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Ⅰ. SDG4 관점에서 팬데믹 교육 위기와 변화 / 김명랑;백송이 5
1. SDG4 관점에서 팬데믹 위기와 디지털 교육 5
2. SDG4 관점에서 팬데믹 위기 진단 프레임 10
3. SDG4 관점에서 팬데믹 이후 디지털 교육 변화 사례 17
4. 팬데믹 이후 지속가능한 디지털 교육을 위한 유연한 교수학습 체제 수립의 필요성 22
5. SDG4 관점의 팬데믹 위기 진단 프레임에 기반한 정책적 지원 방향 24
6. 참고문헌 26
Ⅱ. 팬데믹 이후의 디지털 교육 / 심재경 27
Ⅲ. 2억 2200만 가지 이유, 분쟁으로 인한 학습권 침해와 디지털 교육의 역할 / 김현주 30
Ⅳ. 기후위기와 교육의 전환 / 윤상혁;신경준;이지연 39
1. 들어가며 39
2. 기후위기와 교육의 전환 44
3. 기후위기와 교육, 해외는 지금 46
4. 우리나라 환경교육의 현황 53
5. 기후위기와 교육, 현재 학교는 54
6. 기후위기와 교육, 2050년 66
7. 참고문헌 67
Ⅴ. 탄력 성장과 디지털 교육, 그리고 딜레마 / 박인우 69
1. 서론 69
2. 탄력 성장과 디지털 전환 72
3. 디지털 교육의 딜레마 77
4. 마무리 88
5. 참고문헌 89
표 Ⅰ-1.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고등교육 개선 분야 8
표 Ⅰ-2. 팬데믹 위기 단계별 대응 단계 및 검토사항 13
표 Ⅰ-3. 한국교육의 팬데믹위기 대응 진단분석 프레임 14
표 Ⅰ-4. SDG4관점 교육목표 영역별 검토내용 15
표 Ⅰ-5. 유연학습 조건 22
표 Ⅰ-6. 유연학습을 위한 교수학습 접근과 공간 설계 23
표 Ⅳ-1. 과학과 환경 과목 내용 요소 47
표 Ⅳ-2. 프랑스 교육부 온실가스 감축 실천 계획 51
표 Ⅳ-3. 호주 고등학교 환경 과목의 내용 52
그림 Ⅰ-1. 코로나 19 기간원격수업효과인식 10
그림 Ⅳ-1. (제목없음) 39
그림 Ⅳ-2. (제목없음) 40
그림 Ⅳ-3. (제목없음) 40
그림 Ⅳ-4. (제목없음) 41
그림 Ⅳ-5. (제목없음) 41
그림 Ⅳ-6. (제목없음) 42
그림 Ⅳ-7. 제27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 43
그림 Ⅳ-8. climateemergencyeu.org 홈페이지 사진 44
그림 Ⅳ-9. IPCC, 지구온난화 1.5도 특별보고서 45
그림 Ⅳ-10. 특이점이 온다(레이 커즈와일 저) 45
그림 Ⅳ-11. 뉴저지주 K-12 교육과정에 반영된 기후환경교육 47
그림 Ⅳ-12. 온타리오주 온실가스 감축 계획 48
그림 Ⅳ-13. 핀란드의 그린액션 프로그램 49
그림 Ⅳ-14. 프랑스 교육부, 환경교육의 8대 원칙 51
그림 Ⅳ-15. (제목없음) 55
그림 Ⅳ-16. 생태전환 교육과정을 재구성한 학교 교육과정, 학년 교육과정 내용 중 일부 56
그림 Ⅳ-17. AI 기술을 활용한 교과 융합 생태환경교육 장면(6학년) 56
그림 Ⅳ-18. 식물 검색 앱을 활용한 학교 숲 생태지도 만들기 프로젝트 수업(6학년) 57
그림 Ⅳ-19. 크롬 뮤직랩을 이용한 생태환경 관련 가사 만들기, 노래 만들기 수업(6학년) 57
그림 Ⅳ-20. 머신러닝을 활용한 분리배출, 수거 실천하기 수업 장면(6학년) 58
그림 Ⅳ-21. 학생 중심 생태행동 실천 문화 증진 59
그림 Ⅳ-22. 학교 안 생태 숲 오감으로 체험하기 59
그림 Ⅳ-23. 학생들이 제작한 우리 학교 생태숲 지도(3학년) 60
그림 Ⅳ-24. 미세먼지 수사대 동아리 학생들이 제작한 영상(3학년) 60
그림 Ⅳ-25. 가정과 지역사회가 함께 참여하는 생태환경 관련 축제와 행사(생태ㆍ환경 사진 에세이전) 61
그림 Ⅳ-26. 지역 연계 생태전환교육 운영 내용 61
그림 Ⅳ-27. 학부모 교육, 학부모 동아리 활동 장면 62
그림 Ⅳ-28. 사대부초 생태시민 성장 프로젝트, 사대부초 100인이 생태에 대해 읽고 묻다 62
그림 Ⅳ-29. 푸른꿈고의 애플리케이션 활용 생물종 모니터링 63
그림 Ⅳ-30. 청주여고의 미세플라스틱 UCC 영상 64
그림 Ⅳ-31. 광주고의 꿀벌 기르기 활동 65
그림 Ⅳ-32. 숭문중학교의 학교숲 생물다양성 게임과 버스킹 홍보 활동 65
그림 Ⅳ-33. 숭문중학교의 기후행동 기획팀 66
그림 Ⅳ-34. 교내 기후행동 캠페인 66
그림 Ⅴ-1. 경제ㆍ사회적 성장과 탄력 성장(김원준 등, 2021) 73
그림 Ⅴ-2. 21세기 기능들(World Economic Forum, 2015) 77
그림 Ⅴ-3.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핵심역량(교육부, 2015) 78
그림 Ⅴ-4. 교수자 중심 수업 82
그림 Ⅴ-5. 학습자 중심 수업 83
그림 Ⅴ-6. 실수의 교육적 역할 모형(김종백, 2010) 86
그림 Ⅴ-7. 교육과 서비스의 차이 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