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베트남전쟁이 한국군 현대화에 미친 영향 / 장용운 1
Abstract 1
I. 머리말 2
II. 미국의 베트남전쟁 개입과 한국군의 파병 4
1. 미국의 베트남전쟁 개입 4
2. 한국군의 전투부대 파병 6
3. 베트남 파병이 한미 파트너십에 미친 영향 9
III. 한국군 현대화 초기 상황 11
1. 한국군 현대화 사업의 시작 11
2. 미국의 한국군 현대화 지원과 전쟁 특수 15
3. 70년대 한국군 현대화 사업 추진 22
IV. 베트남전쟁이 한국군 현대화에 미친 영향 분석 27
1. 직접적으로 미친 영향 28
2. 간접적으로 미친 영향 31
V. 맺음말 32
참고문헌 35
논문요약 38
The principal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and evaluate the influence of the Viet-Nam war to the modernization of the korean military. The Republic of Korea Armed Forces dispatched to Viet-Nam War in the late 1960's, and made solid partnership between US and ROK. To president park, the vietnam conflict was a golden opportunity for the ROK to obtain the economic and military benefits from the US. Thus, park continuously proposed the dispatch of the ROK Armed forces to vietnam.
The improvement of the partnership between US and ROK made great cooperative Environment of the US to the modernization of the Korean Army. Especially in the financial support and technological support and military fitting support. If the dispatchment of the Korean Army to the Viet Nam War was not realized, we can guess that the modernization of the Korean Army was neary Impossible.
In conclusion, Viet-Nam War helped Korea during the period of economic development and modernization of the Korean Military. especially in military part, Korea met a great chance to gain the financial and technological support of the US, and gain the military fitting from US to make a modernization of Korean Army.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전쟁 패러다임의 변화와 한국군에의 시사점 | 고원 | pp.9-46 |
|
보기 |
군구조 개편과 국방인적자원관리 개혁 방향 | 조관호 | pp.47-73 |
|
보기 |
중국의 대한반도 정책기조와 한중관계 전망 | 안광찬 | pp.75-102 |
|
보기 |
김정일 집권기 북한군 장령 진급에 관한 연구 | 김인수 | pp.103-125 |
|
보기 |
NCW 개념을 적용한 워게임 모의논리 발전방향 연구 : 창조21모델의 탐지/교전논리 중심으로 | 이기택 ; 조경익 ; 이철식 | pp.127-155 |
|
보기 |
실물옵션 기법을 활용한 군 시설의 경제성 분석 | 장철호 ;김경만 | pp.157-176 |
|
보기 |
다문화장병 입영에 따른 병영환경 조성방안 | 박안서 | pp.177-207 |
|
보기 |
베트남전쟁이 한국군 현대화에 미친 영향 | 장용운 | pp.209-245 |
|
보기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국방과학연구소, 『국방과학연구소 약사』, 제2집(1981~1990), 1989. | 미소장 |
2 | 국방군사연구소, 『건군 50년사』, 1998. | 미소장 |
3 | 국방부, 『율곡사업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 서울: 국방부 전력계획관실, 1994. | 미소장 |
4 | 국방부, 『국방사』 제4권, 서울: 군사편찬연구소, 2002. | 미소장 |
5 |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 『국방조약집(제1집)』, 1981. | 미소장 |
6 | 국방부, 『파월 한국군 전사』, 제10권, 전사편찬위원회, 1985. | 미소장 |
7 | 남정옥, 『한미 군사관계사, 1971~2002』, 서울: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03. | 미소장 |
8 | 김기태, 『한국의 베트남 참전과 한미관계』, 한국외국어대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983. | 미소장 |
9 | 박일송, “자주국방정책의 추진과 군의 현대화 : 1970~1997”, 『군사』, 제68호, 서울: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08. | 미소장 |
10 | 베트남 인민군대 출판사(이미선 역), 『베트남전쟁 한미전쟁의 종결』, 서울: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09. | 미소장 |
11 | 신종호, 『한국군의 월남전 참전과 한국에 미친 영향』, 서울: 도서출판 대일, 2000. | 미소장 |
12 | 양창식, “베트남 파병정책 결정 배경 및 과정”, 『베트남전쟁 연구총서Ⅰ』, 서울: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01. | 미소장 |
13 | 오구라 사다오(박경희 역), 『베트남사』, 서울: 도서출판 일빛, 1999. | 미소장 |
14 | 외무부 공개자료, 등록번호-USW03110, 착신전보, 수신 : 외무부장관, 발신 : 주미대사, 1967년 3월 16일, 필름번호 C-0021, 정일권 총리 미국 방문, (외교안보연구원외사실). | 미소장 |
15 | 유인선, 『베트남의 역사』, 서울: 도서출판 이산, 2002. | 미소장 |
16 | 육군중앙경리단, 『봉급정액표』(1950~1998), 1999. | 미소장 |
17 | 이기종, 『한국군 베트남 참전 결정 과정과 결과 연구』, 고려대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991. | 미소장 |
18 | 이영희, 『베트남전쟁』, 서울: 도서출판 두레, 1985. | 미소장 |
19 | 이필중・김용휘, “주한미군의 군사력 변화와 한국의 군사력 건설 사이의 상관관계 : 한국의 국방예산의 변화와 그 추이를 중심으로”, 『군사』 제62호, 서울: 국방군사연구소, 1995. | 미소장 |
20 | 임동원, “한국의 국가전략”, 『국가전략(제1권 제2호)』, 서울: 세종연구소, 1995. | 미소장 |
21 | 입법참고자료 제140호, 『전후 미국의 대한정책(사이밍턴 위원회 청문록)』, 서울: 국회도서관 입법조사국, 1971. | 미소장 |
22 | 정재혁, 『제3공화국의 베트남 파병결정 과정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997. | 미소장 |
23 | 정수용, 『한국의 베트남전 파병과 한・미 동맹체제의 변화』, 고려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1. | 미소장 |
24 | 정수용, “한국군의 베트남 파병이 한국의 국방력 증강에 미친 영향”, 『베트남전쟁 연구총서2』, 서울: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03. | 미소장 |
25 | 조갑제, “미국 대통령 기밀문서 후의 박정희와 케네디”, 『월간조선』, 1991. 12호. | 미소장 |
26 | 주월한국군사령부, “귀국보고”, 1973. | 미소장 |
27 | 조성훈, 『한미 군사관계의 형성과 발전』, 서울: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08. | 미소장 |
28 | 차상철, “케네디 존슨과 박정희 그리고 1960년대의 한미동맹”, 『군사』 제58호, 서울: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06. | 미소장 |
29 | Impact of the Vietnam - Dispatch upon Korean Industrialization | 소장 |
30 | 최병욱, “베트남 역사개관”, 『베트남(동남아학 총서 10)』, 서울: 한국외대, 2000. | 미소장 |
31 | 최용호, 『베트남전쟁과 한국군』, 서울: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04. | 미소장 |
32 | 최용호, 『통계로 본 베트남전쟁과 한국군』, 서울: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07. | 미소장 |
33 | The Development Process & Achievement of the Korean Defense Industry for Last 40 Years | 소장 |
34 | 통계청, 『대한민국 50년의 경제사회상 변화』, 1998. | 미소장 |
35 | 함택영, 『국가안보의 정치경제학』, 서울: 법문사, 1998. | 미소장 |
36 | 『한국일보』, 1971년 11월 19일자 | 미소장 |
37 | 『조선일보』, 2010년 12월 31일자 | 미소장 |
38 | Westmeoreland, Williams C. (최종기 역), 『왜 월남은 패망했는가』, 서울: 광명출판사, 1976. | 미소장 |
39 | Comings, Bruce, The Two Koreas : On the Road to Reunification, New York : Foreign Police Association 1990. | 미소장 |
40 |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1964-1968, Volume XXIX Korea, Department of State, Washington, DC. | 미소장 |
41 |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1969-1976, Volume XIX Part 1, Korea, United States Government Printing Office, Washington, DC., Office of the Historian Bureau of Public Affairs. | 미소장 |
42 | IISS, The Military Balance, 1961~1981. | 미소장 |
43 | Memorandum for General Wheeler, May 26, 1966, “ROK Shopping list”, RG 218, Records of the U.S. Joint Chief of Staff Records of Chairman(Gen.) Earl G. Wheeler 1964~70, Box 28. N. A. | 미소장 |
44 | Nam, Joo-Hong, America’s Commitment to South Korea, Combridge :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6. | 미소장 |
45 | Office of the Historian, Release fo Foreign Relations, 1969-1976, Volume XIX Part 1, Korea, 1969-1972, Office of the Spokeman, Washington, DC., May 4, 2010. | 미소장 |
46 | U.S. Senate, Committee on Foreign Relations, Korea and Philippines : November 1972, Washington, D.C : GPO, 1973. | 미소장 |
47 | U.S Senate, Committee on Foreign Relations, U.S. Troop. Withdrawal from the Republic of Korea : An Update, 1979.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