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Ⅰ. AI 시대의 도래와 대한민국의 전략적 위치 4
1. AI 혁신과 글로벌 경쟁력의 재편 4
2. 대한민국 AI 경쟁력 현황과 도전 과제 6
3. 본 보고서의 목적과 구성 9
Ⅱ. 가치 사슬 관점에서 본 AI 생태계 10
1. 생성형 AI 가치 사슬에 대한 선행 연구 10
2. 본 보고서에서의 생성형 AI 가치 사슬 개요 12
3. 생성형 AI 가치 사슬의 동향과 전망 19
Ⅲ. AI 가치 사슬로 본 글로벌 기업의 경쟁력 21
1. 빅테크들의 All Round Player 화: AI 가치 사슬 수직 계열화 21
2. AI 컴퓨팅 인프라 34
3. AI 모델 개발 45
4. AI 서비스 개발ㆍ배포 52
Ⅳ. 대한민국 AI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제언 61
1. 거대 기업들이 주도하는 AI산업 61
2. 스마트폰 시대의 교훈과 AI 산업에의 적용 63
3. 대한민국의 강점과 전략적 선택 65
4. 결론: 강점을 살린 전략적 접근의 필요성 71
참고자료 73
[그림 1] 글로벌 AI 잠재 시장(TAM) 규모 전망 시나리오(2023-2030) 4
[그림 2] 생성형 AI의 발전과 기업 업무의 자동화 수준의 변화 5
[그림 3] 국내외 AI 시장 규모 전망 7
[그림 4] 국가 경쟁력에 영향을 미치는 AI 8
[그림 5] 맥킨지가 제시한 생성형 AI 가치 사슬 10
[그림 6] ADL이 제시한 생성형 AI 가치 사슬 11
[그림 7] UBS 제시한 생성형 AI 가치 사슬 11
[그림 8] AI 가치 사슬 구조 12
[그림 9] 앤드류 응의 「데이터 중심 AI(Data Centric AI)」 13
[그림 10] AI 기반 라벨링 기업 스케일AI(Scale AI) 14
[그림 11] 엔비디아 중심의 AI 컴퓨팅 인프라와 이를 견제하려는 시도 15
[그림 12] AI 모델 분류 16
[그림 13] 최근 AI 모델 트렌드 17
[그림 14] 구글의 AI 개요 21
[그림 15] 기술혁신은 빨랐으나 시장 혁신에 못 다다른 구글 22
[그림 16] 구글의 TPU(Tensor Processing Unit) 23
[그림 17] Google의 AI 모델 25
[그림 18] 메타의 AI 개요 26
[그림 19] 메타의 AI 컴퓨팅 인프라 27
[그림 20] 메타의 AI 모델 포트폴리오 28
[그림 21] 메타의 대표적 LLM인 라마(Llama) 28
[그림 22] 객체 분할 AI 모델: SAM 29
[그림 23] 메타AI 30
[그림 24] MS의 AI 개요 31
[그림 25] MS의 AI 모델 포트폴리오 32
[그림 26] MS의 AI 컴퓨팅 인프라 33
[그림 27] AI 반도체 주요 플레이어 개요 35
[그림 28] 엔비디아의 AI 반도체 전략 36
[그림 29] 차세대 GPU 아키텍처: 블랙웰 36
[그림 30] 데이터 센터를 위한 엔비디아의 포트폴리오 37
[그림 31] 인텔의 AI 반도체 전략 38
[그림 32] AMD의 AI 반도체 전략 39
[그림 33] ARM의 IP와 라이브러리 40
[그림 34] SK 하이닉스의 HBM 사업 중심 전략 41
[그림 35] 삼성전자의 AI 특화 반도체 전략 42
[그림 36] 글로벌 AI 데이터 센터 경쟁 우위를 위한 빅 클라우드 사업자들의 현황 43
[그림 37] TOP2 플레이어의 글로벌 확장 43
[그림 38] TOP 3~4 플레이어의 글로벌 확장 44
[그림 39] AI 모델 전문 사업자 현황 45
[그림 40] 오픈AI 확장을 위한 영리 법인화 46
[그림 41] 오픈AI의 포트폴리오 47
[그림 42] 앤쓰로픽 AI 모델 현황 48
[그림 43] 미스트랄AI 기업 현황 및 제품 포트폴리오 50
[그림 44] 코히어 기업 개요 및 제품 51
[그림 45] 3D, 4D로 확대하는 스테빌리티AI 52
[그림 46] AI 서비스 개발ㆍ배포 개요 53
[그림 47]/[그림 49] ML계의 깃허브를 지향하는 허깅페이스 54
[그림 48] 버티컬AI 확대 57
[그림 49] 금융사 조직 내 전반에 걸친 AI 적용 58
[그림 50] 확대되고 있는 소비자용 AI 앱 현황 59
[그림 51] 퍼플렉시티AI 기업 개요 및 수익모델 60
[그림 52] 머니 게임 중심인 AI 인프라, 모델 개발 61
[그림 53] 빅테크와 스타트업 간 혁신 투자 격차 62
[그림 54] 2023년 생성형 AI 주요 기업들의 시장 점유율 66
[그림 55] AI 시장의 기회 67
[그림 56] 특화용 버티컬AI(Vertical AI) 68
[그림 57] AI 100: 2024년 가장 유망한 인공지능 스타트업 69
[그림 58] AI 산업 경쟁력 강화 시나리오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