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전체메뉴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추천사

서문

Ⅰ. 서로를 ‘외계인’으로 치부하는 세대 갈등
세대 갈등은 왜 발생할까
노시니어존을 ‘차·노·공’ 차별받는 노인이 없는 공간으로
불안한 젊은 세대, 억울한 기성세대
역멘토링 시대의 세대 간 소통
세대 갈등에서 세대 공존으로

Ⅱ. 죽음을 부추기는 사회: 영화, 노년을 말하다
국가가 노인의 자살을 강요하고 돕는 사회
복지 국가도 해결하지 못하는 노년 빈곤 문제
존엄사를 인정하지 않는 사회
영화에서 배우는 노년의 가치

Ⅲ. 늙어가는 대한민국
저출산, 재앙인가 축복인가
저출산 MZ세대를 위한 변명
문제는 부양비다

Ⅳ. 늙어가는 대한민국, 정년 연장만이 답인가?
합계출산율 0.7명, 해결책은 있다
이모작 사회는 어떻게 작동하는가
이모작 사회의 성공 조건

Ⅴ. 사라지고 있지만, 살아가고 있습니다
노인이란 어떤 존재인가
교통사고처럼 갑자기 찾아오는 노화
자기 삶의 위안을 찾아가는 여정
치매가 무서운 질병인 이유
기억이 사라진 자리에 무엇이 남을까
치매에 걸려도 삶은 계속된다

Ⅵ. 인류의 중심에 노인이 있었다
노인은 왜 존재할까
인간의 생애 전반을 관통하는 키워드, 느림
인류에게 ‘할머니’가 없었다면 ‘지식의 축적’도 없었다
인류가 뇌를 키우는 방향으로 진화한 이유
인간은 사회적 존재다
세대를 연결하는 중요한 존재, 노인

Ⅶ. 초고령화 사회의 문턱에 선 대한민국은 어디로 가는가
통계로 보는 대한민국 고령화 사회의 현실
한국 사회 노년층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
노인 혐오와 노인 소외가 갈수록 심해지는 현대 디지털 사회
‘모든 연령층을 위한 사회’를 만드는 것이 중요한 이유

Ⅷ. 75세가 되면 죽음을 선택해야 한다?
영화 〈플랜 75〉 하야카와 치에 감독 인터뷰

이용현황보기

노시니어존 = 老see:near zone : 우리의 미래를 미워하게 된 우리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171849 305.2 -25-2 서울관 국가전략정보센터(107호) 이용가능
0003171850 305.2 -25-2 서울관 의원열람실(회관) 이용불가
B000121245 305.2 -25-2 부산관 로비(1층 로비) 북큐레이션
(관내이용)
B000121246 305.2 -25-2 부산관 주제자료실(2층)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노년과 청년, 과거와 미래의 충돌 속에서 ‘공감’의 가능성을 찾다
‘노시니어존(No Senior Zone)’이라는 신조어는 우리 사회 갈등의 단면을 잘 보여준다. 젊은 층의 인구 감소와 노년층의 급격한 증가로 인해 ‘세대 갈등’과 그에 따른 ‘노인 혐오’는 최근 한국 사회의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언뜻 대립 구도로 보이는 이 문제는 사실 함께 해결하지 못하면 모두가 공멸할 수도 있는 공통의 문제이다.
나이 듦이라는 것은 누구도 피할 수 없는 보편적인 현실이다. 지금의 노인이 과거에 청년이었듯이, 지금의 청년은 미래의 노인이다. 즉, ‘세대 갈등’과 ‘노인 혐오’는 우리 모두에게 해당하는 이야기인 셈이다. 죽지 않는 한 언젠가 마주하게 될 노년을 우리는 어떤 시선으로 바라보아야 할까?
『노시니어존(老 see:near zone): 우리의 미래를 미워하게 된 우리』는 나이 듦에 대한 더 나은 이해를 바탕으로 서로 다른 세대가 ‘공감’의 토대를 마련할 것을 제안한다. 그리고 이 책을 통해 독자들은 나이 듦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얻고, 지금의 내가 미래의 나를 혹은 과거의 나를 이해하며 공감하는 시간을 가져볼 수 있을 것이다.

7인의 석학이 논하는 초고령화 사회의 대한민국
이 책의 모태가 된 콘퍼런스에서는 사회학·영화학·사회복지학·정신건강학·산업공학·인류학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초고령화와 세대 갈등의 문제를 다각도로 논의했다. 영화와 예술을 통해 노년층의 고독과 상실감을 조명하고, 사회학적 분석으로 세대 간 갈등의 구조적 원인을 탐구했으며, 복지와 정신 건강, 경제적 협력의 가능성을 제안하는 등 다양한 시각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논의는 초고령화 사회의 복잡성을 이해하고, 세대 간의 차이를 넘어 공존과 화합을 위한 실질적 대안을 모색하는 데 중요한 통찰과 영감을 제공했다.

책속에서

알라딘제공


[P. 64~65] 영화 <서울의 봄>(2023)을 통해 젊은 세대가 기성세대를 좀 더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게 된 점이 소중하고 의미 있다는 생각이 든다. 기성세대와 젊은 세대가 서로 공통점을 발견하고 공감하는 일은 세대 갈등을 세대 공존으로 바꾸는 중요한 출발점이다.
한때 우리는 모두 아이였다. 세월이 지나면 젊은 사람도 노인이 된다. 모든 사람이 현재의 노인이거나 미래의 노인이다. 처지를 바꿔 생각하면서, 서로 좀 더 깊이 이해하고 따뜻하게 품기를 바란다. 그럼으로써 우리는 세대 간 갈등을 극복하고 세대 공감을 통해 세대 공존을 이룰 수 있다. _1장 서로를 ‘외계인’으로 치부하는 세대 갈등
[P. 94] 현재 우리가 맞닥뜨린 고령화 사회의 문제는 지금까지 자본주의 사회가 추구해온 생산성 및 이윤 제일주의 가치관의 역습일 수도 있다. 저출산과 고령화 문제가 인류 역사의 흐름이라면 그것을 부정하기보다는 현실로 받아들이며 모든 구성원의 행복을 지킬 수 있는 방향으로 제도를 개선하며 사회 변화를 이끌어가야 한다. 그리고 다른 세대의 삶을 풍부하게 경험하게 해주는 영화 예술도 그 중요한 과정에 어느 정도 기여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_2장 죽음을 부추기는 사회: 영화, 노년을 말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