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발간사

목차

제1장 2004~2005 지방의 국제화 순회강연 5

지방분권과 국제화/임승빈 6

I. 들어가며 6

II. 지구촌사회와 지방정부의 국제화 6

II-1. 지구촌 시민(Global Citizen)으로서의 가능성 6

II-2. 동북아 경제권으로서의 가능성 10

III. 한국과 일본 지방정부의 Glocalization의 특징과 현황 12

IV. Glocalization을 위한 다양한 국제기구 13

V. 맺으며 14

지방화시대를 선도할 지방외교의 역할과 방향/심익섭 16

I. 왜 ‘지방외교’인가? 16

II. 지방외교의 의미와 중요성 17

II-1. 지방외교의 개념 17

II-2. ‘세방화’ 시대 지방외교의 확산 18

III. 지방외교의 실제 20

III-1. 외국의 지방외교 : 독일사례 20

III-2. 한국 지방외교의 실천과제 22

IV. 분단국간 “큰 만남”과 “작은 만남” : 독일과 한국사례 24

V. 맺음말 26

국제화시대 지방자치단체의 대응전략/이동호 28

I. 변화의 바람 28

II. 지방의 국제화의 실제 29

III. 지방자치단체의 대응전략 30

국제화 인재양성/이윤식 34

I. 머리말 34

II. 국제화의 본질 및 국제화 인재상 35

II-1. 국제화의 본질 35

II-2. 국제화 인재상 36

III. 국제화 인재 양성의 문제점 36

III-1. 공무원 개개인의 국제화 마인드의 문제 37

III-2. 지방자치단체장의 국제화 인식의 문제 37

III-3. 국제화 인재양성 재정지원 한계의 문제 37

III-4. 인재양성 수단 및 내용의 문제 38

III-5. 국제여건 변화에 따른 지방자치단체 적응 문제 38

IV. 국제화 인재 양성 방안 39

IV-1. 공무원의 국제화마인드 제고를 위한 인센티브 시스템 수립ㆍ운영 39

IV-2. 단체장의 국제화 인식 제고 39

IV-3. 국제화 역량을 갖춘 인재 채용 40

IV-4. 인재양성 교육전문가 확보 및 교육ㆍ연수기관 활용 40

IV-5. 실무 지향적 해외 연수 및 파견근무를 여타 지방자치단체와 공동으로 추진 41

IV-6. 국내외 행정환경 변화에 부응하는 지방자치단체 행정의 개선 41

V. 결어 42

국제화시대의 공무원 경쟁력 제고 방안/공선표 43

I. 환경변화의 흐름 43

II. 인재상의 변화 47

III. 경쟁력제고와 제2의 인생설계 49

III-1. 이모작인생 49

III-2. 걷고 있는 마라톤 선수 50

III-3. 평생직장의 붕괴 51

III-4. 연공의식 논리 53

III-5. 미래준비 55

III-6. 제2의 인생, 준비는 되었는가? 55

III-7. 아직 희망은 있다 56

IV. 경쟁력제고방안 57

IV-1. 근무년수에 상응하는 Knowhow를 정리하라 57

IV-2. 자신만의 독특한 지식을 책으로 묶으라 59

IV-3. 자신을 PR할 수 있는 Homepage를 구축하라 62

IV-4. 자기분야의 전문가 Network을 만들어라 64

IV-5. 바로 실행하라 64

국제화시대의 공무원 경쟁력 강화 방안/양기호 66

I. 세계화 10주년의 회고 66

II. 참여정부의 경쟁력제고방안 68

III. 지방국제화의 지향점 69

IV. 맺음말 72

도시의 국제화와 민ㆍ관 협력 방안/이윤식 73

I. 머리말 73

II. 도시 국제화의 의의 및 본질 73

III. 도시 국제화의 현황과 문제점 75

III-1. 도시 국제화의 현황 분석 틀 75

III-2. 우리나라 전반적인 도시 국제화현황 77

III-3. 구미시 현황 및 문제점 77

IV. 구미시의 국제화 촉진을 위한 민ㆍ관 협력 방안 78

IV-1. 구미시 국제화 추진 방향 78

IV-2. 구미시의 국제화 촉진을 위한 민관협력방안 79

V. 결어 81

도시 국제화와 민ㆍ관 협력/김춘식 82

I. 도시 마케팅의 개념과 대상 82

I-1. 도시도 상품이다. 82

I-2. ‘주민’에서 ‘이용자’로 82

II. 도시마케팅 전략 83

II-1. 이미지 마케팅 83

II-2. 매력물 마케팅 전략 84

II-3. 이벤트마케팅 85

III. 국제화 전략 88

III-1. 국제교류의 활성화 88

III-2. 국제 자매결연사업을 통한 국제교류의 현황 88

III-3. 국제자매결연의 추진전략 89

III-4. 국제교류와 민관협력 91

국제화의 필요성과 공무원의 역할/김동수 92

I. 국제화와 세계화는 개혁을 뜻한다. 92

II. 동서양의 개혁과 국제화 93

II-1. 서양의 개혁 93

II-2. 동양의 개혁 94

II-3. 한국의 개혁 94

III. 늦어진 개혁의 대가, IMF 위기 95

IV. 세계화의 충격과 위기 관리 95

V. 싱가폴 벤치마킹 96

VI. 창조의 길과 특혜 97

VII. 행복한 공무원 97

VIII. 재창조의 목표 정하기 98

국제화의 필요성과 공무원의 역할/신우재 100

I. 국제화란 무엇인가? 100

새로운 세계에 대한 인식의 대전환 100

개방과 교류를 증진한다. 100

세계화 시대에 부응하는 행정 교육 문화 인프라 구축하여 경쟁력을 강화한다. 101

II. 우리의 국제화 환경 101

III. 지방의 국제화를 위해 무엇을 할 것인가? 103

좋은 사람을 내 고장으로 살러 오게 한다. 103

좋은 山水를 적극적으로 마케팅한다. 104

교육과 문화를 앞세운다. 104

“브랜드 영동”을 상징할 ‘전국 제일’을 만들어라 105

인접 자치단체와 연합전선을 편다. 105

국제협력 네트워크는 이웃 나라부터, 실질적인 분야에서부터 만든다. 105

IV. 국제화와 공무원의 역할 106

지방에서는 관주도의 국제화가 불가피하고, 공무원이 주역을 맡을 수 밖에 없다. 106

실익이 있는 국제화를 추구하자. 106

국제협력에서 過恭도 非禮도 모두 피하자 106

외국어는 의사소통의 수단을 넘어 타문화를 이해하는 것이다. 107

지방화시대 공무원의 역할/원한광 108

I. 서론 108

II. 일방적인 국제화 108

III. 외국인을 위한 준비 109

IV. 일방적인 세계화의 한계 111

V. 변화 : 외국어 지원 112

VI. 변화 : 다른 문화에 대한 개방 113

VII. 변화 : 한국인의 의식 114

VIII. 국제적인 역량 115

IX. 결론 116

공무원의 국제화 역량 강화-神話的 虛構와 打開策/김용환 117

I. 기초적 도구역량 : 언어와 문화적 이해? 117

II. 의식의 전환 : 기계에서 시스템으로! 120

III. 항상 배우는 자세로! 122

IV. 맺는 말 123

자매결연을 통한 지방의 국제화/한영주 126

I. 국제교류의 의의 126

II. 국제교류 현황 127

III. 국제자매결연을 통한 지역발전 방안 130

문화축제를 활용한 지방의 국제화/김춘식 132

I. 사람을 불러들이는 축제 132

II. 우리나라 축제의 실상과 허상 132

III. 축제의 성공여부 판단기준 133

IV. 삿포로 시의 축제 사례 133

IV-1. 요사코이(よさこい) 소란 마쯔리 134

IV-2. 삿포로 눈축제 136

V. 안동과 천안의 축제 리모델링 사례 139

V-1.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 139

V-2. 천안흥타령축제 140

VI. 축제의 성공전략 141

VI-1. 성공할 수 있는 축제의 소재를 찾자 141

VI-2. 컨셉을 특화하자 141

VI-3. 전문가의 도움을 받고 주민의 참여를 유도하자 142

VI-4. 세계에서 가장 잘하는 축제를 벤치마킹 하자 143

VI-5. 축제방문객의 입장에서 준비하고 운영하라 143

VI-6. 마케팅과 홍보는 축제성공의 기본요소이다 143

VI-7. 저비용 고효율의 축제를 개최하자 144

VI-8. 축제를 지속적으로 평가하고 개선하자 145

문화축제를 활용한 지방자치단체의 국제화/서휘석 146

I. 우리는 왜 지역축제를 하는가? 146

II. 최근 지역축제의 변화양상 146

II-1. 양적 확대와 다양화 146

II-2. 지역활성화의 계기로 활용 147

II-3. 즐거움을 주는 행사 147

II-4. 지역주민을 위한 행사 147

III. 광주 남구 고싸움 축제의 현황분석 147

III-1. 고싸움 축제 의의 147

III-2. 고싸움 축제에 대한 분석 148

IV. 성공적인 지역축제에 대한 선행연구 148

IV-1. 성공에 대한 관점 148

IV-2. 선행연구 149

V. 지역축제의 국제화를 위한 전략 149

V-1. 분명한 지역축제의 주제 149

V-2. 축제 추진조직의 안정성 151

V-3. 축제를 위한 인프라 구축 151

V-4. 축제 전문성 152

V-5. 주민참여 152

V-6. 축제평가 153

세계화 실천과정에서의 글로벌 에티켓/김경자 154

I. 세계화와 글로벌에티켓 154

II. 異문화이해의 중요성 154

III. 자기브랜드화 155

IV. 외국인손님접대 157

V. 해외출장요령 158

VI. 식사예절 159

배낭 메고 세계로/이성 162

I. 아는 만큼 보이고, 보는 만큼 안다 162

I-1. 떠나기 전에 162

I-2. 여행지에서 163

I-3. 기타 여행 참고사항 165

I-4. 돌아와서 166

II. 내가 추천하는 배낭여행지 166

III. 여행일기 몇 토막 166

제2장 2005 지방의 국제화 컨설팅 175

자매결연 및 우호교류의 바람직한 방향/한영주 176

I. 지방자치단체 국제교류의 의의와 현황 176

I-1. 국제교류의 의미 176

I-2. 국제교류의 유형과 특징 177

I-3. 국제교류의 현황 178

II. 국제교류의 활성화 방안 180

II-1. 국제교류의 문제점 180

II-2. 국제교류의 활성화 방안 180

국제통상, 해외시장 개척의 바람직한 방향/박중근 182

I. 세계 경제 동향 182

I-1. 세계 경제 추세 및 전망 182

I-2. 세계 경제변화의 특징 182

I-3. 세계 무역 추세 및 전망 184

I-4. 우리나라 경제와 무역 추세 및 전망 184

II. 우리나라의 수출 동향 185

II-1. 우리나라의 수출 개관 185

II-2. 우리나라 수출 특징 186

III. 주요 시장별 진출 전략 187

III-1. 미국 [11조 7천억불 (세계 GDP의29%)] 187

III-2. EU [10.9조불 (25개국 GDP)] 187

III-3. 일본 188

III-4. 브라질 189

III-5. 러시아 189

III-6. 인도 190

III-7. 중국 191

IV. 무역 환경 변화와 대응 방안 192

IV-1. 수출 마케팅 여건 변화 192

IV-2. 한국 정부의 수출산업육성 전략 193

IV-3. 대응 방안 (KOTRA의 사업전략을 중심으로) 194

V. 수출 여건 변화와 중소기업 대응 방안 196

V-1. 중소기업 수출 실태 196

V-2. 최근의 수출 애로사항 196

V-3. 대응 방안 (KOTRA의 사업전략을 중심으로) 197

VI. 수출 여건 변화에 따른 지자체 지원 방안 198

VI-1. 지자체의 해외진출 지원 실태 198

VI-2. 지자체의 해외진출 지원 방향 199

실속있는 공무원들의 해외연수/성남용 202

I. 해외 직무연수 및 배낭연수의 목적과 현황에 대한 고찰 202

II. 올바른 해외 직무연수 및 배낭연수를 위한 첫걸음 203

III. 실전! 해외 직무연수 및 배낭연수 204

IV. 해외 직무연수/배낭연수 정리하기 221

동북아시대 지방정부의 국제교류-충청지역을 중심으로-/양기호 224

I. 충청지역의 세계화10주년 224

II. 충청지역 국제화시책의 평가 225

III. 국제화정책의 체계화 227

IV. 동북아시대 지방외교 230

국제회의 및 국제행사 어떻게 추진하나?/손정미 234

I. 국제회의 개요 234

가. 정의 및 기준 234

나. 국제회의 분류 235

다. 국제회의 구성 요소 235

라. 국제회의 개최현황 및 파급효과 237

마. 국내 국제회의 산업의 문제점 및 추진 방안 238

II. 국제회의 유치 239

가. 유치 과정 239

나. 국제회의 유치 성공의 핵심 요소 241

다. 해외 선진 사례 242

III. 국제회의 개최 기획 및 운영 243

가. 국제회의 기획 243

나. 홍보기획 245

다. 예산기획 245

라. 국제회의 기획 및 운영 Time Frame 245

국제회의 및 국제행사 어떻게 추진하나?/장태순(張泰淳) 248

I. 서론 248

II. 국제회의, 국제행사의 개념 248

III. 국제회의 개최현황 249

IV. 국제회의 유치 절차 및 내용 251

가. 국제회의 유치 준비 251

나. 국제회의 유치 성공요인 251

다. 국제회의 유치추진 절차 252

V. 국제회의 운영절차 및 내용 252

VI. 성공적인 국제회의 유치를 위한 제언 253

공직자 해외 연수의 필요성/성미경 255

I. 연수의 목적 256

II. 연수의 종류 256

II-1. 배낭연수 256

II-2. 직무연수 257

III. 목적에 맞는 연수 만들기 257

III-1. 방문 목적을 명확하게 세운다. 257

III-2. 목적에 따른 목적지에 대한 사전 조사 257

III-3. 방문지 선정과 일정 짜기 258

III-4. 여행사의 견적 제시 및 선정 259

III-5. 전체적인 공문서 작성 259

III-6. 사전모임 260

III-7. 출발 260

III-8. 현지일정/자료취합 260

III-9. 도착 260

III-10. 보고서 작성 260

IV. 실속있는 연수 만들기 261

V. 배낭연수 주의점 262

VI. 직무연수 힌트 262

VII. 실속 배낭연수, 직무연수 나침반 262

표목차

자매결연을 통한 지방의 국제화/한영주 127

[표 1] 국제교류의 목적 127

[표 2] 연도별 자매결연 체결 128

[표 3] 국내 지방자치단체와 외국자치단체간의 자매결연체결 현황(2004년 3월 기준) 129

[표 4] 국가별 자매결연 현황(2004년 1월 기준) 129

문화축제를 활용한 지방의 국제화/김춘식 133

[표 1] 지역 축제의 성공여부 판단 기준 133

[표 2] 소재별 축제사례 141

문화축제를 활용한 지방자치단체의 국제화/서휘석 149

[표 1] 지역축제의 성공적 요인 149

[표 2] 주제별 지역축제의 분류 150

자매결연 및 우호교류의 바람직한 방향/한영주 178

[표 1] 국내ㆍ외국 자치단체별 자매결연체결 현황(2005.3.17 기준) 178

[표 2] 국가별 자매결연 현황(2005.3.17 기준) 179

동북아시대 지방정부의 국제교류-충청지역을 중심으로-/양기호 226

[표 1] 광역자치단체별 국제교류실적(2003년) 226

[표 2] 광역시도별 국제교류관련 조직과 예산 229

[표 3] 광역자치단체의 한중일지방정부간 삼각교류 231

국제회의 및 국제행사 어떻게 추진하나?/손정미 236

[표 1] 전문국제회의장 건립현황 236

[표 2] 2004년 시ㆍ도별 국제행사 개최현황 237

그림목차

도시의 국제화와 민ㆍ관 협력 방안/이윤식 76

[그림 1] 도시 국제화 수행 3단계 전략모형 76

자매결연을 통한 지방의 국제화/한영주 128

[그림 1] 지방자치단체 국제교류 유형 128

[그림 2] 협력ㆍ제휴 주체들간의 연계구조 130

이용현황보기

지방의 국제화 강연&컨설팅 모음. 1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1084879 352.140951 ㅎ155ㅈ v.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1084880 352.140951 ㅎ155ㅈ v.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EM0000007939 352.140951 ㅎ155ㅈ 전자자료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