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요약 3
Ⅰ. 서론 5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5
2. 분석의 범위 및 구성 7
Ⅱ.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울산 산업의 발전 현황 8
1. 미중 기술경쟁에 따른 글로벌 공급망 재편 양상 8
2. 울산지역의 주요 산업 및 수출입 구조 14
Ⅲ. 울산 산업의 공급망 구조 및 취약성 분석 20
1. 울산의 대중국 공급망 취약성: 수입 측면 20
2. 울산의 대중국 공급망 취약성: 수출 측면 30
Ⅳ. 울산지역의 공급망 안정화 전략 제언 37
1. 울산지역의 공급망 다변화 전략: 수입 다변화 37
2. 울산 산업의 공급망 내재화 전략: 생산공정 및 내재화 39
3. 울산산업의 수출확대 전략 41
참고문헌 43
〈표 1〉 첨단산업의 미ㆍ중 경쟁 양상 8
〈표 2〉 이중용도 품목 및 기술 수출허가증 관리품목 10
〈표 3〉 흑연 수출통제 관련 목록 변화 비교 11
〈표 4〉 미국의 대중국 관세인상 품목 리스트 12
〈표 5〉 울산의 GRDP 및 제조업 비중 추이 14
〈표 6〉 울산의 주요산업 구조 14
〈표 7〉 국내 주요 수출입지역 및 비중 16
〈표 8〉 울산지역의 주요 수출분야 및 수출국 17
〈표 9〉 울산지역의 주요 수입분야 및 수입국 18
〈표 10〉 울산지역의 대중국 주요 수입품목 19
〈표 11〉 울산의 주요 수입 품목에 대한 대중국 수입 의존도 21
〈표 12〉 중국의 주요 수출허가 관리 품목 22
〈표 13〉 대중국 수입 취약품목 종합 23
〈표 14〉 석유화학 세부 분야별 수출경합도지수 변화 33
〈표 15〉 자동차 세부 분야별 수출경합도지수 변화 36
〈표 16〉 울산 주요 산업의 공급망 다변화 전략 37
〈표 17〉 울산지역 대중국 공급망 취약품목과 대체국가 38
〈표 18〉 울산 주요 산업의 공급망 내재화 전략 40
〈표 19〉 울산 주요 산업의 수출확대 전략 41
〈그림 1〉 울산의 주요 산업 현황 6
〈그림 2〉 IRA배터리 핵심광물, 부품 최소비중 요구치 9
〈그림 3〉 한국의 대미 FDI 금액 및 비중 변화 9
〈그림 4〉 대미 수출 품목별 기여도 변화 9
〈그림 5〉 중국 리튬이온배터리 수출국 비중(2023년) 13
〈그림 6〉 중국 전기차 수출 지역별 비중(2023년) 13
〈그림 7〉 울산 3대 주력산업의 위상 15
〈그림 8〉 울산의 주요 수출국 및 추이 17
〈그림 9〉 울산의 주요 수입구조 및 추이 18
〈그림 10〉 전구체에 대한 울산의 총수입 및 대중국 의존도 추이 24
〈그림 11〉 산화리튬과 수산화리튬에 대한 울산의 총수입 및 대중국 의존도 추이 25
〈그림 12〉 전해액 첨가제에 대한 울산의 총수입 및 대중국 의존도 추이 26
〈그림 13〉 이차전지 장비에 대한 총수입 및 대중국 의존도 추이 26
〈그림 14〉 흑연화합물에 대한 총수입 및 대중국 의존도 추이 27
〈그림 15〉 가청주파증폭기에 대한 울산의 총수입 및 대중국 의존도 추이 28
〈그림 16〉 스피커에 대한 울산의 총수입 및 대중국 의존도 추이 28
〈그림 17〉 요소에 대한 울산의 총수입 및 대중국 의존도 추이 29
〈그림 18〉 울산의 석유화학 수출물량 및 대중국 수출비중 추이 31
〈그림 19〉 석유화학에 대한 울산-중국 간 수출경합도지수 추이 33
〈그림 20〉 울산의 자동차 차종별 수출 비중(2023년) 34
〈그림 21〉 중국의 대세계 전기차 수출 동향 34
〈그림 22〉 울산의 전기차 주요 수출국 35
〈그림 23〉 중국의 전기차 주요 수출국 35
〈그림 24〉 자동차에 대한 울산-중국 간 수출경합도지수 추이 36
〈그림 25〉 NCM배터리 전구체 가치사슬 39
〈그림 26〉 NCM배터리 전구체 국내 생산능력 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