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들뢰즈의 주체화 전략은 타자-되기를 꾀하는 과정이며, 주체 기능을 수행하는 행위자를 생산한다. 행위자는 본질적인 정체성을 갖지 않지만, 집단적인 행위들을 통해서 후험적으로(a posteriori) 구성되는 주체성을 지닌다. 이러한 들뢰즈의 주체화는 버틀러가『윤리적 폭력 비판:자기 자신을 설명하기』 (Giving an Account of Oneself)에서 윤리적 주체를 주요하게 설명한 바와 교차한다. 버틀러는 주체화를 타자와 관계 맺는 말 걸기 구조에서 작동하며, 자기를 설명하기를 통한 자기 제작 과정으로 규명한다. 이러한 주체화의 구조에서, 나는 나를 다 설명할 수 없으며, 말 걸기의 수신자인 타자를 요청한다. 이로부터 버틀러는 책임의 출처를 나의 한계 인식과 내 안에 있는 타자성으로 설명한다. 책임은 어떤 능동적인 주체의 의지에서 비롯된 행위가 아니라, 주체화의 구조에서 비롯한 것이며, 내 안의 이질성을 승인하고 인간 조건의 취약함과 수동성에서 야기된 상황을 떠맡는 행위이다. 취약성은 우리가 확고한 경계로 철저히 분리된 존재가 아니라, 서로에게 자비를 바라는 존재임을 일깨운다. 인간 중심주의에서 벗어난 탈근대의 주체화는 자기를 완벽하게 아는 것이 아니며, 자신의 한계와 자신의 구성 조건의 맥락성을 인정하고 이해하면서 그 한계를 넘어서는 것이다. 이러한 탈근대의 주체화는 윤리적 전회를 통과하면서, 타자성과 이질성을 주체화의 내적 구조로 받아들이고, 공동체와의 연결성을 승인하면서, 새로운 윤리적 규칙을 모색하는 윤리적 주체를 형성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여성 윤리 주체의 자기 체현 기술 = Self-embodied technology of woman ethics subject : Focusing on Self-care and discourse of Sexuality : 자기 배려주체와 성담론을 중심으로 김분선 pp.1-30
히스테리 언어의 의미 = The Meaning of Language of Hysteria : Femininist Philosophical Criticism on Freud's Study on Hysteria : 프로이트의 히스테리 연구에 대한 여성철학적 비판 김애령 pp.31-57
탈근대의 윤리적 주체화와 책임의 새로운 지평 = Ethical subject and Responsibility in Post-modernism : Focusing on Ethical Subjectivation in Deleuze and Butler : 들뢰즈와 버틀러의 윤리적 주체화 김은주 pp.59-86

어머니의 자아와 자녀정체성 간의 동역학 = The dynamics between mother's self and children's identity : A contemporary understanding about maternal overprotection resulting from the feminine mystique : '여성의 신비'가 낳은 과잉보호에 대한 현대적 이해 이정은 pp.133-163
여성주체가 겪는 고통과 치유 = The Suffering and Healing of Female Subjects : the Cases of Ellen West and Simone Weil Viewed from the Standpoint of Philosophical Counseling : 철학상담의 입장에서 본 엘렌 베스트와 시몬 베유의 사례를 중심으로 노성숙 pp.87-131
인공지능에 의한 차별과 그 책임 논의를 위한 예비적 고찰 = The preliminary consideration for Discrimination by AI and the responsibility problem : On Algorithm Bias learning and Human agent : 알고리즘의 편향성 학습과 인간 행위자를 중심으로 허유선 pp.165-209
'문빠'의 정의(正義)와 여성주의적 장소성 = The Justice of 'Crazy Moon Supporters' and Feminist Placeness 김현 pp.211-241

참고문헌 (14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자유의지와 윤리적 책임 소장
2 들뢰즈, 질(1969), Logique du sens, Minuit, 1969; (1999), 의미의 논리 , 이정우 역, 한길사. 미소장
3 들뢰즈, 질(1980), Mille Plateaux(avec Félix Guattari), Minuit, 1980; (2001), 천개의 고원 , 김재인 역, 새물결. 미소장
4 들뢰즈, 질(1981), Spinoza, Philosophie pratique, Minuit, 1981;(1999), 스피노자의 철학 , 박기순 역, 민음사. 미소장
5 들뢰즈, 질(1986), Foucault, Editions de Minuit; (2003), , 푸코 , 허경 역, 동문선. 미소장
6 들뢰즈, 질(1991), Qu'est-ce que la philosophie?, Minuit, 1991; (1995), 철학이란 무엇인가 , 이정임·윤정임 역, 현대미학사. 미소장
7 들뢰즈, 질(2007),「장치란 무엇인가」, 들뢰즈가 만든 철학사 , 박정태 역, 이학사. 미소장
8 로드윅, 데이비드(2005), 질 들뢰즈의 시간 기계 , 김지훈 역, 그린비. 미소장
9 발리바르, 에띠엔느 (2008), 「주체」, 법은 아무 것도 모른다. , 강수영 역, 인간사랑. 미소장
10 버틀러, 주디스(2013), 『윤리적 폭력 비판』, 양효실 역, 인간사랑. 미소장
11 아리스토텔레스(2006), 『니코마코스 윤리학』, 이창우·김재우·강상진 역, 이제이북스. 미소장
12 영, 아이리스 매리언(2013), 『정치적 책임에 관하여』, 허라금 외 역, 이후. 미소장
13 philosophische reflexion ?ber den begriff verantwortung 네이버 미소장
14 콜브룩, 클레어(2008), 이미지와 생명, 들뢰즈의 예술철학 , 정유경 역, 그린비.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