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제1장 사업의 개요 6
제1절 사업의 필요성 및 목적 6
1. 사업의 필요성 6
2. 사업의 목적 7
제2절 사업추진 근거 및 비전 8
1. 추진 근거 및 실적 8
2. 사업추진 비전 및 연구방향 21
제2장 '20년 사업 수행 계획 25
제1절 '20년 사업목표 및 추진체계 25
1. 사업목표 25
2. 사업추진 체계 26
제2절 주요 사업내용 27
1. 물류 4.0 기술 수요 및 산업 조사 27
2. 미래수요 대응형 스마트 물류산업ㆍ기술 지원 28
3. 연구 성과 공유ㆍ홍보 29
4. 보고서 발간 30
제3절 '20년 사업의 차별성 31
1. 포스트 COVID19 전략, 한국형 뉴딜 물류분야 대응 31
2. 물류시설ㆍ장비 수요업체 조사 트렌드분석 31
3. 택배기사 근로실태 조사ㆍ분석 32
4. 배달대행 플랫폼 기업 및 라이더 집중 조사 32
제4절 사업 기대효과 32
1. 정책적 기대효과 32
2. 학술적 기대효과 33
3. 기타 기대효과 33
제3장 '20년 사업 추진실적 35
제1절 현장중심의 물류기술 및 산업조사 38
1. 물류 4.0 기술 수요 및 산업 조사 38
2. 물류산업구조 및 작업환경 니즈 조사 56
제2절 미래수요 대응형 스마트 물류산업ㆍ기술 지원 75
1. 물류 스타트업 창업여건 조사 및 성장기반 마련 75
2. 생활물류 신산업 지원 78
3. 정부 R&D 단기 소형 및 기획연구과제 지원 103
제3절 연구 성과 공유ㆍ홍보 105
1. DB구축 및 정보 공유사업 105
2. 네트워크 확산 및 홍보 124
제4절 정책기여실적 132
1. 물류산업 지원 132
2. 물류기술 지원 137
제5절 최종성과물 구성(안) 139
[붙임 1] 물류시설ㆍ장비 수요 업체 조사 설문지 141
[붙임 2] 물류 스타트업 조사 설문지 154
[붙임 3] 배달대행 라이더 근로여건 조사 설문지 166
[붙임 4] 신규 물류기술ㆍ신산업 발굴 콜로키움 회의록 173
[붙임 5] 국내 전시회 참관 주요 내용 180
[붙임 6] 논문 발표 및 게재 187
1. (논문발표) 도로화물운송업에서 연령과 생산성간의 관계분석(한국물류과학기술학회) 188
2. (발표) 물류4.0 구현을 위한 핵심 물류기술(KRnet 2020 컨퍼런스) 198
3. (논문게재) 택배물류 서비스 다양화를 대비한 전자정보 표준안 개발 연구(로지스틱스학회) 208
4. (논문게재) 택배산업과 물류산업 현장직 종사자의 근로여건 비교분석 연구(한국물류학회) 217
〈표 1-1〉 물류기술정책지원사업 추진경위 8
〈표 3-1〉 '20년 사업계획 대비 추진실적 요약 35
〈표 3-2〉 물류 장비 제조기업 사업체당 연간 평균 출하액 40
〈표 3-3〉 국내 기업 핵심 물류 시설ㆍ장비 주요 제조국 42
〈표 3-4〉 국내기업 보유 물류시설ㆍ장비 중 외산ㆍ국산 제품 활용 비율 46
〈표 3-5〉 국산/외산 물류시설ㆍ장비 각각의 선호 이유(응답비율) 46
〈표 3-6〉 택배업 및 창고업 업체당 유형자산 현황 48
〈표 3-7〉 주요 물류동향 수집 정보원 54
〈표 3-8〉 물류분야 스마트 모빌리티 세부 유형 및 전망 65
〈표 3-9〉 택배기사 근로실태 조사내용 67
〈표 3-10〉 배달대행 라이더 근로실태 조사내용 67
〈표 3-11〉 물류시설ㆍ장비 수요업체 주요 조사내용 71
〈표 3-12〉 외산/국산 고가장비 보유현황 72
〈표 3-13〉 배달대행 플랫폼 기업 집중 추가조사 내용 76
〈표 3-14〉 물류기술 전문가 DB의 물류분야 분류 체계 121
〈표 3-15〉 '20년 신규 물류기술 발굴 콜로키움 개최 실적 요약 125
〈그림 1-1〉 사업추진실적 요약 9
〈그림 1-2〉 사업 추진 비전 및 연구방향 23
〈그림 1-3〉 조직 운영 방향 23
〈그림 2-1〉 물류기술정책지원사업 추진체계 26
〈그림 2-2〉 물류기술정책지원사업 조직도 27
〈그림 3-1〉 외산/국산 물류시설ㆍ장비 만족도 42
〈그림 3-2〉 국내기업의 외산/국산 물류시설ㆍ장비 선호도 43
〈그림 3-3〉 물류시설장비 최고 기술보유국 인식 43
〈그림 3-4〉 주요 경쟁국가(생산) 44
〈그림 3-5〉 물류시설장비 생산기업 제품의 부품 국산화 비율 44
〈그림 3-6〉 물류시설장비 생산기업 제품의 장래 국산화 계획 45
〈그림 3-7〉 택배업 및 물류시설운영업 유형자산('11~'18) 48
〈그림 3-8〉 생산기업과 수요기업의 국산기술 수명주기 판단 49
〈그림 3-9〉 자사경쟁력수준 판단(생산) 50
〈그림 3-10〉 자사경쟁력수준 판단(수요) 50
〈그림 3-11〉 물류시설장비 생산기업과 수요기업의 R&D 인지여부 및 인지경로 51
〈그림 3-12〉 물류 시설장비 생산기업의 정부지원 R&D 사업 참여 여부 및 비참여 이유 52
〈그림 3-13〉 물류시설장비 수요기업의 정부지원 R&D 사업 참여 여부 및 비참여 이유 52
〈그림 3-14〉 풀필먼트센터의 운영프로세스 비교 59
〈그림 3-15〉 물류기술관련 DB 구축 개념도 119
〈그림 3-16〉 물류기술관련 DB 구축 방향 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