127
그림 A-4. 고령층 임금근로자 월평균 임금 수준(산업 중분류) 129
그림 A-5. 고령층 임금근로자 시간당 임금 수준(산업 중분류 기준) 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