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제출문
목차
일러두기 8
제1장 조사목적 및 방법 9
I. 조사목적 9
II. 조사방법 및 내용 9
1. 문헌조사 9
2. 조사 내용 10
제2장 세계 전통의학 현황 11
I. 전통의학의 현황 11
II. 전통 약물에 대한 관심 13
III. 한국의 전통의학 현황 15
1. 전통의학 현황 15
2. 전통의학과 서양의학과의 관계 15
3. 전통의학 연구 16
4. 전통 약물 법률 상태 16
5. 한의약 전문인력 배출 18
6. 한방의료보험 18
제3장 아시아 지역 전통의학 19
I. 아시아 지역 전통의학 현황 19
II. 각 국가별 전통의학 현황 20
1. 중국 (China) 20
2. 일본 (Japan) 25
3. 타이완 (Taiwan) 36
4.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North Korea) 39
5. 홍콩 (Hong Kong) 40
6. 싱가포르 (Singapore) 44
7. 인도네시아 (Indonesia) 52
8. 타이 (Thailand) 53
9. 말레이시아 (Malaysia) 55
10. 인도 (India) 56
11. 방글라데시 (Bangladesh) 59
12. 미얀마 (Myanma) 59
13. 베트남 (Vietnam) 61
14. 몰디브 (Maldives) 73
15. 네팔 (Nepal) 73
16. 스리랑카 (Sri Lanka) 74
17. 피지 (Fiji) 75
18. 파푸아뉴기니 (Papua New Guinea) 75
19. 필리핀 (Philippines) 75
20. 몽골 (Mongolia) 76
III. 서 태평양 지역 전통의학에 대한 WHO활동 84
1. 1차 보건의료에 있어서의 전통의학의 역할 84
2. 일반적인 상황 85
3. 문제점과 제약 90
4. 해결책과 접근방법 91
5. 전통의학에 대한 WHO 지역 계획 94
6. 미래의 동향 98
IV. 동남아시아 지역 전통의학에 대한 WHO 활동 100
1. WHO 지역 사무국의 역할 100
2. 전통의학 연구 104
3. 이 지역 주요 전통의학 체계의 상황 106
4. 미래의 동향 106
제4장 유럽 지역 전통의학 107
I. 유럽 지역 전통의학 현황 107
1. 유럽의 비공식 의학 108
2. 문제점과 대책 119
3. 유럽 연합의 약초 요법에 대한 관리 119
II. 각 국가별 전통의학 현황 121
1. 그리스 (Greece) 121
2. 네덜란드 (Netherlands) 122
3. 노르웨이 (Norway) 122
4. 덴마크 (Denmark) 123
5. 독일 (Germany) 123
6. 벨기에 (Belgium) 127
7. 불가리아 (Bulgaria) 128
8. 아이슬란드 (Ireland) 128
9. 에스토니아 (Estonia) 128
10. 오스트리아 (Austria) 129
11. 이탈리아 (Italy) 129
12. 프랑스 (France) 130
13. 핀란드 (Finland) 131
14. 헝가리 (Hungarlr) 132
제5장 동지중해 지역의 전통의학 133
I. 동지중해 지역 전통의학의 현황 133
1. 태도와 정책 134
2. 전통의학분야의 인력 자원 137
II. 국가별 전통의학 현황 142
1. 오만 (OMAN) 142
2. 파키스탄 (Pakistan) 143
제6장 아프리카 지역 전통의학 144
I. 아프리카 지역 전통의학 현황 144
1. 아프리카 전통의학의 역사 145
2. 지역적인 차원에서의 활동 146
3. 제26차 지역 위원회의의 기술 논의, 1976년 9월 캄팔라 결의 147
4. 전통의학에 관한 자문 회외, 1979년 11월 말리의 바마코 결의 147
5. 국제 프로젝트 148
6. 국제 활동 149
7. 각 정부 보건당국의 전통의학 관리 149
8. 수행기관과 전통의학 주요 분야 149
9. 회의 150
10. 국제적 협력 151
11. 이 지역 프로그램의 발전과 미래 전망 153
II. 각 국가별 전통의학 현황 155
1. 말리 (MALI) 155
2. 마우리티우스 (MAURITIUS) 155
3. 남아프리카 (South Afrira) 155
제7장 아메리카 지역 전통의학 157
I. 아메리카 지역 전통의학 현황 157
1. 범(汎)미 보건 기구의 역할 157
2. 현재의 연구와 실제 159
II. 각 국가별 전통의학 현황 165
1. 안터구아와 바버다 (ANTIGUA AND BARBUDA) 165
2. 아르헨티나 (ARGENTINA) 166
3. 캐나다 (Canada) 168
4. 칠레 (Chile) 169
5. 콜럼비아 (Columbia) 170
6. 멕시코 (Mexico) 171
7. 니카라과 (Nicaragua) 171
8. 미국 (USA) 172
제8장 전통의학의 법적 및 제도적 측면 201
전통의학에 관한 법률 제정 양식 201
1. 배타적(독점적) 체계(The exclusive(monopolistic) systems) 204
2. 용인 체계 (The tolerance system) 207
3. 수용 체계 (The inclusive system) 213
4. 통합 체계 (The integrated systems) 216
참고문헌 219
부록 223
미국법 224
베트남법 267
영국법 309
몽골법 337
판권기 346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0783114 | 610 ㅅ242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
EM0000038614 | 610 ㅅ242 | 전자자료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