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요약 3
I. 연구 배경 5
II. 분석방법론 및 자료 6
1. 분석방법론 6
가. 입지계수(LQ, Location Quotient) 6
나. 클럽 수렴(Club Convergence) 검정 6
다. BCG(Boston Consulting Group) 행렬 10
2. 분석 데이터 11
III. 광주전남지역 서비스업 현황 13
1. 업종별 절대 규모 특화 현황 15
2. 업종별 상대 규모 특화 현황 17
IV. 분석결과 22
1. 클럽 수렴 검정 22
2. 서비스업 업종별 시장 전략 구분 27
V. 결론 및 시사점 30
[부록] 33
I. 지역별 서비스업 업종의 세부 현황 33
II. 지역별 서비스업 업종의 군집분석 결과 57
참고문헌 60
〈표 1〉 광의의 서비스업 분류 및 분석 대상 12
〈표 2〉 서비스업 광주 및 전남 비중 13
〈표 3〉 GRDP 중 서비스업 추이 14
〈표 4〉 광주전남의 업종별 위상 16
〈표 5〉 광주 및 전남의 LQ 지수 변화 18
〈표 6〉 광주지역 업종별 LQ 지수(사업체 수 기준) 19
〈표 7〉 광주지역 업종별 LQ 지수(종사자 수 기준) 19
〈표 8〉 전남지역 업종별 LQ 지수(사업체 수 기준) 20
〈표 9〉 전남지역 업종별 LQ 지수(종사자 수 기준) 20
〈표 10〉 지역 특화측면에서의 전략업종 후보 21
〈표 11〉 효율성 기준에 따른 광주와 전남지역의 서비스업 업종 분류 23
〈표 12〉 독주형, 경쟁형, 추격형, 후발형 분류 기준 24
〈표 13〉 저효율 그룹을 제외한 지역 간 수렴 검정 결과 25
〈표 14〉 효율성 기준 독주형, 경쟁형, 추격형, 후발형 업종 구분 26
〈표 15〉 광주전남지역 전략 업종 30
〈그림 1〉 BCG 행렬 10
〈그림 2〉 2016년 기준 광주지역 서비스업 업종별 BCG 행렬 28
〈그림 3〉 2017년 기준 광주지역 서비스업 업종별 BCG 행렬 28
〈그림 4〉 2016년 기준 전남 지역 서비스업 업종별 BCG 행렬 29
〈그림 5〉 2017년 기준 전남 지역 서비스업 업종별 BCG 행렬 29
〈표 1〉 하수, 폐수 및 분뇨 처리업 현황 33
〈표 2〉 폐기물 수집, 운반, 처리 및 원료 재생업 현황 34
〈표 3〉 자동차 및 부품 판매업 현황 35
〈표 4〉 도매 및 상품 중개업 현황 36
〈표 5〉 소매업(자동차 제외) 현황 37
〈표 6〉 숙박업 현황 38
〈표 7〉 음식점 및 주점업 현황 39
〈표 8〉 출판업 현황 40
〈표 9〉 영상ㆍ오디오 기록물 제작 및 배급업 현황 41
〈표 10〉 방송업 현황 42
〈표 11〉 컴퓨터 프로그래밍, 시스템 통합 및 관리업 현황 43
〈표 12〉 정보서비스업 현황 44
〈표 13〉 부동산업 현황 45
〈표 14〉 전문서비스업 현황 46
〈표 15〉 건축기술, 엔지니어링 및 기타 과학기술 서비스업 현황 47
〈표 16〉 기타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현황 48
〈표 17〉 사업시설 관리 및 조경 서비스업 현황 49
〈표 18〉 사업 지원 서비스업 현황 50
〈표 19〉 교육 서비스업 현황 51
〈표 20〉 보건업 현황 52
〈표 21〉 사회복지 서비스업 현황 53
〈표 22〉 창작, 예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 현황 54
〈표 23〉 스포츠 및 오락관련 서비스업 현황 55
〈표 24〉 개인 및 소비용품 수리업 현황 56
〈표 1〉 하수페기물처리, 원료재생 및 환경복원업 부문 효율성에 대한 군집분석 결과 57
〈표 2〉 도소매 부문 효율성에 대한 군집분석 결과 57
〈표 3〉 숙박 및 음식주점 부문 효율성에 대한 군집분석 결과 57
〈표 4〉 출판 영상 부문 효율성에 대한 군집분석 결과 58
〈표 5〉 부동산 및 전문, 과학, 기술 서비스업 부문 효율성에 대한 군집분석 결과 58
〈표 6〉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서비스업 부문 효율성에 대한 군집분석 결과 58
〈표 7〉 교육 서비스업 효율성에 대한 군집분석 결과 59
〈표 8〉 보건업 효율성에 대한 군집분석 결과 59
〈표 9〉 사회복지서비스업 효율성에 대한 군집분석 결과 59
〈표 10〉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 부문 효율성에 대한 군집분석 결과 59
〈표 11〉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 부문 효율성에 대한 군집분석 결과 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