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요약문 5
제1장 서론 18
제1절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9
제2절 연구 목표 및 내용 32
제3절 연구 추진전략 및 방법 35
제2장 주요국의 전략기술 및 기초연구 지원 정책 39
제1절 국가전략기술 선정 배경 40
제2절 주요국의 국가전략기술 45
제3절 주요국의 기초연구 지원 정책 56
제4절 기술패권경쟁에 대응하는 기초연구 지원 동향 변화 74
제3장 국가전략기술 육성 관련 기초연구의 역할 86
제1절 기초연구의 정의 및 기초연구사업의 특성 87
제2절 국내 연구자 주도 기초연구 사업군의 범위 및 유형 88
제3절 우리나라의 전략기술 관련 정책 및 체계 95
제4절 국가전략기술 관련 정책 상 기초연구 역할 100
제4장 국가전략기술(분야)별 기초연구 투자현황 107
제1절 연구자 주도 기초연구 사업(군)의 국가전략기술 투자 현황 분석 방법 108
제2절 국가전략기술(분야)별 정부 R&D 투자의 기초연구 비중 및 특성 111
1. 과제 수 및 정부연구비 111
2. 연구수행 주체 124
3. 지역별 연구 수행 비중 130
4. 지역별 연구 지원ㆍ수행 비중 131
5. 세부 과제 지원유형 139
6. 연구개발 단계 144
7. 수행협력 체계(집단연구 비중) 146
8. 논문 질적 성과 148
9. 다변량 분석(Multivariate analysis) 150
10. 기초연구 전략성 진단 154
제3절 기초연구 투자 정책에 대한 전문가 집단 정성평가(설문조사) 168
제4절 종합분석 및 시사점 170
제5장 국가전략기술 육성 관련 연구자 주도 기초연구 사업군의 이슈 및 지원 개선방안 172
제1절 국가전략기술 관련 연구자 주도 기초연구 사업 이슈 및 문제점 발굴 173
제2절 연구자 주도 기초연구 사업군의 중장기 투자 개선방안(정책제언) 174
참고문헌 175
판권기 3
[그림 1-1] 대학 수행 (a) 연구자 주도 기초연구 사업군과 (b) 타 연구개발 사업군의 기초연구 단계 연구비의 학문분야별 비중('18~'21년도 평균)(안지현, 윤성용(2022)) 22
[그림 1-2] 전략적 기초연구 강화 개념도(강현규 외(2023)) 22
[그림 1-3] 상호작용 기술 단계 모형(PCAST(2012)) 23
[그림 1-4] 기초연구사업 개편 이력(2023년도 기초연구사업 시행계획) 25
[그림 1-5] 분야별 연구 수월성 및 특허 연계성 분석 결과(기초연구 정책연구회(2015)) 26
[그림 2-1] 기술 분야별 중국의 시장점유율 41
[그림 2-2] 국가별 R&D 지출 및 첨단분야 특허 수 42
[그림 2-3] Horizon Europe(2021-2027)의 주요 구조 66
[그림 2-4] 2024년 NSF 지원 방향 77
[그림 3-1] 국가전략기술 평가 항목 96
[그림 3-2] 전략기술 도출 절차 97
[그림 3-3] 「제1차 국가연구개발 중장기 투자전략」의 추진 과제 102
[그림 3-4] 국가전략기술 중점 분야별 '24년 예산 배분ㆍ조정 결과 106
[그림 4-1] 국가전략기술 육성 기여 과제 수 및 정부연구비 산출 방법 109
[그림 4-2] '17~'21년도 국가전략기술 육성 관련 연구자 주도 기초연구 사업군 과제 수 및 정부연구비 누적 자료 113
[그림 4-3] '17~'21년도 국가전략기술 육성 관련 타 연구개발 사업군 과제 수 및 정부연구비 누적 자료 113
[그림 4-4] 연구자 주도 기초연구 사업군의 혁신선도 기술군 지원 과제 수 및 정부연구비 116
[그림 4-5] 연구자 주도 기초연구 사업군의 미래도전 기술군 지원 과제 수 및 정부연구비 116
[그림 4-6] 연구자 주도 기초연구 사업군의 필수기반 기술군 지원 과제 수 및 정부연구비 116
[그림 4-7] 타 연구개발 사업군의 혁신선도 기술군 지원 과제 수 및 정부연구비 118
[그림 4-8] 타 연구개발 사업군의 미래도전 기술군 지원 과제 수 및 정부연구비 118
[그림 4-9] 타 연구개발 사업군의 미래도전 기술군 지원 과제 수 및 정부연구비 118
[그림 4-10] 12대 국가전략기술별 연구자 주도 기초연구 사업군 및 타 연구개발 사업군 과제 수 비중 119
[그림 4-11] 12대 국가전략기술별 연구자 주도 기초연구 사업군 및 타 연구개발 사업군 정부연구비 비중 120
[그림 4-12] 연구자 주도 기초연구 및 타 연구개발 사업군 과제의 정부연구비 지원 구간 121
[그림 4-13] 연구자 주도 기초연구 사업군 과제의 연구수행 주체 비중(과제 수 기준) 128
[그림 4-14] 연구자 주도 기초연구 사업군 과제의 연구수행 주체 비중(정부연구비 기준) 128
[그림 4-15] 타 연구개발 사업군 과제의 연구수행 주체 비중(과제 수 기준) 129
[그림 4-16] 타 연구개발 사업군 과제의 연구수행 주체 비중(정부연구비 기준) 129
[그림 4-17] 연구자 주도 기초연구 사업군을 통해 지원된 국가전략기술별 수도권ㆍ비수도권 과제 수 비중 136
[그림 4-18] 연구자 주도 기초연구 사업군을 통해 지원된 국가전략기술별 수도권ㆍ비수도권 정부연구비 비중 136
[그림 4-19] 타 연구개발 사업군을 통해 지원된 국가전략기술별 수도권ㆍ비수도권 과제 수 비중 137
[그림 4-20] 타 연구개발 사업군을 통해 지원된 국가전략기술별 수도권ㆍ비수도권 정부연구비 비중 137
[그림 4-21] 사업군 및 기술별 수도권 지원 비중(과제 수 및 정부연구비) 138
[그림 4-22] 국가전략기술별 연구개발 단계 과제 수 비중 145
[그림 4-23] 국가전략기술별 연구개발 단계 정부연구비 비중 145
[그림 4-24] 연구자 주도 기초연구 사업군의 국가전략기술별 집단연구와 개인연구 비중 147
[그림 4-25] 연도별 개인기초연구사업과 집단연구지원사업의 논문 질적 성과(mrnIF) 비교 149
[그림 4-26] 개인기초연구사업 및 집단연구지원사업 대상 PCA 결과의 시각화(Biplot) 결과(case I) 152
[그림 4-27] 연구자 주도 기초연구 사업군 대상 국가전략기술별 기초연구 전략성 진단 결과(rader chart) 167
[그림 4-28] 전략성 진단 항목별 국가전략기술 분야 연구자 만족도 조사 168
[그림 4-29] 국가전략기술 개발에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되는 기초연구 지원 방식(연구자 대상 조사 결과) 169
[그림 1] 미국 과학기술정책 관련 주요 조직체계 48
[그림 2] 전략기술(CET) 리스트 결정 체계 49
[그림 3] 국가별 GDP 대비 R&D 비중 및 연구자 수 69
[그림 4] 2019년 기준 스웨덴의 R&D 지원 규모 69
[그림 5] 스웨덴 R&D 지원 공공기관 70
[그림 6] 스웨덴 연구지원기관 비교 70
[그림 7] 출처별 대학R&D 펀딩 비중(2021년 기준) 71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