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Ⅰ. 서론 13
제1절 연구배경 및 목적 13
1. 연구의 배경 13
2. 연구의 목적 22
제2절 연구범위 및 방법 24
1. 연구범위 24
2. 연구방법 28
3. 세부추진전략 34
Ⅱ. 이론적 논의 47
제1절 구조대 안전관리 및 구조역량 의의 47
1. 구조대 안전관리 역량의 의의 47
2. 구조대 구조전문 역량의 의의 50
제2절 선행연구 검토 52
1. 효과적 안전관리의 예측요인 52
2. 안전관리 관련 선행연구 검토 52
3. 정리 58
제3절 국내 유사조직 사례 60
1. 해양경찰 60
2. 구급대 69
제4절 해외 구조대 사례 91
1. 미국 91
2. 영국 99
3. 일본 103
Ⅲ. 구조대 안전관리 113
제1절 현장활동안전사고 주요 사례분석 113
1. 현장안전사고 사례분석을 위한 분석모델의 도출 113
2. 구조대원 현장활동안전사고 사례분석 130
제2절 현장활동안전의식 현황조사 196
1. 소방공무원 현장활동 안전의식 관련 연구용역 결과 196
2. 구조대 현장활동 안전의식 현황조사 203
제3절 구조대 안전관리상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209
1. 소방청 안전관리 실태조사 결과분석 209
2. 구조대 안전괸리상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도출 217
Ⅳ 구조대 안전관리ㆍ구조전문역량 평가모델 개발 232
제1절 델파이 설문 분석 232
1. 델파이 기법(Delphi) 232
2. 델파이 위원 구성 233
3. 1차 델파이 설문 결과 233
4. 2차 델파이 설문 결과 241
제2절 AHP 분석결과 246
1. AHP 분석 기법 246
2. AHP 분석결과 247
3. 안전ㆍ구조전문역량 평가지표 확정(안) 250
Ⅴ. 평가모델 신뢰성 분석 253
제1절 평가모델 타당성 및 신뢰성 분석 개관 253
1. 평가모델 및 방법 253
2. 자기보고 사고건수 활용의 장점 256
제2절 조사 방법 및 표본의 특성 258
1. 조사 방법 258
2. 표본의 특성 262
제3절 분석 결과 264
1. 변수 기초 통계 264
2. 신뢰도 분석 결과 265
3. 회귀분석(기준타당도) 결과 268
제4절 소결 278
1. 분석 결과 요약 278
2. 함의 280
Ⅵ. 구조품질 향상 로드맵 제안 284
제1절 국내ㆍ외 구조업무 수행조직별 비교ㆍ분석 284
1. 국내 구조업무 조직 284
2. 국외 구조업무 조직 287
3. 국내ㆍ외 구조업무 수행조직별 비교 분석 297
제2절 구조서비스 수혜자 만족도 분석 300
1. 대시민 구조서비스 품질향상 필요성 증대 300
2. 구조서비스 수혜자 만족도 분석 실태 및 향후 방안 301
제3절 장ㆍ단기적 로드맵 제안 307
1. 기술 로드맵의 정의 307
2. 기술 로드맵의 유형 310
3. 구조품질 서비스 강화방안 로드맵 제시 316
4. 전문역량 분야 강화방안 325
5. 기타(정책지원) 337
참고문헌 354
[부록] 설문지 359
〈표 1-1〉 10년간 연도별 구조출동 현황 13
〈표 1-2〉 2019년 사고유형별 구조건수 15
〈표 1-3〉 2019년 사고유형별 구조인원 15
〈표 1-4〉 10년간 소방공무원 순직ㆍ공상자 현황 17
〈표 1-5〉 5년간 소방공무원 현장대원사고 인원 18
〈표 1-6〉 2020년 활동분류별 소방공무원 현장대원사고 인원 18
〈표 1-7〉 2020년 소방공무원 현장대원사고 사고원인별 발생인원(직접적) 19
〈표 1-8〉 2020년 소방공무원 현장대원사고 사고원인별 발생인원(간접적) 19
〈표 1-9〉 시ㆍ도별 구급서비스 품질 평가 지표 20
〈표 1-10〉 연구방법 30
〈표 1-11〉 주요 연구방법론에 대한 추가설명 31
〈표 1-12〉 구조대원의 안전사고방지 모형 39
〈표 1-13〉 최근 10년간 순직 등 주요 현장대원사고 41
〈표 2-1〉 역량의 개념 47
〈표 2-2〉 유연희 등(2015)의 소방공무원 현장 안전사고 관련 척도 54
〈표 2-3〉 소방공무원 안전사고의 원인 및 방지방안 55
〈표 2-4〉 구조대 안전관리ㆍ전문역량 관련 선행연구 요약정리 58
〈표 2-5〉 해양경찰 구조대 조직구성 61
〈표 2-6〉 해양경찰 구조대 등급제 분류체계 63
〈표 2-7〉 등급별 배치기준 64
〈표 2-8〉 해양경찰 성과지표 및 측정방법 65
〈표 2-9〉 출동시간 단축 자체 아이디어 68
〈표 2-10〉 FEMA USR TF 리스트 93
〈표 2-11〉 일본 구조대 출동건수 및 구조인원 107
〈표 2-12〉 일본 구조대 사건유형별 환자 교차분석 107
〈표 3-1〉 4M분석기법 121
〈표 3-2〉 구조대 현장활동 안전사고 사례 분석을 위해 재구성한 4M분석모형 122
〈표 3-3〉 『소방공무원 현장 소방활동 안전관리에 관한 규정』 주요내용 125
〈표 3-4〉 안전관리 정책 P-D-C-A 사이클 128
〈표 3-5〉 소방청 현장 소방활동 안전관리 종합대책 추진체계 129
〈표 3-6〉 최근 10년간 소방공무원 위험직무순직 현황 130
〈표 3-7〉 구조대원 현장안전사고 분석대상 사례 132
〈표 3-8〉 4M분석모형을 통한 문제점과 개선방안 도출 : 화재1 135
〈표 3-9〉 4M분석모형을 통한 문제점과 개선방안 도출 : 화재2 139
〈표 3-10〉 4M분석모형을 통한 문제점과 개선방안 도출 : 화재3 142
〈표 3-11〉 4M분석모형을 통한 문제점과 개선방안 도출 : 화재4 145
〈표 3-12〉 4M분석모형을 통한 문제점과 개선방안 도출 : 화재5 147
〈표 3-13〉 4M분석모형을 통한 문제점과 개선방안 도출 : 수난1 150
〈표 3-14〉 4M분석모형을 통한 문제점과 개선방안 도출 : 수난2 152
〈표 3-15〉 4M분석모형을 통한 문제점과 개선방안 도출 : 수난3 155
〈표 3-16〉 4M분석모형을 통한 문제점과 개선방안 도출 : 수난4 157
〈표 3-17〉 4M분석모형을 통한 문제점과 개선방안 도출 : 수난5 160
〈표 3-18〉 4M분석모형을 통한 문제점과 개선방안 도출 : 교통1 163
〈표 3-19〉 4M분석모형을 통한 문제점과 개선방안 도출 : 교통2 166
〈표 3-20〉 4M분석모형을 통한 문제점과 개선방안 도출 : 생활안전1 170
〈표 3-21〉 4M분석모형을 통한 문제점과 개선방안 도출 : 생활안전2 174
〈표 3-22〉 4M분석모형을 통한 문제점과 개선방안 도출 : 생활안전3 177
〈표 3-23〉 4M분석모형을 통한 문제점과 개선방안 도출 : 교육훈련1 180
〈표 3-24〉 4M분석모형을 통한 문제점과 개선방안 도출 : 교육훈련2 183
〈표 3-25〉 4M분석모형을 통한 문제점과 개선방안 도출 : 교육훈련3 187
〈표 3-26〉 4M분석모형을 통한 문제점과 개선방안 도출 : 기타1 191
〈표 3-27〉 4M분석모형을 통한 문제점과 개선방안 도출 : 기타2 195
〈표 3-28〉 예비 검사 결과에 따른 문항 수 변경 198
〈표 3-29〉 안전의식 수준 진단 최종 모델 요인별 정의 및 문항수 199
〈표 3-30〉 구조대원 현장안전의식 척도 203
〈표 3-31〉 구조대원사고 빈도에 대한 순서형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205
〈표 3-32〉 아차사고 빈도에 대한 순서형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205
〈표 3-33〉 Pilot Test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208
〈표 3-34〉 현장 소방활동 안전관리에 관한 설문조사 결과 209
〈표 3-35〉 사고사례전파의 중요성 관련 설문조사 결과 210
〈표 3-36〉 현장지휘관의 사고사례 전파 관련 설문조사 결과 210
〈표 3-37〉 현장지휘관의 안전관리 교육 실시 여부 관련 설문조사 결과 211
〈표 3-38〉 안전의식수준 진단 프로그램 도입 필요성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212
〈표 3-39〉 현장안전점검관의 전문역량 강화 필요성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212
〈표 3-40〉 현장지휘관 리더섭의 중요성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213
〈표 3-41〉 현장사고유발과 현장지휘관 리더십 스타일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214
〈표 3-42〉 재난현장에 필요한 리더십 스타일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214
〈표 3-43〉 인간의 심리적 원인측면의 구조대 현장안전사고 문제점과 개선방안 217
〈표 3-44〉 인간의 생리적 원인측면의 구조대 현장안전사고 문제점과 개선방안 219
〈표 3-45〉 인간의 직장적 원인측면의 구조대 현장안전사고 문제점과 개선방안 220
〈표 3-46〉 장비(Machine)측면의 구조대 현장안전사고 문제점과 개선방안 222
〈표 3-47〉 정보환경(Media)측면의 구조대 현장안전사고 문제점과 개선방안 225
〈표 3-48〉 관리적(Management)측면의 구조대 현장안전사고 문제점과 개선방안 228
〈표 4-1〉 1차 델파이 설문 결과 234
〈표 4-2〉 2차 델파이 설문문항 241
〈표 4-3〉 2차 델파이 설문 분석결과 243
〈표 4-4〉 응답자 수에 따른 CVR 값 기준 244
〈표 4-5〉 2차 델파이 결과 확정된 평가지표 245
〈표 4-6〉 AHP 분석결과(대항목) 247
〈표 4-7〉 AHP 분석결과(안전역량 하위지표) 248
〈표 4-8〉 AHP 분석결과(전문교육역량 하위지표) 248
〈표 4-9〉 AHP 분석결과(전문구조역량 하위지표) 249
〈표 4-10〉 AHP 분석결과(장비보유 및 관리역량) 249
〈표 4-11〉 안전ㆍ구조전문역량 평가지표 및 가중치(안) 250
〈표 5-1〉 안전역량지표 254
〈표 5-2〉 Cronbach' α 값에 따른 신뢰도 수준 255
〈표 5-3〉 구조대원 현장안전의식 척도 260
〈표 5-4〉 현장안전점검관 안전관리역량 척도 261
〈표 5-5〉 구조대원 특성 262
〈표 5-6〉 구조대 특성 263
〈표 5-7〉 구조대원 수준 264
〈표 5-8〉 구조대 수준 265
〈표 5-9〉 현장안전의식 척도 신뢰도 검증 265
〈표 5-10〉 현장안전전점관 안전관리역량 신뢰도 검증 266
〈표 5-11〉 현장안전의식 척도 신뢰도 검증(구조대 수준) 267
〈표 5-12〉 현장안전점검관 안전관리역량 신뢰도 검증(구조대 수준) 267
〈표 5-13〉 구조대원사고 빈도에 대한 순서형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269
〈표 5-14〉 아차사고 빈도에 대한 순서형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270
〈표 5-15〉 구조대원사고 빈도에 대한 포아송 회귀분석 결과 271
〈표 5-16〉 아차사고 빈도에 대한 포아송 회귀분석 결과 272
〈표 5-17〉 구조대원사고 경험여부에 대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273
〈표 5-18〉 아차사고 경험여부에 대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274
〈표 5-19〉 구조대 수준 구조대원사고 수준에 대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274
〈표 5-20〉 구조대 수준 아차사고 수준에 대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275
〈표 5-21〉 구조대 수준 구조대원사고 빈도에 대한 포아송 회귀분석 결과 275
〈표 5-22〉 구조대 수준 아차사고 빈도에 대한 포아송 회귀분석 결과 276
〈표 5-23〉 구조대 수준 구조대원사고 발생여부에 대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277
〈표 5-24〉 구조대 수준 아차사고 발생여부에 대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277
〈표 5-25〉 분석 결과 - 신뢰도 분석 결과 279
〈표 5-26〉 분석 결과 - 각 모형별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 279
〈표 6-1〉 기동대의 세부구성 내용 293
〈표 6-2〉 작성 대상에 따른 기술로드맵의 유형 310
〈표 6-3〉 대상 주체에 따른 기술로드맵 유형 311
〈표 6-4〉 작성 목적과 범위에 의한 기술로드맵 유형 314
〈표 6-5〉 인적 측면에서 장ㆍ단기적 강화방안(안) 321
〈표 6-6〉 장비적 측면에서 장ㆍ단기적 강화방안(안) 322
〈표 6-7〉 정보환경 측면에서 장ㆍ단기적 강화방안(안) 322
〈표 6-8〉 관리적 측면에서 장ㆍ단기적 강화방안(안) 323
〈표 6-9〉 안전관리분야 장ㆍ단기적 로드맵(안) 324
〈표 6-10〉 구조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한 문제점 답변내용 326
〈표 6-11〉 구조품질 서비스 향상을 위한 개선방안 답변내용 330
〈표 6-12〉 전문역량 분야 개선방안 336
〈표 6-13〉 기타 정책지원 등 개선의견 337
〈표 6-14〉 기타 건의사항(의견) 342
〈표 6-15〉 기타(정책지원) 분야 개선방안 347
〈표 6-16〉 국내ㆍ외 구조업무 수행조직 비교를 통한 장기 로드맵(안) 348
〈표 6-17〉 구조서비스 수혜자 만족도 설문조사 결과, 장ㆍ단기 로드맵(안) 349
〈표 6-18〉 안전관리분야 장ㆍ단기적 로드맵(안) 349
〈표 6-19〉 전문역량 및 기타(정책지원) 분야 장ㆍ단기적 로드맵(안) 350
〈그림 1-1〉 10년간 연평균 구조현황 14
〈그림 1-2〉 하인리히의 재해의 피라미드 모형 34
〈그림 1-3〉 하인리히의 재해의 피라미드 모형 35
〈그림 1-4〉 하인리히의 제3단계 도미노 36
〈그림 1-5〉 버드의 최신 도미노 이론 36
〈그림 1-6〉 구조대원 유형별 안전사고 사례집 목차 40
〈그림 1-7〉 로드맵 도출 전략 44
〈그림 2-1〉 해경구조대 조직현황 62
〈그림 2-2〉 출동시간 및 도착시간 개념도 67
〈그림 2-3〉 소방청 구조구급국 구성 69
〈그림 2-4〉 미국 내 FEMA USR 위치 92
〈그림 2-5〉 Type 1 TF 조직도 95
〈그림 2-6〉 FEMA USR 대응시스템 자가점검 평가분야 및 배점 97
〈그림 3-1〉 안전의식수준 진단모델 197
〈그림 4-1〉 CVR 계산 공식 244
〈그림 5-1〉 신뢰성 및 타당성 개념화 253
〈그림 6-1〉 도쿄 소방청 조직도 292
〈그림 6-2〉 구조품질 향상 추진 3요소 317
〈그림 6-3〉 구조품질 향상방안 로드맵 안 319
〈그림 6-4〉 구조품질 향상을 위한 설문(지) 325
〈그림 6-5〉 구조품질 향상방안 로드맵 제시 353
〈표 1〉 안전ㆍ전문역량지표 3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