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단안용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단기적으로 조절에 미치는 영향 = Short Term Effect of Monocular Wearable Device on Accommodation / 김주하 ; 박인지 ; 추병선 1

Abstract 1

I. 서론 2

II. 대상 및 방법 2

1. 대상 2

2. 방법 3

III. 결과 및 고찰 4

1. 양안의 조절자극량이 다를 때의 조절반응량 4

2. 서로 다른 디바이스에 의해 유도된 조절량 4

IV. 결론 6

References 7

요약 8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국내 시판 실리콘하이드로젤 콘택트렌즈의 물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 = Analysis physical properties of silcone hydrogel contact lenses in Korea 염주리, 김태훈 pp.1-8

보기
각막굴절교정수술자의 콘택트렌즈 착용실태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Contact Lens Wear Status of After Corneal Refractive Surgery Subjects 박혜원, 김태훈 pp.9-17

보기
한국 성인의 건성안 유병률과 위험요인 분석 = Analysis of Prevalence and Risk Factors for Dry Eye Syndrome in Korean Adults : Based on the 5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2) : 제5기 국민건강영양조사(2012)를 기반으로 전영우, 김정현, 백승선, 이강오, 이태용, 이현 pp.19-27

보기
담배 흡연이 동공크기, 조절력, 눈물막에 미치는 급성 및 만성효과 = Acute and Chronic Effect of Cigarette Smoking on Pupil Size, Accommodation and Tear film 김연희, 이군자 pp.29-39

보기
필리핀과 한국 남학생들의 건성안 증후군 및 안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factors which affect Dry Eye Syndrome and Eye Health in Filipino and Korean male students 홍경희, 김영필, 김세진 pp.41-50

보기
재질이 다른 세 종류의 하루 교체용 소프트 콘택트렌즈의 임상적 평가 = Clinical Evaluation of Three Different Daily Disposable Soft Contact Lens Materials 오완집, 김정미, 이군자 pp.69-79

보기
외사위 환자에서 프리즘 자극에 대한 실제반응 분석 = Analysis of Response to Prism Stimulation in Exophoria Patients 위대광, 임현성 pp.51-60

보기
단안용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단기적으로 조절에 미치는 영향 = Short Term Effect of Monocular Wearable Device on Accommodation 김주하, 박인지, 추병선 pp.61-68

보기

참고문헌 (19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Visual accommodation problems with head-up and helmet-mounted displays? 네이버 미소장
2 Keller K, Colucci D: Perception in HMDs:what is it in head-mounted displays (HMDs)that really make them all so terrible? SPIE Proceeding 3362, 46-53, 1998. 미소장
3 Melzer JE, Moffitt KW: Head mounted display:designing for the user. New York, McGraw-Hill. pp. 1-16, 1997. 미소장
4 Morphew ME, Shively JR et al.: Helmet mounted displays for unmanned aerial vehicle control. SPIE Proceeding 5442, 93-103, 2004. 미소장
5 H kkinen J: A virtual display for mobile use. Soc Informat Display. 35(1), 1586-1589, 2004. 미소장
6 Perceptual issues in the use of head-mounted visual displays. 네이버 미소장
7 Rogers: Binocular display optics, 1th ed., New York, Electro-optical displays, pp. 417-447, 1992. 미소장
8 Benjamin WJ, Borish IM: Borish’s clinical refraction, 2nd Ed. Philadephia, ButterworthHeinemann, pp. 899-900, 2006 미소장
9 Hofstetter HW: A useful age-amplitude formula, The Pennsylvania Optometrist 7(1), 5-8, 1947. 미소장
10 Accommodation function of the human eye 네이버 미소장
11 Vergence eye movements. 네이버 미소장
12 Binocular vision in a virtual world: visual deficits following the wearing of a head-mounted display. 네이버 미소장
13 Ruston S. Mon-williams M et al.: Binocular vision in a bi-ocular world: New-generation head-mounted displays avoid causing visual deficit. Display 15(4), 255-260, 1994. 미소장
14 Shibata T: Head mounted display. Displays 23(1-2), 57-64, 2002. 미소장
15 Helmet mounted displays & sights 네이버 미소장
16 Ellis SR, Bucher UJ et al.: The relationship of binocular convergence and errors in judged distance to virtual objects. Proceedings Intern Federation Automatic Control, Boston, 1-8, 1995. 미소장
17 Kwak HW, Lee SH et al.: Comparison on accommodation response changes in the normal group and convergence insufficiency. J Korean Oph Opt. 19(1), 79-85, 2014. 미소장
18 Kwon KI, Woo JY et al.: The change of accommodation function by the direction of eye movements during computer game. Korean Ophth Soc. 17(2), 177-184, 2012. 미소장
19 Wearable technology with head-mounted displays and visual function. 네이버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