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요약 3
Ⅰ. 서론 5
1. 연구 배경 5
2. 선행연구 검토 6
3. 연구 방법 10
Ⅱ. 경남지역 주요 산업 현황 11
1. 조선업 동향 11
2. 일반기계산업 동향 15
Ⅲ. 기후리스크 관련 규제 및 제도 20
1. 국내 현황 20
(1) 탄소중립기본법 시행 20
2. 해외 현황 21
(1) 과학기반감축목표 이니셔티브(SBTi) 21
(2) 유럽연합의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25
Ⅳ. 기후변화가 경남지역 주요 산업에 미치는 경제적 영향 분석 35
1. 기후변화와 산업 현황 35
2. 자료설명 38
3. 실증분석 40
Ⅴ. 경남지역 주요 산업의 기후리스크 대응 진단 45
1. 기업별 친환경 기술 개발 진단 45
2. 친환경 에너지 수급 진단 52
Ⅵ. 시사점 및 결론 59
[부록] 62
참고문헌 64
〈표 1〉 G20 국가별 SBTi 가입기업 흐름 현황 22
〈표 2〉 CBAM 관련 주요 용어 및 정의 28
〈표 3〉 CBAM에 포함 또는 포함되지 않는 배출량 세부사항 30
〈표 4〉 기초통계 39
〈표 5〉 고정효과모형 42
〈표 6〉 고정효과모형 - 부트스트랩 표준 오차(bootstrap standard errors) 적용 42
〈표 7〉 고정효과모형 - 클러스터링 표준 오차(clustering standard error) 적용 43
〈표 8〉 2021~2022년 경상남도 신재생에너지 부문별 발전량 53
〈표 9〉 산업부문 지역별 에너지 사용 및 온실가스 배출 현황 54
〈표 10〉 신재생에너지 종류와 특징 55
〈그림 1〉 국제해운 탈탄소화 추진전략 9
〈그림 2〉 국가별/연도별 일반기계산업 수출액 순위 15
〈그림 3〉 경남 'G-Restart, 제조산업 혁신 시즌 2' 개념도 17
〈그림 4〉 TCFD 권장사항 19
〈그림 5〉 SBTi 가입기업 현황 21
〈그림 6〉 업종별 SBT 설정 기업수 증가 동향 23
〈그림 7〉 Scope 3 카테고리 트리맵 다이어그램 24
〈그림 8〉 CBAM 당사자 및 주요 절차 27
〈그림 9〉 CBAM 및 제품 탄소발자국(PCF) 적용의 공간적 범위 비교 29
〈그림 10〉 직접배출량에 대한 기본 모니터링 개념을 갖춘 설치의 예 31
〈그림 11〉 생산 공정의 투입물, 산출물, 에너지 및 배출량의 관계 31
〈그림 12〉 철강제품 생산 공정의 시스템 경계 33
〈그림 13〉 2000~2023년간 연평균 기온 변화 35
〈그림 14〉 2000~2023년간 연중 강수량 변화 36
〈그림 15〉 전국 및 경남지역 기온. 강수량 추이 비교 37
〈그림 16〉 기온과 경남지역 조선업, 일반기계산업 실질부가가치 간의 관계 37
〈그림 17〉 강수량과 경남지역 조선업, 일반기계산업 실질부가가치 간의 관계 38
〈그림 18〉 글로벌 경기(생산량 지수)와 조선업, 일반기계산업 간의 관계 39
〈그림 19〉 산업별 실질부가가치 및 글로벌 경기 지수 커널밀도함수 40
〈그림 20〉 전세계 발주 및 국내 수주 실적 45
〈그림 21〉 한국 기계산업 생산/수출/수입 동향 49
〈그림 22〉 한국 주요 기계산업의 위상 50
〈그림 23〉 신재생에너지 기술성숙도 단계 55
〈그림 24〉 연누적 전천일사량 56
〈그림 25〉 공설운동장 태양광 시뮬레이션 56
〈그림 26〉 어촌형 에너지 자립마을 예시(유휴부지 태양광 활용) 56
〈그림 27〉 경남 지역별(동ㆍ리) 바이오가스 생산 잠재량 57
〈부표 1〉 2024년 10월 현재 대한민국 기업의 SBTi 가입 현황 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