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표지이미지

- 청구기호: 384.54094-A10-2

- 서명: REINVENTING PUBLIC SERVICE COMMUNICATION - European broadcasters and beyond (공영방송의 재정립)

- 편/저자: Petros Iosifidis

- 발행처: Palgrave Macmillan, London(2010-02)

서평
 디지털 다채널 시대의 공영방송 그 역할을 재조명
서평자
 이준웅,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부교수, 미국 펜실베이니아대학교 박사, 전 KBS 정책연구실 연구위원
발행사항
 4 ( 2010-11-24 )

목차보기더보기

1. 공영방송 3.0 : 유럽 공영방송의 재구성
2. 다원주의와 공영방송의 재원
3. 유럽 방송 거버넌스와 공영방송
4. 유럽 연합의 경쟁 규제와 공영방송에 대한 국가 보조
5. 공영방송과 유럽의 공론장
6. 공영방송과 국경을 넘는 텔레비전
7. 공영방송과 어린이 방송
8. BBC와 영국의 공영방송
9. 프랑스 대통령의 공영방송에 대한 공격
10. 독일의 공영방송 : 디지털 발전의 걸림목들
11. 이탈리아 공영방송의 도전과 기회
12. 새로운 시대의 스페인 공영방송
13. 그리스의 '국영' 방송과 '공영' 방송
14. 헝가리 : 국영방송에서 공영방송으로
15. 호주의 공영방송 : 다양성 거버넌스

서평보기더보기

오랜만에 만나는 공영방송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서이다. 1993년에 블러머(Jay Blumer)와 그의 동료들이 제시한 ‘다채널 환경의 공영방송(Public service broadcasting in a multichannel environment)’과 2003년 프라이스(Monroe Price), 라보이(Marc Raboy)가 출간한 ‘전환기의 공영방송(Public service broadcasting in transition)’이후로 공영방송의 경영, 재원, 편성, 제작, 서비스 등 사안에 대해 포괄적으로 접근해서 본격적 논의를 제시한 것은 이 책이 처음이다. 개별 국가적 수준에서 추진되는 디지털 전환과 국제적 수준에서 진행되는 방송교류가 본격화될수록 공영방송의 역할은 더욱 커지고 있다. 디지털 다채널 시대에 공영방송은 유료방송 플랫폼들이 제공하는 수많은 유료채널 및 서비스와 구분되는 ‘고유한 공적 책임에 근거해 고유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송 주체’로 그 역할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특히 유럽에서 공영방송은 국가적 수준에서 추진하는 디지털 전환의 주요 행위자로서 막중한 임무를 수행한다. 또한 공영방송은 국가적 수준을 넘어 지역적 수준에서, 그리고 세계적 수준에서 전개되는 문화적 경쟁과 획일화의 문제에 대처할 수 있는 제도적 대안으로 새롭게 떠오르고 있다. 이 책은 공영방송이 유럽 각 국가에서 공통으로 제기되는 공영방송의 거버넌스 개선, 재원 안정성 및 다원성 확보, 다매체 다플랫폼 방송 서비스 개발 등에 대한 최첨단 사안들을 다루고 있다. 동시에 이 책은 유럽연합 수준에서 공통으로 고민해야 할 문제들도 함께 논의하고 있다. 방송은 이제 국경을 넘어서 지역적 수준에서 공동의 거버넌스를 통해서 활용하고 규제해야 할 제도적 장치로 떠오르고 있다. 국가적 다원주의 확보와 국경을 넘는 방송에 대한 대책과 같은 고전적인 사안들은 빠르게 지역적 수준의 문화 다원주의 증진과 경쟁에 대한 규제에 대한 사안으로 대체되고 있다. 이 책의 저자들은 국가 수준의 방송정책을 뛰어넘는 사안에 대한 정책을 개발하고 거버넌스를 계획하는 청사진을 제시한다. 영국, 독일, 이탈리아 등 공영방송 제도의 전통이 강한 국가의 문제는 사실 그렇게 낯설지 않다. 이 책은 스페인, 그리스, 폴란드, 호주, 캐나다 등의 공영방송이 새롭게 직면한 문제들에 대해서도 소개하고 있다. 사실 공영방송 이념은 여러 국가에 공통적이지만 실제 제도는 각 국가의 방송제도 발전의 역사성에 따라 매우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공영방송이 당면한 과제와 해결을 위한 노력들은 역시 국가적 차이를 넘어선 어떤 공통성을 보인다. 예컨대 그리스와 폴란드에서 공영방송의 국가로부터 독립을 위한 노력, 호주의 공영방송이 문화적 다양성 확보를 위한 노력, 프랑스에서 자행된 공영방송에 대한 정치적 간섭 등에 대해 읽다 보면 어쩐지 남의 나라 일 같지 않다. 지난 몇 년간 우리나라의 방송정책은 유료방송 시장의 확대 방안과 경쟁력 있는 방송 서비스 개발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예를 들어 새로운 방송 플랫폼의 도입에 따른 기술표준의 결정과 수익모형 개발 등이 우리나라 방송정책의 전부였던 것 같은 생각이 들 정도이다. 그러나 정작 문제는 방송 기술과 시장 영역이 아닌 사회정치적 영역에서 터졌다. 국회와 정책 당국은 DMB와 IPTV 방송을 둘러싼 이해당사자 간 갈등 조정에 바빴다. 또한 최근 방송법 개정은 결국 종합편성 채널의 허가 등을 둘러싼 정치적 공방전으로 전락하고 말았는데, 이는 방송정책이 단순히 유료시장 확장을 둘러싼 이해 당사자 간 갈등 조정으로 해결될 수 없는 정치적 함의를 갖는다는 것을 잘 보여준다. 문제는 이런 혼란과 어려움을 겪으면서도 우리나라 방송이 제도적으로 내용적으로 뭔가 개선되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는 데 있다. 특히 국가적 수준에서 준비가 필요한 디지털 전환의 추진과 지역적 수준에서 제기되는 문화정치적 사안들에 대한 대책 등이 방기되고 있다. 이 책은 공영방송 제도의 확립과 실천의 정상화가 유럽 각 국가 방송정책의 근간임을 잘 보여주고 있다. 공영방송이 제도적으로 정상화되고 재원이 안정화되며 디지털 전환이나 보편적 서비스 제공과 같은 기본 임무를 충실히 할 때, 국가의 방송 서비스 수준이 전체적으로 향상될 것을 기대할 수 있음을 보여 준다. 디지털 시대에도 공영방송의 역할은 더욱 중요하다는 이 책의 결론은 공영방송에 대해 발전적 정책과 대안을 산출하지 못하고 요구와 다툼만 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방송 전문가와 입법자들에게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