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I. 서론 7
1. 연구목적 및 문제 제기 7
2. 연구사 검토 및 필요성 9
3. 연구방법 12
II. 비대상과 자아탐구, 모더니즘의 계연성 15
1. 비대상non-object의 개념 15
1) 이승훈과 모더니즘 15
2) 비대상의 모델 17
2. ‘나/너/그’와 자아탐구 양상 27
3. 모더니즘의 시의식 35
III. 포스트모더니즘의 양상 38
1. 자아탐구의 한계 38
2. 자아소멸과 자아부정 41
3. 포스트모더니즘의 수용 양상 50
IV. 선시와의 만남 56
1. 선시의 개념 57
2. 자아소멸과 불이사상 68
3. 비대상에서 선시까지 71
1) 비대상 71
2) 자아탐구 72
3) 자아소멸 74
4) 자아부정 75
5) 불이사상 76
6) 비빔밥 시론 77
7) 해체시론 79
8) 선시(禪詩)까지 81
V. 결론 84
참고문헌 90
ABSTRACT 98
본 연구는 이승훈의 45년이라 시력(詩歷)에서 독자적인 그의 시론인「비대상 시론non-object」,「비빔밥 시론」,「해체시론」에 대한 개념 규명과 정의, 모더니즘 시세계에서 보여준 비대상과 인칭 변화를 통한 자아탐구를 1960~1970년대 발간된 시집의 작품들을 보면‘나’라는 1인칭을 내세워 자아의 탐구에 열중했다면 1980년대에는‘너’라는 2인칭으로 자아소멸의 양상의 과정 보여주던 그는 `90년대에 발간된 시집에서는‘그’라는 3인칭을 내세워 불이(不二)라는 존재의 의미와 ‘나’와 ‘너’,그리고‘고’라는 자에 대한 동일성을 증명하려고 했다.
이승훈은 언어에 대해서도 지속적인 탐색과 연구를 수행해 왔다.1930년대 이상(李箱)이 싸우다 간 주체문제, 언어에 대한 자의식 문제, 그리고 사회, 정치, 경제, 역사, 문화적 상징들로 개인을 제도화 시키려는 언술법칙에 대한 저항을 인식하고 있는 유일에 가까운 시인으로 증명을 하고자 했다. 낭만주의 시는 자아가 세계와 화해를 시도하지만 이승훈은 세계와의 불화 속에서 자신의 실체를 만나는 초현실주의와 유사한 형태를 띤다.
그가 주장해온 자아부정과 자아소멸을 거쳐 불이사상인 선시 세계의 세례를 받는 것은 리얼리즘이나 자연주의 기법으로는 무의식을 포착한다는 것은 불가능에 가까우므로 인간존재의 실체를 파악하고 표현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전통적인 수법에 의지하던 행위를 과감히 떨쳐버리고 자아부정에서 오는 자아소멸, 주체소멸을 통해 얻으려 했던 정신이 그의 시의식의 실체임을 증명하고자 했다.
비대상의 모더니즘으로, 모더니즘에서 자아탐구를, 포스트모더니즘에서의 자아소멸을, 그리고 포스트모더니즘에서 해체주의로, 해체주의에서 불이사상으로, 다시 불이사상에서 선시(禪詩)로의 이동 과정과 그 변천 양상, 그리고 전위적이고 과감한 실험적인 그의 시세계가 한국의 문단에서 주목 받아야 할 이유이다.
1960년대 한국의 시단에서 이승훈시인 만큼 뚜렷하고 체계적으로 변화되어 온 시인은 드물다. 특히 시에 있어서 대상과 어조의 변화과정은 한국시단에 있어 괄목할 만한 성과라고 볼 수 있다.
초현실적이고 추상표현주의Munch적인 이미지의 세계로부터 떠도는 시니피앙 혹은 기표 놀이의 세계로의 변모를 보이며 그가 집요하게 천착하는 것은 자본주의에 대한 미적 비판과 소외된 자아탐구, 언어탐구라 할 수 있다.
전위적인 탐구정신과 실험정신은 한국모더니즘 시와 아방가르드 시의 새로운 방향(禪詩로)을 암시하는 바가 크며 시대적, 사회적 상황 속에서 길을 잃고 있는 현대인들의 내면세계를 노래한 것은 그가 한국의 모더니스트로서 행위의 정당성이라는 합리화를 벗어날 수 없다. 그가 추구하는 일상적 의미에 대한 미적 비판과 무(無)의 탐구, 그리고 시적 언어에 대한 새로운 의식은 한국 현대시의 시사(詩史)에 끼친 영향에 대해 새로운 평가를 받아야 한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